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19:53:10

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돌격소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

<colbgcolor=#000000><colcolor=#000000>
파일:배틀필드 2042 로고 (2).svg
세계관 <colbgcolor=#FFFFFF,#1f2023> 세계관 · 스토리
게임 요소 병과 및 스페셜리스트 (목록)
게임 모드 · 전장 · 포상 · 컬렉션
장비류 보병 장비 · 보조 장비 · 총기 개조
총기 (AR · SMG/LMG · DMR/SR/전술 · 보조)
탑승 장비 · 장비 개조
해저드 존 해저드 존
포털 포털 · 클래식 전장
보병 장비 (1942 · BC2 · BF3 · 총기 개조)
탑승 장비 (1942 · BC2 · BF3)
현황 · 평가 평가 및 현황 (밸런스 및 오류 · 버그)
발매 전 정보 · 패치 노트
문서 분류           업로드 파일 분류

1. 개요

{{{+2 {{{#000000 배틀필드 2042의 총기}}}}}}
{{{#!wiki style="margin: -18px -11px" 기관단총
SMG
돌격소총
AR
지정사수소총
DMR
전술
Tactical
{{{#!wiki style="margin: -20px -10px" 경기관총
LMG
저격소총
SR
보조무기
Secondary
}}}
}}} ||
배틀필드 2042에 등장하는 돌격소총들을 설명하는 문서.[1]

2. 돌격소총

제식

증가된 사거리, 강력한 탄, 상대적으로 높은 연사력을 지닌 돌격소총은 고정된 단거리 및 중거리 교전에 적합합니다. 발사 방식을 조절하며 정확도와 효과적인 제압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찾으세요. 개활지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백병전에서도 임무를 완수할 수 있습니다. 피해가 높다는 것은 타깃 명중 시, 일반적으로 타깃을 무력화한다는 의미지만, 확실히 끝내려면 탄약을 관리하고 보조무기로 빠르게 전환하세요.

돌격병의 숙련 무기로, 돌격병이 사용하면 추가로 탄창 3개를 소지할 수 있다.

주력 교전 거리는 근거리 및 근중거리[2]로, 스프레드 등의 밸런스 패치 방향 역시 근중거리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3] 근중거리 교전이 빈번한 게임 메타 특성상, 이에 특출난 돌격소총의 선호도도 가장 높은 편이다. 실제로 중소~중간급 맵 규모에서 보병간 일반적인 교전 중 19m까지 교전이 전체의 82%를 차지하고 40m 내 처치가 93%를 차지한다는 통계 결과도 있어, 거점 전투에 있어 중요한 무기군임은 분명하다.

출시 초중반에는 다른 무기군에 비해 성능 차이가 심하게 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다양한 무기들이 골고루 쓰였다.[4] 시즌 4에서 RM68이 OP로 출시되며 밸런스가 망가지기도 했지만, 시즌 5에서 돌격소총군의 전반적인 탄퍼짐 너프와 함께 RM68이 너프되고, 금고 무기에 2042 부착물 도입 및 밸런싱 작업[5]이 적용되며 돌격소총들의 성능 격차가 잠시나마 꽤 줄어들기도 했다. 다만 시즌 6에서 성능이 좋았던 일부 금고 무기가 하향을 받으며 다시 격차가 생겼다.[6][7] 2024년 3월 기준으로 2042 돌격소총은 M5A3, SFAR-M 총기의 일부 탄종을 제외하면 AM40, RM68, VHX-D3 등의 시즌 추가 무기가 주로 쓰였다. 금고 무기의 경우 개편 이전에는[8] 2042 무기 대비 성능 차이가 적어서 다양한 금고 무기가 사용되었지만, 개편 후에는 선택의 폭이 줄어 일부만 쓰이고 있다.

다른 무기군 중 돌격소총처럼 근거리~중거리 이하에서 육각형 성능을 보여주며 연사까지 가능한 총기를 찾아보면, 기관단총과 경기관총에서는 백병전 PBX-45와 백병전 LCMG가 근거리 교전에서 괜찮다. 그리고 지정사수소총의 경우 근거리 교전에서 G428 제식과 근중거리는 짧은 총열의 BSV-M, 이렇게 연사모드가 있는 둘을 무난하게 쓸 수 있다.[9][10]

7.0 패치에서 경기관총과 함께 헤드샷 배율이 2.15배에서 1.9배로 너프되고, 최대 대미지가 28인 총기들도 모두 26~25로 너프되면서 모든 돌격소총의 헤드샷 2발킬이 불가능해졌다. 돌격소총만 득세하는 메타를 부수기 위해 칼을 빼든 것. 이로 인해 피해량이 감소하는 소음기를 사용하기 까다로워졌고,[11] 반대로 TTD를 늘리는 상체 방탄판의 효율이 조금 좋아졌다. 같은 패치에서 진행된 비주얼 리코일 개편의 경우 중거리 교전 1티어 돌격소총이었던 RM68이 가장 크게 영향을 받았고, 그 다음으로 크게 받은 총기도 중거리 교전이 좋은 SFAR-M인 등 기본 RPM과 화력이 반비례한 총기가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았다. 금고 무기 중에서는 자체적으로 좌우반동이 심한 것을 반영한 것인지 MTAR-21이 가장 흔들린다. 7.2 패치로 일부 총기와 중거리 조준경 조합에서 비주얼 리코일이 추가로 조정되었다. 동시에 AM40, VHX-D3 등 10m 근거리대에서 강점을 가지던 무기들이 너프를 받으며 짧은 총열 M5A3 백병전이나 GEW-46 제식탄 정도를 제외하면 SMG와의 근접 교전시 전반적으로 불리해졌다.

2024년 5월 현재, 무기군 밸런스 측면에서 유저들이 주로 선호하는 연사화기인 SMG, AR, LMG는 시즌 7에서 서로 간의 밸런스가 상향, 하향되며 선호도 편차가 좁아진 편이지만,[12] 그 외 DMR[13], SR, 샷건을 제외한 전술 무기는 교전거리가 쏠려있다거나 사용성이 불편해서 연사화기보다 성능 편차가 꽤 있는 편이다. 금고 무기도 동일하게 각각의 밸런스가 좀 안좋은 편이라 추후 조정될 여지가 있다.
{{{#!folding [7.3.0 - 평균적인 랭킹 보기] 성능 총기
8.5(9)[14] M5A3,[15][16] AK 5C 하이 파워
8 AK 5C 백병전, M16A3, RM68, GEW-46
7.5 VHX-D3 제식, AM40[17], AEK-971
7~6.5 ACW-R(~40m), GEW-46 하이 파워(40~130m),
SFAR-M GL, AC-42
6 (AK-24[18]), AK 5C 제식, RM68 백병전
5~4 VHX-D3 하이 파워, A-91, MTAR-21(~36m)
AK-24 하이 파워(65m~145m), M416(23m~66m)[19]
3.5~ AK-24(16~36m), AK 5C 제식(~40m)
}}} ||

2.1. M5A3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M5A3 ||
파일:bf2402_m5a3.png
2034년 이후 미국 제식 소총이 된 M5A3은 반자동 발사 또는 자동 발사 방식에 사용되는 다양한 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 해제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2-15 (750)770 단발 | 전자동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755m/s 30m-75m 30+1 2.29(2.29)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TV 2x 기본 해제
퓨전 홀로 5킬
브라보 3x 25킬
UT-1 스마트 1.5x 전문 단계 130킬
8R 홀로 전문 단계 260킬
MAUL 하이브리드 1.5-3x 전문 단계 4120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25x-2.5x 전문 단계 5150킬
XDR 홀로 전문 단계 6180킬
레이븐 4x 전문 단계 8240킬
SHAN 2.5x 전문 단계 10300킬
K8 홀로 전문 단계 11330킬
M11 6x 전문 단계 12360킬
M22 3.5x M5A3로 150m 이상 거리에서 100킬
PSO-1M3 5x M5A3로 125m 이상 거리에서 50킬
TR-1 열화상 1.25x M5A3로 조준사격 100킬
T4 열화상 2.5x M5A3로 조준사격 15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백병전 전문 단계 130킬
하이 파워 전문 단계 390킬
서브소닉 전문 단계 5150킬
철갑탄 전문 단계 7210킬
제식 / 확장 탄창 전문 단계 721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BCG 경량 그립 전문 단계 130킬
손전등 전문 단계 260킬
ADR 양각대 전문 단계 390킬
방울뱀 경량 그립 전문 단계 5120킬
BCG 경량 그립 전문 단계 5150킬
40mm 고폭탄 전문 단계 6180킬
LWG 그립 전문 단계 7210킬
40mm 연막탄 전문 단계 8240킬
마스터키 전문 단계 10300킬
LS-1 레이저 조준기 전문 단계 11330킬
40mm 소이탄 M5A3 하단 부착 발사기로 50킬
STNR 레이저 사이트 M5A3로 지향사격 5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확장 총열 15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13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260킬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390킬
짧은 총열 전문 단계 4120킬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515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6180킬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9270킬
}}} ||
{{{#!folding [상세 스탯]
탄종별 상세 정보
제식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5 (750)770
675확장 총열
900짧은 총열
755m/s
620m/s짧은 총열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1기본
40+1확장
2.29(2.29)기본
2.55(2.55)확장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30m 75m
22 18 15
}}} ||
백병전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3 (800)약 835[**]
720확장 총열
980짧은 총열
620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5+1 2.08(2.08)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10m 40m 75m
22 18 15 13
}}} ||
하이 파워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8 (700)720
600확장 총열
835짧은 총열
850m/s
755m/s짧은 총열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1 2.55(2.55)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75m
22 18
}}} ||
서브소닉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5 (700)770[*]
675확장 총열
900짧은 총열
620m/s
525m/s짧은 총열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1 2.29(2.29)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40m 75m
22 18 15
}}} ||
철갑탄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18-13 (700)710
610확장 총열
840짧은 총열
850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1 2.55(2.55)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30m 75m
18 15 13
}}} ||

}}} ||


전체적인 평가는 모난 데 없는 '육각형 돌격소총'

실제 모델은 NGSW에 출품된 SIG 사의 돌격소총인 MCX SPEAR로, 개발 당시에는 최종 형태가 불분명했기 때문에 19년형 모델의 외형으로 등장한다.[22]

기본 지급 총기지만 초보자도 고인물도 두루 쓰는 총기이다. 근거리의 MCS-880, 중장거리의 RM68처럼 특별하게 강한 점은 없으나 그렇다고 큰 단점이 있지도 않는 균형잡힌 총기로, 특히 짧은 총열 + 제식 탄창 조합은 약 900 RPM의 빠른 연사속도와 대미지를 모두 챙길 수 있어 국민 조합으로 통하고 있다. 시즌 7에서는 탄퍼짐 버프와 함께 28 대미지로 헤드 2방이 가능하던 고위력 총기들이 하향되며 상대적으로 더 쓸만해졌다.

서브소닉의 경우 최대 장탄수가 40발에서 30발로 줄어들고 탄속이 줄어드는 대신 유효 사거리가 40m로 10m 더 길고, 총구 화염과 예광탄 효과가 대폭 감소하며 적의 피격 효과도 조금 줄어든다. 이 서브소닉 탄종과 거리별 화력이 비슷한 PP-2000 SMG와 비교하면 M5A3가 장착할 수 있는 부착물도 많고 헤드샷 계수와 탄속도 더 높지만, 대용량의 확장 탄창이 없는 등 화력 지속력이나 휴대성은 밀린다.

참고로 마스터키는 스펙표에서 볼 수 있듯 AK-24, LCMG, SWS-10 등 장착되는 총기마다 장전 속도, 최대 피해량 및 유효 사거리가 약간씩 다 다른데, M5A3가 유효 사거리도 가장 길고 무난하게 어울려 사용하기 좋다. 연사력도 주무기 짧은 총열로 높일 수 있어 10m까지는 12M 오토 수준의 화력을 낼 수 있다. MCS-880 #01 탄종이 조작이 불편하지만 한방 화력이 강한 것과 달리, 마스터키는 한방 화력은 약하지만 연사력과 장전 속도가 높아 다루기 더 편하다는 차이가 있다. 다만 어디까지나 부착물이다보니 탄약이 18발 밖에 주어지지 않는 게 단점이다.

M5A3를 비롯한 900 RPM대 돌격소총을 9m~43m 교전을 중심으로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folding [7.2 패치 900 RPM 총기 비교 상세 정보 보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bgcolor=#fff,#1c1d1f> 총기 명중률 제어 장전 편의성 유효 사거리 탄속 비고
AM40 3 2.5(~3) 가장 빠름 30m 5 양각대 없음, 부착물 부족
VHX-D3 4(~4.5) 3(~4) 상급 40m 4 양각대는 없으나 부착물이 다양함
기본 연사력을 바탕으로 AEK 느낌으로 모딩할 수도, 소음기 부착 모딩을 할 수도 있음
AEK-971 4.5(~5) 4
수직 위주
느린 편 40m 3.5(~4) 부착물이 없을 때도 효과적
빠른 유탄 장전 및 저속탄 이점 존재
소음기, 레이저 사이트가 5개 비교군 중 가장 무난함
M5A3 서브소닉 5 5 중상 40m 1.5 짧은 총열이 필수적이라 탄속이 느림
그래도 SMG보다는 25% 정도 빠르며 30m 후반까지는 괜찮음
서브소닉의 가시성 감소 효과가 쓸만함
M5A3 5 5 중상 30m 2.5 사용하기 무난하며 좋은 총기
}}}}}} ||
[M5A3/여담]

고증에 맞춰 짧은 총열과 하이 파워 탄창[23]을 장착할 수도 있지만 시즌 7 기준으로 별로 좋지 않다.[24] 백병전 + 짧은 총열 조합의 근거리 연사력 세팅을 맞추면 전체 총기 중 세번째로 빠른 980 RPM이 되지만, 중거리 TTK가 굉장히 늘어지는 탓에 이후 출시된 GEW-46 제식과 비교하면 장점이 많이 없어서 쓰이지 않는다.

여담으로 제식 탄창으로 실제 총기와 다르게 5.56mm 30/40발 들이 맥풀 PMAG가 쓰이고, 백병전 탄창으로는 9mm 탄창이 사용된다.[25] 하이파워 탄창의 모델링은 실제 XM7과 같은 L7AWM 사각형 탄창으로, 탄피 모델링 또한 6.8×51mm의 퓨리 황동-스테인리스 탄피로 바뀐다.[26]

6.4 패치 기준, 너프된 VHX-D3 제식보다 쓰기 편하고 잘 맞는 총기를 선호하면 짧은 총열 M5A3를 사용하면 된다. 다만 중거리 이상에서는 탄속이 느린 걸 감수해야 한다.

7.0 패치에서 탄퍼짐 계산 방식이 변경되어, 최대 탄퍼짐 상태에서 명중률이 약 10% 증가했다.

2.2. AM40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AM40 ||
파일:bf2042_am40.png
근접전에 적합한 이 다재다능한 무기는 SMG와 비슷한 패키지에서 돌격소총의 파워를 제공합니다.
시즌 2 배틀 패스 티어 10 보상
플레이어 레벨 3에서 해제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하이 파워 26-15 (800)810 단발 | 전자동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850m/s 10m-75m 20+1 1.89(1.56)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K8 홀로 5킬
타깃 8T 1.25-4.5x 25킬
브라보 3x 전문 단계 130킬
XDR 홀로 전문 단계 260킬
퓨전 홀로 전문 단계 390킬
TV 2x 전문 단계 4120킬
UT-1 스마트 2.5x 전문 단계 5150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25-4x 전문 단계 6180킬
M22 3.5x 전문 단계 7210킬
SHAN 2.5x 전문 단계 8240킬
PSO-1M3 5x 전문 단계 9270킬
8R 홀로 전문 단계 10300킬
MAUL 하이브리드 1.5-3x 전문 단계 11330킬
TR-1 열화상 1.25x AM40으로 조준사격 50킬
T4 열화상 2.5x AM40으로 조준사격 100킬
▶ 탄약
하이 파워 기본 해제
제식 전문 단계 260킬
서브소닉 전문 단계 390킬
하이 파워 / 확장 전문 단계 6180킬
제식 / 드럼 탄창 전문 단계 1236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손전등 15킬
BCG 경량 그립 전문 단계 130킬
LS-1 레이저 조준기 전문 단계 4120킬
LWG 그립 전문 단계 5150킬
코브라 그립 전문 단계 7210킬
MGL 레이저 사이트 AM-40으로 지향사격 5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130킬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260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39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412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8240킬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9270킬
}}} ||
{{{#!folding [상세 스탯]
탄종별 상세 정보
하이 파워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6-15 810[**] 850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1기본
30+1확장
1.89(1.56)기본
2.6(2.14)확장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10m 40m 75m
26 22 18 15
}}} ||
제식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4-15 (850)900[900] 975m/s기본
850m/s드럼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1기본
40+1드럼
1.89(1.56)기본
2.6(2.14)확장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10m 30m 50m
24 22 18 15
}}} ||
서브소닉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6-15 (800)810 680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1 1.89(1.56)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10m 20m 50m
26 22 18 15
}}} ||

}}} ||


전체적인 평가는 근중거리에 특화된 '근거리형 돌격소총'

실총은 칼라시니코프 사의 AM-17 단축형 돌격소총이다.

플레이어 레벨 3에 해금되어 높은 접근성이 특징으로, 주로 사용하는 제식과 하이 파워 탄종의 경우 주력급 AR인 M5A3, GEW-46과 동등한 데미지 모델을 갖고 있어 이들과 교전 시에도 동등한 모습을 보여 준다. 하지만 이들보다 반동, 비주얼 리코일이 크게 별로인 편이라 주력으로 사용하기에는 아쉬움이 따른다. 게다가 총열이 짧은 단축형 돌격소총이기 때문에 유탄과 마스터키가 제공되지 않는다. 그래도 레이저 세 종류와 BCG, LWG 그립을 가지고 있어 그립류에는 꿇리는 면은 없는 편. 다만 기본 탄창의 장전 속도가 빠른 수준을 넘어 AR중에서 가장 빠르므로 지속적인 1대 1로 히트 앤 런을 할 생각이거나 1킬 재장전이 습관인 사람에게는 고평가를 받는다.
[AM40/여담]
총열이 짧은 단축형 돌격소총이라는 점을 반영해 양각대와 하부 발사기를 장착할 수 없고, 총열 부착물 역시 짧은 총열과 확장 총열을 장착할 수 없다. 탄퍼짐과 체감 반동 역시 다른 돌격소총들보다 큰 편. 연사 속도가 돌격소총들 중 상위권으로 빠른데 근거리 BTK는 저연사 돌격소총과 동일한 4발이라, SMG의 감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근거리형 돌격소총으로 평가된다. 시즌 3 기간 동안에는 이 총기 때문에 대다수의 SMG가 보이지 않았을 정도.

샷건이 유리한 초근접 상황 등이 아니면[33] 근거리 투사력은 12M 오토와도 비견될 정도로 강력하다.[34] 30m 이상에서는 명중률이 급격하게 나빠지고 반동도 크게 튀기 때문에 3배율 이상의 조준경보다는 근거리 조준기를 달고 근접 런앤건 중심으로 플레이해야 효율이 좋다.

3.2 병과 개편 패치 이후 해금 조건이 레벨 3이 되면서 사실상 모든 유저에게 보급되었다. 시즌 5에서 MTAR-21이 버프를 받으며 고RPM 4발킬이라는 입지가 위협받기도 했으나, 5.0.1에서 MTAR가 도로 너프를 먹으며 근거리 전기톱 AR로 다시 복귀했다. 배틀필드 4의 AEK-971 같은 국밥 총기 포지션이 된 셈.

빠른 연사 속도 때문에 탄 소모가 극심하여 제식 탄창이나 확장 탄창을 빨리 해금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제식 확장 탄창은 10발 늘어나는 것 치고 장전 시간이 약 40%나 늘어나서 자주 장전하는 유저는 의도적으로 일반 탄창을 사용하기도 한다. 여담으로 제식 탄창의 경우 인게임 표기인 850 RPM보다 실제 연사력이 50 RPM 정도 더 높지만, 그 외의 탄종은 10 RPM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PBX와 함께 탄종 별로 실측 연사력 격차가 가장 큰 총기 중 하나로 꼽힌다.

7.2 패치에서 제식 탄종의 최대 피해량이 26에서 24로 감소되며 근거리 4발킬이 불가능해졌고, 추가로 모든 탄종의 탄퍼짐 및 수평 반동이 5% 증가했다. 그 결과 근거리에서 SMG 대비 얻는 이점이 더 줄어들며 평가가 내려갔다.

2.3. AK-24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AK-24 ||
파일:bf2042_ak24.png
7세대 칼라시니코프 라이플로, 5.45x39mm용 약실이 있으며 발사 방식이 3가지입니다. 가장 믿음직한 화기 중 하나라는 명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플레이어 레벨 11에서 해제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6-18 (650)675 단발 | 전자동 | 2점사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755m/s 10m-75m 30+1 2.74(2.27)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SHAN 2.5x 5킬
XDR 홀로 15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25-4x 전문 단계 130킬
UT-1 스마트 1.5x 전문 단계 260킬
8R 홀로 전문 단계 390킬
MAUL 하이브리드 1.5-3x 전문 단계 4120킬
브라보 3x 전문 단계 5150킬
퓨전 홀로 전문 단계 6180킬
TV 2x 전문 단계 7210킬
K8 홀로 전문 단계 8240킬
레이븐 4x 전문 단계 9270킬
M11 6x 전문 단계 11330킬
M22 3.5x AK-24로 150m 이상 거리에서 100킬
PSO-1M3 5x AK-24로 125m 이상 거리에서 50킬
TR-1 열화상 1.25x AK-24로 조준사격 100킬
T4 열화상 2.5x AK-24로 조준사격 15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철갑탄 전문 단계 130킬
하이 파워 전문 단계 390킬
제식 / 확장 탄창 전문 단계 8240킬
하이 파워 / 확장 전문 단계 10300킬
제식 / 드럼 탄창 전문 단계 1236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손전등 25킬
코브라 그립 전문 단계 130킬
LWG 그립 전문 단계 260킬
방울뱀 경량 그립 전문 단계 4120킬
40mm 고폭탄 전문 단계 5150킬
BCG 경량 그립 전문 단계 6180킬
40mm 소이탄 전문 단계 7210킬
LS-1 레이저 조준기 전문 단계 8240킬
ADR 양각대 전문 단계 9270킬
40mm 철갑탄 전문 단계 10300킬
마스터키 전문 단계 12360킬
STNR 레이저 사이트 AK-24로 지향사격 5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확장 총열 전문 단계 130킬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26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390킬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4120킬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515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7210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11330킬
}}} ||
{{{#!folding [상세 스탯]
탄종별 상세 정보
제식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6-18 675연사
428점사 평균[35]
578/408확장 총열
755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1기본
40+1확장
50+1드럼
2.74(2.27)기본
3.03(2.51)확장
3.34(3.36)드럼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10m 75m
26 22 18
}}} ||
철갑탄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5 600
330점사 평균[36]
515/330확장 총열
975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1 3.03(2.51) 9.81m/s2
추가 변경 사항
탄환 유지 시간: 1.5 -> 3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20m 75m
22 18 15
}}} ||
하이 파워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6-18 (600)624연사
388점사 평균
540/370확장 총열
975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1기본
30+1확장
3.03(2.51)기본
3.2(2.67)확장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20m 150m
26 22 18
}}} ||

}}} ||


전체적인 평가는 유탄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복합형 돌격소총'

실제 모델은 러시아군의 최신형 돌격소총인 AK-12로, 2012년형 프로토타입이 등장했던 배틀필드 4와 달리, 본작에서는 제식 채용이 어느 정도 활성화되고 시제형이 아닌 최종 보급형의 모습이 널리 알려진 것을 반영해 러시아군 제식 채용 버전으로 등장한다.

총기 자체 성능은 어떤 돌격소총과 비교해도 비교 우위가 없으며, 반대급부로 하부 유탄발사기의 경우 고폭탄, 소이탄과 함께 철갑탄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2042 무기들과 달리 별도의 기계적 조작 없이 총구로 유탄을 집어넣어 장전하는 동구권 유탄발사기가 장착되어 서구권 유탄발사기 대비 약 20% 더 빠르게 장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공병 유저가 작정하고 RPG-철갑 유탄-대전차 수류탄 콤보 플레이로 장비만 따는 식으로 굴릴 때 사용되기도 한다.그렇다보니 유저들 사이에서 반쯤 농담으로 유탄이 본체고 총은 부착물이라는 말도 나올 정도.

근접전은 워낙 성능이 좋은 무기가 많은 데다 GEW-46이란 상위호환도 존재하므로 10m 4발의 효율이 소용 없고, 중거리는 시즌 7 총기인 AK 5C가 더 나으며, 근접전을 제외한 교전에서 40~50발 탄창을 원하는 유저라면 같은 칼라시니코프 계열의 경기관총 RPK-74M을 쓰는 게 차라리 더 나을 것이다.[37] 하이 파워 탄종은 가장 빠른 RM68 다음으로 탄속이 빠르며 중장거리 교전 시 화력면에서 평균 이상은 보여주지만, 75m 내에선 느린 DPM을 더 느리게 만들어 전투 효율이 떨어지니 주의.[38]
[AK-24/여담]

돌격소총이 다양하지 않고 성능도 고만고만했던 출시 초기에는 시리즈 전통의 AK 답게 저연사를 통한 안정성, 범용성을 기반으로 주력으로 사용하는 유저들도 있었지만, 현 시점에는 유탄만 빼면 2042 돌격소총 중 최약체으로 평가되고 있다.[39]

6.0 패치 이후 유탄 기본 소지량이 1발로 하향되며 특유의 빠른 재장전 활용이 불가능해지기도 했지만, 6.2 패치에서 철갑 유탄 한정으로 기본 소지량이 2발로 복구되며 다시금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총기 자체 성능은 뭔가 나사가 빠졌는데도 유독 취급이 박해서 버프보다 너프를 더 많이 받았다. 5.0.1 패치, 그리고 후속 패치들로 돌격소총들의 스프레드 회복값 및 분산도가 대부분 버프받으면서 관짝에 묻히기 직전까지 몰린 M16이나 M416, AC42 그리고 AEK-971도 조금씩 되살아난 판에, 풀연사를 해도 안정적인 스프레드와 반동이 장점이던 AK-24는 오히려 스프레드값 너프를 받으며 관짝으로 들어가버렸다. SFAR-M GL도 AK-24와 유사한 패치를 받았으나 발당 화력 자체가 좋아서 점사시 그렇게 나쁘지 않다. 7.0 패치 비주얼 리코일 개편에서는 평균 위력이 가장 낮아서인지 적당히만 바뀐 듯 한데, 그 결과 RM68과 SFAR와의 격차가 간접적으로 좁혀졌지만 이후 패치에서 비주얼 리코일 추가 개선을 크게 받지 못하며 최약체로 다시 굳어졌다.[40]

50발짜리 제식 드럼 탄창의 경우 AK 계열 자동화기 특유의 구조로 인한 드럼 탄창을 비틀어 빼는 애니메이션 때문에 재장전 시간이 상당히 느리다.[41] 게다가 AK 계열 총기 특성상 노리쇠 멈치가 없어 약실이 비었을 때 일일이 장전 손잡이를 당겨야 하기에 재장전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길다.

똥총으로 평가받는 DM7과 마찬가지로 AK-24도 스킨을 정말 잘 받는 편이다. 쓸데없이 번쩍번쩍한 다른 총기의 티어 1 스킨과는 다르게 빨간색 강조를 적절히 사용하고 분위기를 해치는 금색은 거의 없다.

2.4. SFAR-M GL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SFAR-M GL ||
파일:bf2042_sfar-m gl.png
SOCOM 용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표준 NATO 7.62mm용 약실이 있습니다. 반자동 및 자동 사격 모두 가능합니다. 표준 EGLM 40mm 유탄 발사기로, 다양한 목표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 레벨 27에서 해제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하이 파워 26-22 (600)624 단발 | 전자동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850m/s 50m-50.1m 20+1 3.43(2.43)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퓨전 홀로 5킬
브라보 3x 20킬
TV 2x 전문 단계 130킬
UT-1 스마트 1.5x 전문 단계 260킬
K8 홀로 전문 단계 390킬
레이븐 4x 전문 단계 4120킬
M22 3.5x 전문 단계 5150킬
8R 홀로 전문 단계 6180킬
MAUL 하이브리드 1.5-3x 전문 단계 7210킬
XDR 홀로 전문 단계 8240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25-4x 전문 단계 9270킬
M11 6x 전문 단계 12360킬
PSO-1M3 5x SFAR-M GL로 125m 이상 거리에서 50킬
타깃 8T 1.25-4.5x SFAR-M GL로 조준사격 50킬
TR-1 열화상 1.25x SFAR-M GL로 조준사격 100킬
T4 열화상 2.5x SFAR-M GL로 조준사격 150킬
▶ 탄약
하이 파워 기본 해제
제식 전문 단계 260킬
철갑탄 전문 단계 7210킬
하이 파워 / 드럼 전문 단계 11330킬
▼ 하단 부착물
40mm 고폭탄 기본 해제
40mm 철갑탄 전문 단계 130킬
40mm 연막탄 전문 단계 260킬
40mm 소이탄 전문 단계 39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확장 총열 전문 단계 130킬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39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4120킬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5150킬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6180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824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9270킬
}}} ||
{{{#!folding [상세 스탯]
탄종별 상세 정보
하이 파워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6-22 624
540확장 총열
850m/s[42]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1기본
40+1드럼
3.43(2.43)기본
4.05(2.87)드럼
12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50m
26 22
}}} ||
제식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6-18 (650)675
575확장 총열
680m/s[43]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1 3.12(2.2)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30m 75m
26 22 18
}}} ||
철갑탄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5 600
515확장 총열
850m/s[44]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1 3.43(2.43)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30m 75m
22 18 15
}}} ||
}}} ||


전체적인 평가는 유탄을 중심으로 운용하는 '복합형 돌격소총'

실제 모델은 FN 에르스탈 사의 Mk.17 SCAR-H이다.

3편부터 꾸준히 등장해온 7.62mm탄 사용 SCAR로 해제가 불가능한 유탄발사기를 장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45] 2042 무기 중 유이하게[46] 고폭탄, 철갑탄, 연막탄, 소이탄 등 4가지 유탄 탄종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유탄발사기 자체 스펙은 다른 총기들의 부착물 유탄발사기와 동일하다.

총기의 총체적 성능 역시 평균은 가고 데미지 모델은 하이 파워 50m 4발킬에 전거리 5발킬인 DMR 수준인 데다 데미지 모델이 40발 탄창이랑 합쳐져 믿을 게 유탄밖에 없는 AK-24와는 달리 총기 스펙이 상위권인 편이고, 그 덕에 근중-장거리 모든 거리에서 강력한 편이다. 다만 시즌 7에 추가된 비주얼 리코일 패치와 함께 추가된 AK5C 역시 고폭/철갑유탄을 보유하면서도 비주얼 리코일이 확연한 우세인지라 건플레이 기준 열세이다. 다만 장전이 느린 편이라고 해도 40발 드럼인 점, 그리고 150m를 초과하는 거리에서의 데미지 모델점사 비주얼 리코일 차이가 나는 편이라 완전한 하위호환은 아니다.

여러모로 다른 총들과는 구분되는 특이한 무기이다. 전통적으로 고RPM 총기가 높은 화력을 내는[47] 배틀필드 시리즈에서 연사력이 낮은 대신 한방한방이 묵직한 하드펀처 계열의 총기이고, 이 특징 덕분에 근거리 교전에는 취약하지만 유효사거리가 길고 탄속과 피해량이 높아 중장거리전에서 진가를 드러내는 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유탄이 고정 부착물인 데다 철갑탄을 포함한 4가지 유탄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유탄 활용성은 게임 내에서 최강. 다만 시즌 6 기간 중 고폭, 소이 유탄 소지량이 1발로 줄어들고, 서구권 총기라서 AK-24 등의 동구권 총기보다 유탄 장전 속도가 느린 건 아쉬운 부분이다.

2.5. AC-42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AC-42 ||
파일:bf2042_ac-42.png
차세대 러시아제 AR인 AC-42는 기존과 다른 불펍 방식을 활용해 총열 길이와 정확도를 줄이지 않고도 작은 프레임을 제공합니다.
플레이어 레벨 40에서 해제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5-15 1200표기, 순간
540평균
단발 | 3점사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755m/s 30m-150m 30 2.76(2.6)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XO 스마트 2x 5킬
SHAN 2.5x 15킬
8R 홀로 전문 단계 130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25-4x 전문 단계 260킬
UT-1 스마트 1.5x 전문 단계 4120킬
브라보 3x 전문 단계 5150킬
퓨전 홀로 전문 단계 6180킬
MAUL 하이브리드 1.5-3x 전문 단계 7210킬
M11 6x 전문 단계 8240킬
TV 2x 전문 단계 9270킬
K8 홀로 전문 단계 10300킬
레이븐 4x 전문 단계 11330킬
M22 3.5x AC-42로 150m 이상 거리에서 100킬
PSO-1M3 5x AC-42로 125m 이상 거리에서 50킬
TR-1 열화상 1.25x AC-42로 조준사격 100킬
T4 열화상 2.5x AC-42로 조준사격 15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서브소닉 전문 단계 260킬
제식 / 확장 탄창 전문 단계 4120킬
하이 파워 전문 단계 618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손전등 전문 단계 130킬
LS-1 레이저 조준기 전문 단계 260킬
BCG 경량 그립 전문 단계 390킬
코브라 그립 전문 단계 5150킬
방울뱀 경량 그립 전문 단계 6180킬
LWG 그립 전문 단계 7210킬
40mm 고폭탄 전문 단계 9270킬
ADR 양각대 전문 단계 10300킬
40mm 연막탄 전문 단계 11330킬
40mm 소이탄 전문 단계 12360킬
STNR 레이저 사이트 AC-42로 지향사격 5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확장 총열 25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13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390킬
대형 소음기 4형 전문 단계 4150킬
PB 대형 소음기 전문 단계 5150킬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7210킬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824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10300킬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12360킬
}}} ||
{{{#!folding [상세 스탯]
탄종별 상세 정보
제식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5-15 540점사 평균
540확장 총열
755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기본
39확장
2.76(2.6)기본
3.07(2.89)확장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30m 50m 75m 150m
25 22 20 18 15
}}} ||
서브소닉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5-15 540점사 평균
540 확장 총열
620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 2.76(2.6)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30m 50m 75m 150m
25 22 20 18 15
}}} ||
하이 파워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5-17 540점사 평균[48]
540확장 총열
975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1 3.07(2.89) 12m/s2
추가 변경 사항
탄환 유지 시간: 1.5 -> 3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30m 100m 150m
25 22 19 17
}}} ||

}}} ||


전체적인 평가는 중거리를 보는 '표준형 돌격소총'

원본 모델이 없는 가상의 총기[49]로, 러시아제 불펍식 소총이라는 설정. 외형은 여러 불펍식 총기[50] 등을 참고한 모습이며 대체로 굴곡이 있는 곳은 각지게 변경되어 있다. 돌격소총이면서 오픈 볼트 매커니즘을 적용했는지 전술 재장전을 해도 추가 약실 탄약 1발이 장전되지 않는다.

순간 1200RPM의 고속 3점사 소총으로 제식-서브소닉 기준 30m 4발킬 75m 까지 5발킬에 평균적인 탄속이 나오는 중거리형 AR이다. 이런 류의 총기가 일반적으로는 장거리형 데미지 모델이나 고속탄으로 메리트를 제공하는 경향을 생각하면 상당히 의외인 총기 스펙. 3점사의 순간 연사력이 높아 원탭 펀치력은 뛰어나지만 총기 자체의 한계 때문에 쓰는 유저는 드물다.[51] 부착물 면에서도 애매한 점이 많은데, 조준경의 수는 인게임 내 공용 조준경 대부분을 지원하지만 탄창은 4종 뿐에 유탄은 있지만 마스터키와 철갑유탄이 없는 탓에 범용성 측면에서 크게 뒤떨어진다. 게다가 단축 총열이 없어 교전이 가장 자주 일어나는 근중거리에서 데미지 모델은 모난 데가 없지만 완전 자동 사격이 되는 타 돌격소총과 비교해보면 점사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실력이 아니고서야 총기 자체의 성능에서 먼저 밀린다. 불펍식이라서 재장전이 느린 건 덤.
[AC-42/여담]

3점사 사이의 간격은 180 RPM이다. 계산이 뭔가 애매하지만, 인게임 및 패치 노트 표기로 보이는 개발진의 계산 방식을 따르면 AK-24, NVK-P125의 2점사 간격은 160 RPM이고, 3점사의 경우 유추해 볼 때 G57은 160 RPM, M93R은 162~162.5 RPM 정도이다. 물론 2042 개발진이 그렇듯 노트에 적힌 정보가 잘못 기재되어 있었거나, 잠수함 패치로 바꿨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중장거리 교전 명중률을 올리려면 양각대와 중배율 조준경을 쓰는 것이 좋다. 시즌 7 이전 과거에는 점사 간 반동과 사격 간 반동 모두 꽤 큰 편이라 그냥 하단 손잡이를 달고 쏘면 탄착군을 한 곳에 모으기 힘들었으며, 점사시 반동이 매번 좌상향으로만 튀는 성향이 있었다.
초창기에는 스프레드가 좋아서 높은 단발 명중률을 이용해 단발 사격 모드로 중장거리에서 운용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후 RM68 돌격소총[53] 및 신규 DMR들이 추가되며 보기 드물어졌다.

7.0 패치에서 최대 피해량이 28에서 25로 너프되고, 중간 피해량이 탄종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었다. 또한 무지성 연사시 탄퍼짐이 증가했지만, 반동 감소 패치가 된 후 탄퍼짐을 제어하며 점사하면 그만큼 유효 사거리와 연사력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패치 후 헤드를 1발만 맞출 경우 3점사 원탭이 불가능하지만 사용하기는 더 쉬워졌다. 또한 5발킬 거리가 25m 짧았던 서브소닉의 대미지 모델이 제식 탄종과 동일해졌다. 하이 파워 탄종은 100m 이상 피해량만 상향되고 근거리 화력이 상향되지 않은 것을 볼 때, 초창기 금고 무기의 중총열처럼 반동이 커지는 대신 탄속 증가 및 50m 이상에서 화력 상승을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

2.6. RM68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RM68 ||
파일:bf2042_rm68_2.png
6.8mm 고분자 탄피 탄약을 사용하는 이 소음기 일체형 돌격소총은 총열 길이가 늘어난 덕에 높은 명중률을 자랑합니다.
시즌 4 배틀 패스 티어 40 보상
한 라운드에서 M5A3로 처치 및 지원 20회
돌격소총으로 조준사격 헤드샷 처치 10회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6-18 (620)624 단발 | 전자동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975m/s[54] 30m-150m 20 2.43(2.58)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TV 2x 기본 해제
K8 홀로 5킬
브라보 3x 전문 단계 130킬
UT-1 스마트 1.5x 전문 단계 260킬
8R 홀로 전문 단계 390킬
퓨전 홀로 전문 단계 4120킬
TR-1 열화상 1.25x 전문 단계 5150킬
SHAN 2.5x 전문 단계 6180킬
M22 3.5x 전문 단계 7210킬
레이븐 4x 전문 단계 8240킬
M11 6x 전문 단계 927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하이 파워 전문 단계 260킬
제식 / 확장 탄창 전문 단계 390킬
백병전 전문 단계 1133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손전등 15킬
BCG 경량 그립 전문 단계 130킬
LWG 그립 전문 단계 4120킬
40mm 고폭탄 전문 단계 5150킬
LS-1 레이저 조준기 전문 단계 6180킬
코브라 그립 전문 단계 7210킬
ADR 양각대 전문 단계 8240킬
STNR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10300킬
방울뱀 경량 그립 전문 단계 11330킬
MGL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12360킬
◀ 총열
CCN 소음 제동기 기본 해제
6KU 소음기 25킬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13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260킬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390킬
짧은 총열 전문 단계 4120킬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927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10300킬
}}} ||
{{{#!folding [상세 스탯]
탄종별 상세 정보
제식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6-18 (620)624
740짧은 총열
975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기본
30확장
2.43(2.58)기본
2.71(2.87)확장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30m 150m
26 22 18
}}} ||
하이 파워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6-22 (600)624
740짧은 총열
1135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 2.71(2.87)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40m
26 22
}}} ||
백병전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8 (640)675
770짧은 총열
755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 2.2(2.34)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100m
22 18
}}} ||

}}} ||


전체적인 평가는 중장거리까지도 보는 '장거리 돌격소총'

실제 모델은 NGSW에 출품된 제너럴 다이내믹스, 베레타 사의 합작 불펍식 돌격소총인 RM277로, MCX SPEAR을 모티브로한 M5A3처럼 19년형 모델의 외형으로 등장한다.

축 소음기와 제식 확장 탄창을 주력으로 150m까지도 커버할 수 있는 강력한 장거리형 돌격소총이다. 740RPM에 30m 4발킬, 150m 5발킬은 첫 등장 당시에는 대적할 총기가 전무했고, 지금도 모든 총기들 중 데미지 모델의 순수 성능에서 최상에 꼽힌다.[55] 다만 강력한 데미지 모델에 힘입어 강력한 비주얼 리코일로 되돌아온다는 점이 단점으로, 거기다 핵심 부착물인 단축 소음기의 명중률 페널티가 더해져, 30m 이상에서는 정확한 탄 관리와 점사 운용이 강제되는, 숙련자용고인물용 AR이다.

F키로 토글할 수 있는 보조 기계식 조준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때문에 기계식 조준기 대신 TV 2x가 기본 조준기로 제공되는 대신 하이브리드 광학 장비가 해금되지 않는다. 또한 수직 반동 제어 기능이 있는 전용 소음기가 기본 총열을 대체하며, 짧은 총열에도 해당 소음기가 장착되어 있다. AC-42와 마찬가지로 오픈 볼트 방식이라 약실 추가 탄약 장전이 불가능하다.
[RM68/여담]

출시 이후 오랜 기간 동안 A+~S+급 오버파워 돌격소총[56] 자리에 위치했다. 기존 AK-24나 SFAR 제식탄과 비교해 더 긴 유효 사거리를 가지고 있는 데다, 짧은 총열에도 전용 소음기가 장착되어 있어 연사력을 700 RPM까지 올리면서 소음기 + 수직 반동 감소 효과까지 얻을 수 있었기 때문. 여러 너프를 받은 시즌 7 시점에서도 근중거리 이후에서의 탄속이 빠른 편이고, 큰 폭으로 너프되어 애매해진 백병전을 뺀 다른 탄종은 여전히 주력 수준의 성능을 가지고 있다.[57] 단점은 확장 탄창을 포함해 최대 탄창 크기가 30발이라는 것과 불펍 구조 때문에 장전 속도가 느리다는 것으로, 그렇다보니 근접전에서 다수를 상대로 한 교전 성능이 다른 돌격소총에 비해서 떨어지는 편이다.

전성기였던 시즌 4 기간 중에는 15m 내 근접전이 아니라면 사실상 완벽에 가까운 사기성[58]을 보였던 탓에 유저들은 같은 오버스펙 반열의 12M 오토 샷건과 같이 지속적으로 너프 요청을 보냈으나, 결국 시즌 4 기간 동안 어떠한 너프도 받지 않았다.[59] 그 결과 시즌 5 출시와 함께 공개된 인포그래픽에서 기본 돌격소총인 M5A3를 누르고 시즌 1~4 동안 가장 많이 사용된 주무기 1위에 올랐다.

이후 5.0 패치에서 돌격소총 중거리 탄퍼짐 조정으로 약 50미터 이후의 연사 탄퍼짐이 돌격소총 평균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서 거리에 따라 점사와 단발을 적절하게 섞어 사용해야 하도록 바뀌었다. 2주 뒤 5.0.1 패치에서 추가로 탄종에 따라 4발킬 거리 감소/삭제[60] 및 탄속 90m/s 감소 등의 직접적인 너프가 이루어졌는데, 이와 함께 점사 시의 탄퍼짐 복원력이 다시 좋아졌다.

7.0 패치로 기존의 정적인 비주얼 리코일에서 같은 연사력의 GEW-46보다 더 강한 비주얼 리코일로 변경되며 사용하기 조금 까다로워졌는데, 후속 패치로 조준경 레티클이 강하게 튀지 않게 된 대신 총몸만 흔들리도록 조정되어 어느 정도 적응이 필요해졌다. 특이하게도 저배율 도트 사이트의 비주얼 리코일이 강하고 고배율 조준경의 비주얼 리코일은 얌전한 편이다. 다만 여전히 시즌 4 시절의 풀연사 위주의 운영이 아닌 SFAR-M와 비슷한 점사 위주의 운영이 필수적이며 유독 점사 반동이 다른 돌격소총들보다 큰 단점이 존재한다.
  • 제식탄과 하이 파워탄의 실측 연사력이 표기와 달리 동일하다. 짧은 총열 연사력도 동일. 그리고 출시 이후 탄종에 관계없이 짧은 총열 장착 연사력이 모두 동일한 문제가 수정되지 않고 있다가, 잠수함 패치로 백병전 짧은 총열 연사력이 770 RPM으로 상향되며 수정되었다.

2.7. GEW-46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GEW-46 ||
파일:bf2042_gew-46.png
뛰어난 조작성과 저지력으로 백병전에서 위협적인 소형 돌격소총입니다.
시즌 5 배틀 패스 티어 28
돌격소총으로 지향사격 처치 40회
기관단총으로 조준사격 처치 80회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하이 파워 26-18 (700)약 740 단발 | 전자동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850m/s 20m-150m 20+1 2.26(2.26)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퓨전 홀로 5킬
브라보 3x 15킬
UT-1 스마트 1.5x 25킬
TV 2x 전문 단계 130킬
MAUL 하이브리드 1.5-3x 전문 단계 260킬
XDR 홀로 전문 단계 390킬
T4 열화상 2.5x 전문 단계 4120킬
레이븐 4x 전문 단계 5150킬
8R 홀로 전문 단계 6180킬
TR-1 열화상 1.25x 전문 단계 7210킬
SHAN 2.5x 전문 단계 9270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5-4x 전문 단계 10300킬
M22 3.5x 전문 단계 12360킬
▶ 탄약
하이 파워 기본 해제
하이 파워 / 확장 전문 단계 130킬
제식 전문 단계 5150킬
서브소닉 전문 단계 824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BCG 경량 그립 전문 단계 130킬
LWG 그립 전문 단계 260킬
손전등 전문 단계 390킬
코브라 그립 전문 단계 4120킬
ADR 양각대 전문 단계 5150킬
STNR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618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260킬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390킬
확장 총열 전문 단계 412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6180킬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7210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8240킬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11330킬
}}} ||
{{{#!folding [상세 스탯]
탄종별 상세 정보
하이 파워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6-18 약 740
624확장 총열
850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1기본
30+1확장
2.26(2.26)기본
2.54(2.54)확장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20m 30m 100m 150m
26 24 22 20 18
}}} ||
제식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6-18 (750)810[*]
675확장 총열
680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1 2.06(2.06)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10m 50m
26 22 18
}}} ||
서브소닉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6-18 약 740
624확장 총열
680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1 2.26(2.26)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10m 40m
26 22 18
}}} ||

}}} ||


전체적인 평가는 탄종에 따라 성격이 바뀌는 '적응형 돌격소총'[62]

실제 모델은 H&K G36C. 공개 당시 대부분의 유저들이 당연히 금고 무기라고 생각했을 정도로, 실제 총기와 매우 가까운 모습으로 출시되었다.

두 가지 탄종이 주력으로 사용되어 각각 설명한다
[GEW-46/여담]

하이 파워, 제식, 서브소닉 세 탄종 모두 최대 장탄수는 30발에 장전 속도가 꽤 빠르다. 하이 파워 탄종의 화력 자체는 근거리에서 중거리 이상까지도 무난하지만, 하이 파워 특유의 반동과 애매한 탄퍼짐이 단점. 제식 탄종도 빠른 장전 속도를 빼면 탄속도 느리고 AK와 SFAR처럼 연사 명중률도 나빠 7.2 패치의 AM40 제식 너프 전까지는 하위호환처럼 느껴졌으며,[66] 서브소닉 또한 성능이 꽤나 애매해 극초반 장비인 M5A3/AM40 서브소닉의 평균보다 딱히 우위를 가져가는 부분이 없다. 그러다보니 시즌 4에서 RM68을 너무 강력하게 만든 탓에 일부러 어중간한 스펙으로 만들었냐는 말도 나올 정도.[67]

하이 파워, 제식탄의 대미지 모델[68]과 탄퍼짐 등이 AK-24와 비슷한데, 대용량 탄창이 없으나 장전 속도가 빠르고 연사력도 12~13.5% 정도 높은 장점을 가졌다.[69] 제식 탄종은 AK-24 제식보다 연사력이 20% 오르면서 탄속은 반대로 내려가므로 짧은 총열을 단 상태와 비슷하다. 유사한 800 RPM 무기와 비교하면 M16A3나 A-91에서 장전 속도가 빨라지고 10m까지 4발킬 거리가 추가된 것과 비슷하지만,[70] 해당 스탯들을 제외하면 수치가 떨어진다. 하이 파워 탄종의 경우 반동이 크게 튀는 편이라 아콤 제동기 등 수평 반동을 제어할 수 있는 부착물을 장착하는 게 좋다.

6.1 패치에서 전반적인 명중률이 5% 너프되었는데, 개발진은 패치 노트에서 장거리 사격에서만 너프가 체감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후 6.2 패치에서는 하이 파워 탄종의 100m 이후 피해량이 22에서 20으로 감소하고, 20~30m 피해량이 22에서 24로 늘어났다. 이렇듯 시즌 6 들어 개발진이 GEW-46에서 장거리 교전 성능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정작 아래에도 언급한 하이 파워 단발 연사력 버그는 수정되지 않고 있다.

두번에 걸친 탄퍼짐 너프로 인해, 시즌 6에서 7.1 패치까지는 하이 파워는 물론 제식 탄종도 길게 연사하면 눈 뜨고 못 볼 집탄률과 좌우반동을 보였다.[71] 그래도 하이 파워 탄종의 150m까지 5방컷이라는 대미지 모델은 타 돌격소총의 하이 파워 탄종과 비교해봐도 꽤나 메리트가 있어서, 돌격소총에 DMR 감각을 첨가하면 나쁘지 않게 쓸 수 있었다.

시즌 7 기간 중 진행된 비주얼 리코일 대개편에서 다른 총기들이 비주얼 리코일 강도에 따라 등락을 오고갈 때 그래도 제일 정적인 비주얼 리코일을 보여줬다.[72] 7.2 패치 시점에서는 하이 파워를 포함해 비주얼 리코일이 전체적으로 좋아져서, 전술 보정기를 제외한 성향에 맞는 총구 부착물과 BCG 그립을 장착하고 근중거리까지는 풀연사로 교전해도 괜찮아졌다. 다만 주력 교전거리인 12~42m는 명중률이 그렇게 나쁘지 않지만, 중거리 이상의 경우 비주얼 리코일 상향과 별개로 집탄률에 따른 명중률이 그렇게 좋지는 않다. 따라서 실력이 된다면 LWG 그립 등의 수직 손잡이와 전술 보정기 조합으로 중거리 이하는 10~6발씩 끊어서 사용하고 62~124m 이상의 먼 거리는 1~4점사로 조절하는 것을 추천한다.

* 제식탄은 표기보다 실측 연사력이 8%나 빠르다. 제식 탄종과 서브소닉 탄종의 탄속이 동일하고, GEW-46 제식 탄종의 탄속이 4발킬이 가능한 여러 총기의 서브소닉 탄속과 같은 점도 이상하다면 이상한 부분.[73][74] 그리고 특이하게도 하이 파워 탄종의 단발 모드 연사력이 675 RPM 정도로 다른 탄종보다 더 빠르며, 여기에 확장 총열을 장착하면 단발 모드는 그대로 675 RPM이고, 740 RPM였던 연사 모드만 624 RPM으로 낮아져 서로 연사력이 역전되는 버그가 있다.[75]

하이 파워 확장 탄창의 경우 다른 탄과 다르게 고유의 애니매이션을 사용한다.

2.8. VHX-D3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VHX-D3 ||
파일:bf2042_vhx-d3.png
현대적인 불펍 설계로 높은 연사력, 총구 속도, 정확성을 자랑하지만, 제대로 활용하려면 상당한 수준의 실력이 필요합니다.
시즌 6 배틀 패스 티어 19 보상
한 목숨 안에 헤드샷으로 처치 5회
MTAR-21 또는 AC-42로 처치 및 지원 100회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2-15 (850)900[900] 단발 | 전자동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755m/s 30m-100m 30+1 2.67(2.49)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TV 2x 5킬
퓨전 홀로 15킬
XO 스마트 2x 전문 단계 130킬
브라보 3x 전문 단계 390킬
8R 홀로 전문 단계 4120킬
MAUL 하이브리드 1.5-3x 전문 단계 5150킬
UT-1 스마트 1.5x 전문 단계 7210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25x-4x 전문 단계 7210킬
XDR 홀로 전문 단계 8240킬
레이븐 4x 전문 단계 9270킬
SHAN 2.5x 전문 단계 10300킬
K8 홀로 전문 단계 11330킬
M11 6x 전문 단계 12360킬
M22 3.5x VHX-D3로 125m 이상 거리에서 50킬
타깃 8T 1.25x-4.5x VHX-D3로 조준사격 50킬
T4 열화상 2.5x VHX-D3로 조준사격 10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하이 파워 전문 단계 260킬
서브소닉 전문 단계 6180킬
제식 / 확장 탄창 전문 단계 927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BCG 경량 그립 전문 단계 130킬
손전등 전문 단계 260킬
방울뱀 경량 그립 전문 단계 390킬
BCG 경량 그립 전문 단계 4120킬
40mm 고폭탄 전문 단계 5150킬
LWG 그립 전문 단계 6180킬
40mm 연막탄 전문 단계 7210킬
LS-1 레이저 조준기 VHX-D3로 지향사격 50킬
40mm 소이탄 VHX-D3 40mm 고폭탄으로 5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확장 총열 25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13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260킬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390킬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412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5150킬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6180킬
PB 대형 소음기 전문 단계 8240킬
}}} ||
{{{#!folding [상세 스탯]
탄종별 상세 정보
제식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5 900
770확장 총열
755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1기본
40+1확장
2.67(2.49)기본
2.67(2.49)확장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30m 40m 50m 75m 100m
22 20 19 17 16 15
}}} ||
하이 파워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5-16 (800)810[**]
740확장 총열
850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1 2.96(2.78)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5m 20m 50m 100m 150m
25 24 22 18 17 16
}}} ||
서브소닉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4 (800)약 835
720확장 총열
620m/s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1 2.67(2.49)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30m 40m 50m 75m 100m 150m
22 20 18 17 16 15 14
}}} ||

}}} ||


전체적인 평가는 모난데 없는 '육각형 돌격소총'

실제 모델은 크로아티아의 HS 프로덕트에서 개발된 불펍 돌격소총 VHS-D2.[78]

둘밖에 없는 고명중 고RPM의 육각형 돌격소총으로 M5A3와 비교 시 10m 가량의 사거리 우위와 빠른 탄속, 자유로운 총구 부착물이 장점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딱히 선호받는 총기는 아닌데, 비슷한 류의 M5A3 숏배럴에 비해 반동 면에서 크게 불리하고 [79] 스펙 상의 명중률은 물론 VHX가 우위이지만 높은 반동 탓에 전술 보정기를 장비하면 연사에 가까운 짧은 점사가 힘들어지므로 이러나저러나 애매한 총기이다. 따라서 보정기로 운용할 거라면 짧은 점사를 연속으로 박으면서도 높은 반동을 극복하고서 정확하게 적을 조준하고 있어야 하는 4편의 AEK-971스러운 운용을 요구한다. 전반적으로 데미지 모델은 훌륭한데 반동이 발목을 잡는다.

[VHX-D3/여담]

점사 소총인 AC-42를 제외하면 RPM도 높은 편인 데다, 풀오토 불펍 돌격소총 중 유일하게 고폭/소이/연막 유탄을 장착할 수 있다. AM40의 빠른 연사력과 M5A3 제식의 특징이 조금 합쳐진 듯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제식 탄종은 900 RPM의 높은 기본 연사력을 가지고 있고, 최대 장탄수도 40발로 넉넉한 편이다. 서브소닉 탄종의 경우 최대 대미지 및 유지 거리는 제식과 같지만, 연사력은 하이 파워처럼 낮아진다. 짧은 총열이나 백병전 탄창이 없어 최대 연사력을 더 높일 수는 없다.

시즌 4 당시 불펍 돌격소총인 RM68이 상당히 사기적인 스펙으로 나온 탓에 똑같은 불펍식 돌격소총인 VHX-D3도 사기적인 스펙으로 나오지 않을까 우려섞인 반응들이 있었는데, 실제로 출시 당시 평가는 전성기 RM68의 S+급 OP는 아니지만 A+~S급 총기라는 평이 대부분이었으며, 고연사력, 낮은 스프레드, 높은 대미지 모델이 합쳐진 육각형 총기라는 평가가 주류였다. 때문에 신규 무기 밀어주기가 끝난 시즌 6 중반 이후 연속으로 너프를 받게 된다.

6.2 패치에서 일어선 상태의 초탄 명중률 및 발당 탄퍼짐 증가율이 너프되었고#, 실측 연사력이 표기보다 더 낮게 나오는 문제[81]가 잠수함 패치로 수정되었다. 6.3 패치 하루 전인 2024년 1월 29일에는 백엔드 패치로 점사에 적합하게 탄퍼짐이 조정되었다. 연사시 탄퍼짐 증가 속도와 사격 중단 시 탄퍼짐 감소 속도를 늘리고 수평 반동을 10% 줄여 점사 성능을 버프하면서, 일어선 상태의 지향사격 명중률을 낮춰 근접전에서의 무지성 연사 성능을 너프한 것.[82] 그리고 시즌 6 마지막주인 2월 13일에는 2차 백엔드 패치근중거리 피해량 너프,[83] 수평 반동 감소 롤백, 수직 반동 5% 증가, 정지 기상/이동 기상/이동 앉아쏴 자세에서의 조준 탄퍼짐이 소폭 증가하는 등 추가적인 너프 조치가 이루어졌다.[84]

7.2 패치에서 하이 파워 탄종의 5m 이후 최대 피해량이 25에서 24로 너프되면서 근거리 4발킬이 불가능해졌다.[85] 하이 파워 탄종을 한 시즌 먼저 출시된 GEW-46 하이 파워 탄종과 비교하면, 7.1까지는 장탄수와 장전 속도가 떨어지는 대신 주 교전 거리에서의 명중률과 연사력에 기반한 화력은 조금 더 좋다고 볼 수 있었지만[86] 4발킬 거리 너프 패치 이후에는 확실히 열세가 되었다.[87]

출시 당시부터 확장 총열 선택시 탄종이 달라도 실측 연사력이 같은 문제[88]가 있었지만 7.0 패치에서 수정되었다. 그리고 특이한 점으로 하이 파워와 서브 소닉의 기본, 확장 총열 부착 실측 연사력이 미세하게 다르다.

M5A3와 비교하면 출시 당시에는 VHX-D3가 M5A3의 단적인 상위호환의 모습을 보였으나, 시즌 6 후반에 몰아친 너프로 인해 차이가 미미해졌다. 두 총기의 제식 탄종을 비교하면 짧은 총열을 장착한 M5A3와 연사력이 서로 같지만, 총열 차이 때문에 VHX-D3의 탄속이 약 23% 빠르다. 5발킬 유효거리는 40m로 VHX-D3가 더 길지만, M5A3가 집탄률이나 조작성면에서 더 용이하다.[89] 장점이 일부 있긴 하지만 사용감이 불편한 M5A3로 인식되는 중이다. 반동/탄퍼짐 컨트롤 실력이 있고, 42m 이상 교전에서 탄속에 신경을 쓴다면 좀 드물지만 하향된 VHX-D3를 주력으로 그냥 사용 중인 유저도 있다. 거의 동급에 들어온 AEK-971과 비교하면 하단의 그립이 다양한 것이 이점이며, 장착 가능 유탄이 저속탄이 소이탄으로 바뀐 정도가 있다.
또한 빠른 연사력에서 오는 강력한 화력은 장점이지만 AM40과 마찬가지로 하부 샷건, 양각대 등의 다양한 하단 부착물을 사용할 수 없고 그립과 유탄 종류만 사용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90] 특히 50m 이상의 적을 상대할 경우 양각대는 탄퍼짐과 반동 관리에 아주 큰 영향을 끼치는데, M5A3에 짧은 총열을 달면 탄속이 느려지긴 하지만 양각대 바꾸면서 동시에 총열도 함께 바꾸면 그만이라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VHX-D3는 총기 자체의 성능은 걸출하나 범용성면에서 많이 부족한 총기라 볼 수 있다.

2.9. AK 5C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AK 5C ||
파일:bf2042_ak5c.png
연사력과 제동력은 평균이지만 뛰어난 핸들링과 유용성, 그리고 높은 정확성 덕분에 무게 이상의 성능을 보입니다.
시즌 7 배틀 패스 티어 19 보상
하부 부착 샷건으로 처치 및 지원 10회
돌격소총으로 50m 이하 거리에서 처치 50회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2-18 (670)675 단발 | 전자동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850m/s 75m-100m 30+1 2.31(2.4)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퓨전 홀로 5킬
TV 2x 전문 단계 130킬
8R 홀로 전문 단계 260킬
XDR 홀로 전문 단계 390킬
M22 3.5x 전문 단계 390킬
PSO-1M3 5x 전문 단계 4120킬
UT-1 스마트 1.5x 전문 단계 5150킬
홀로 포인트 CS 전문 단계 6180킬
레이븐 4x 전문 단계 6180킬
K8 홀로 전문 단계 7210킬
M11 6x 전문 단계 7210킬
TR-1 열화상 1.25x 전문 단계 8240킬
브라보 3x 전문 단계 9210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5-4x 전문 단계 10300킬
T4 열화상 2.5x 전문 단계 11330킬
MAUL 하이브리드 1.5-3x 전문 단계 1236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서브소닉 전문 단계 130킬
백병전 전문 단계 390킬
철갑탄 전문 단계 5150킬
하이 파워 전문 단계 6180킬
제식 / 확장 탄창 전문 단계 8240킬
하이 파워 / 확장 전문 단계 390킬
백병전 / 확장 전문 단계 1133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마스터키 15킬
방울뱀 경량 그립 전문 단계 130킬
LS-1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260킬
40mm 고폭탄 전문 단계 260킬
코브라 그립 전문 단계 4120킬
40mm 철갑탄 전문 단계 4120킬
손전등 전문 단계 6180킬
BCG 경량 그립 전문 단계 8240킬
ADR 양각대 전문 단계 10300킬
40mm 소이탄 전문 단계 12360킬
LWG 그립 전문 단계 1236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6KU 소음기 25킬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260킬
중총열 전문 단계 412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515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7210킬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9270킬
대형 소음기 4형 전문 단계 9270킬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11330킬
}}} ||
{{{#!folding [상세 스탯]
탄종별 상세 정보
제식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8 (670)675
(580)600중총열
850m/s
975m/s중총열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1기본
39+1확장
2.31(2.4)기본
2.56(2.67)확장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75m 100m
22 20 18
}}} ||
백병전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6 (720)770일반[*]
(630)635중총열
680m/s
755m/s중총열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5+1기본
44+1확장
2.09(2.18)기본
2.31(2.4)확장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40m 75m 150m
22 20 18 16
}}} ||
하이 파워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6-18 624
(530)540중총열
975m/s
1135m/s중총열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1기본
30+1확장
2.56(2.67)기본
2.89(3)확장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50m 100m 150m
26 22 20 18
}}} ||
철갑탄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8 (620)635
(530)540중총열
975m/s
1135m/s중총열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20+1 2.56(2.67)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100m
22 18
}}} ||
서브소닉
피해량 연사력(RPM) 탄속
22-18 (620)675
(530)600중총열
680m/s
755m/s중총열
장탄수 재장전 시간 낙하가속도
30+1 2.31(2.4) 9.81m/s2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75m 100m
22 20 18
}}} ||

}}} ||


전체적인 평가는 탄종에 따라 성격이 바뀌는 '적응형 돌격소총'[92]

실제 모델은 FN FNC의 스웨덴군 라이센스 생산분 카빈형인 AK 5C. 배틀필드 4에서도 카빈으로 등장한 바 있는데, 금고 무기도 아니면서 실제 모델과 명칭이 동일하게 나왔다.

SFAR-M GL이 점사가 강제되는 VHX-D3의 하드 펀처 버전이라면 AK5C는 M5A3의 하드펀처 느낌이다. 점사의 경우 초탄반동이 상대적으로 강력해 그리 추천되지 않고 그 대신 연사 시의 반동이 상위권으로 작은 편이다. 백병전과 하이 파워 모두 두루두루 쓰이는 편이므로 각각 서술한다.
[AK5C/여담]

'홀로 포인트 CS'라는 전용 홀로그램 조준기를 해제할 수 있고, 고폭/소이/철갑 유탄발사기[93] 및 마스터키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2042 무기 중 유일하게 중총열을 장착할 수 있는데, 이전에 존재했던 금고 무기 중총열과 달리 유효 사거리 증가 효과가 없어 사실상 수직 반동 증가 페널티 및 정조준 명중률 증가 효과가 있는 확장 총열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표기 연사력은 제식탄 670 RPM, 하이 파워 620 RPM이며 특이하게 확장 탄창 크기가 제식은 39발, 백병전은 44발이다. 비주얼 리코일, 반동, 집탄률 등 전반적인 느낌이 상당히 뛰어나다.

화력의 경우 제식/서브소닉/철갑탄은 100m까지 5발킬인 것에 반해 하이 파워는 최대 대미지가 26으로 늘어 50m까지 4발킬이 가능해 상당히 쓸만하게 나왔다. 백병전 탄의 경우 770 RPM에 75m까지 5방이 가능해서 마찬가지로 좋은 편에 든다. 다만 출시와 동시에 진행된 돌격소총 헤드샷 배율 감소의 여파로 헤드 2발킬이 불가능해지면서 최소 BTK가 3발이다.

7.1 패치로 하이 파워 탄종의 최대 피해량이 25에서 26으로 상향되며 헤드 1발 몸 2발킬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백병전 확장 탄창의 연사 실측 연사력이 720 RPM으로 낮았던 문제도 770 RPM으로 일치하게 수정되었다.
  • 백병전 제식/확장 탄창의 단발 연사력이 각기 다른 오류가 있으며, 표기 RPM이 720으로 되어있어 실측 연사력 770과 차이가 크다. 그리고 서브소닉 탄종의 연사력이 표기와 달리 하이 파워가 아닌 제식과 동일한 문제가 있다. 이런 오류가 PBX-45와 M5A3에서도 계속 유지 중인 것을 볼 때, 고질적인 표기 오류인 것으로 보인다.

2.10. M16A3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M16A3 ||
파일:bf2042_m16a3.png
이 버전에는 업그레이드된 레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으며 자동 및 반자동 사격이 가능합니다. 5.56mm용 약실과 30발 탄창이 있습니다.
BF3 금고 무기
하단 부착식 유탄 발사기로 처치 및 지원 30회
M16A3 또는 SFAR-M GL로 처치 및 지원 100회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2-18 (800)약 835연사[**]
635점사
단발 | 전자동 | 3점사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850m/s 75m-75.1m 30+1기본
40+1확장
2.67(2.8)기본
2.98(3.12)확장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홀로그램 2x
코브라
ACOG 4x
MAUL 하이브리드 1.5-3x 전문 단계 130킬
UT-1 스마트 1.5x 전문 단계 260킬
8R 홀로 전문 단계 390킬
TV 2x 전문 단계 4120킬
SHAN 2.5x 전문 단계 5150킬
TR-1 열화상 1.25x 전문 단계 6180킬
브라보 3x 전문 단계 7210킬
M22 3.5x 전문 단계 10300킬
T4 열화상 2.5x 전문 단계 1236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제식 / 확장 탄창 전문 단계 515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양각대
M320 고폭탄
M320 연막탄
M320 산탄
M320 저속탄
M26 MASS 산탄
M26 MASS 다트
M26 MASS 프래그
M26 MASS 슬러그탄
코브라 그립 전문 단계 130킬
LS-1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260킬
BCG 경량 그립 전문 단계 390킬
방울뱀 경량 그립 전문 단계 4120킬
STNR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5150킬
손전등 전문 단계 7210킬
LWG 그립 전문 단계 824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130킬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26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390킬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4120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6180킬
대형 소음기 4형 전문 단계 8240킬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9270킬
PB 대형 소음기 전문 단계 11330킬
}}} ||
{{{#!folding [상세 스탯]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40m 50m 75m
22 21 22 18
}}} ||

}}} ||


전체적인 평가는 중거리를 보는 '표준형 돌격소총'

2022년 8월 30일, 2.0 패치에서 추가된 배틀필드 3 금고 무기.

M5A3 하이 파워 단축 총열의 성능을 그대로 옮겨 온 모양새로, AK5C 백병전하고도 스펙이 비슷하다. 탄창이 20발인 M5A3는 제외하고 AK5C하고만 비교해 보면 RPM(M16A3 835RPM / AK5C 770RPM) 및 탄속 (850m/s / 680m/s)과 세부 데미지 모델에서[95], 다만 재장전 속도가 큰 폭으로 불리하고 (2.98,3.12/2.31,2.4) 탄창 용량이 4발 적은 것, 비주얼 리코일에서 열세이다. 그래도 점사 숙련도가 쌓였다면 마냥 하위호환은 아니라서 AK5C를 근접에 약간 더 특화해 운용하고자 할 때 적합하다. 마침 MASS, 유탄이 있어 근거리 특화 중거리 AR이라는 평가가 더 굳어지는데 한몪한다.
M5A3와 비교하는 경우도 있지만 M16A3는 75m 5발킬이라 이들과는 비교하기 어렵다
.
금고 무기 돌격소총 중 탄속이 가장 빠르며, 2042 총기와 비교해도 RM68 하이 파워, AK-24/AC-42 하이 파워 탄종 다음으로 빠른 탄속이다. 금고 무기 개편으로 확장 탄창이 추가되면서 2042 무기들 대비 장탄수가 부족한 점은 해결되었지만, 특유의 장전 후딜레이와 확장 탄창의 장전속도 디버프가 맞물려 끔찍하게 느린 장전을 체감할 수 있다.[96]

수직 반동을 잡기 위해 챔피언 총구 제동기를 부착하면 좌우 반동이 심해져서 별로 좋지 않은데, BCG 그립에 좌우 반동이 신경쓰인다면 아콤을, 반동 제어에 자신이 있다면 탄퍼짐 자체를 억제하는 전술 보정기를 장착하는 것을 추천한다. 기본 제공되는 코브라 조준기의 T자형 조준선이 깔끔하거나 편하지 않다고 느끼는 유저들도 있는데, 코브라 외의 1.25배율 조준기가 없는 탓에 대체재로 조금 더 큰 1.5배율 8R 홀로를 달기도 한다.

7.0 패치 후 비주얼 리코일은 풀연사 시 초탄 사격을 포함해서 약 1~1.6초 간격으로 조준점이 드문드문 흔들리는 듯 보이는데, 제어에 익숙해지면 사격에 방해가 심하게 느껴지는 일부 총기들보다는 덜 거슬리는 편이다. 연사력이 비교적 높은 총기 중에서는 중거리 교전에서 쓸만한 총기였는데, 7.1 패치에서 비주얼 리코일 재조정 언급이 안된 것은 아쉬운 부분.
}}} ||

2.11. ACW-R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ACW-R ||
파일:bf2042_acw-r.png
반동을 감소시키는 탄용 약실이 있는 가벼운 만능 소총 플랫폼입니다. 습하고 끈적이는 정글부터 지독하게 건조한 사막까지 모든 기후 조건에서 믿음직합니다.
BF3 금고 무기
ACW-R 또는 M5A3로 처치 및 지원 100회
돌격소총으로 헤드샷 처치 20회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6-18 (720)약 740연사
540점사
단발 | 전자동 | 3점사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755m/s 20m-70m 26+1기본
40+1확장
2.4(2.6)기본
2.66(2.88)확장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홀로그램 2x
코브라
ACOG 4x
XDR 홀로 전문 단계 130킬
퓨전 홀로 전문 단계 260킬
TV 2x 전문 단계 390킬
브라보 3x 전문 단계 4120킬
8R 홀로 전문 단계 5150킬
M22 3.5x 전문 단계 6180킬
TR-1 열화상 1.25x 전문 단계 7210킬
레이븐 4x 전문 단계 8240킬
PSO-1M3 5x 전문 단계 10300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5-4x 전문 단계 11330킬
T4 열화상 2.5x 전문 단계 1236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제식 / 확장 탄창 전문 단계 13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양각대
손전등 전문 단계 130킬
STNR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390킬
코브라 그립 전문 단계 4120킬
LS-1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618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260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515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9270킬
}}} ||
{{{#!folding [상세 스탯]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20m 70m
26 22 18
}}} ||

}}} ||


전체적인 평가는 모난데 없는 '육각형 돌격소총'

2022년 10월 20일, 2.2 패치에서 추가된 배틀필드 3 금고 무기.

3편4편에서는 800대 중반의 높은 연사력 덕분에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정작 본작에서는 연사력이 그닥 높은 편이 아니다.[97] 배틀필드 3 금고 무기로 등장한 만큼 장탄수는 4편의 30+1발이 아닌 26+1발이 반영되었다.[98]

70m의 유효사거리를 가지는 740RPM의 표준적인 연사력, 그러나 준수한 장전의 40발 탄창, 근접전에서 유리하게 작용하는 20m 4발킬이 가능한 하드펀쳐 AR이다 [99] ACW-R은 PP-29의 제식 탄종에서 10m 데미지 모델 및 24발을 탄속과 쫀쫀한 비주얼리코일, 중거리 대미지 모델과 트레이드 오프 한 관계로 원본처럼 점사가 잘 맞는다. 20m 근거리 4발킬이 있지만 게임 내 주요 교전거리는 30m 내외이므로 중근거리에서 살짝 아쉽고, 하드 펀처 AR 판정인지 반동과 명중률에서 타 AR에 비해 불리하긴 해도 70m 까지는 쏘는 대로 맞고 점사도 꽤 잘 되는 밸런스형 AR에서 벗어나지 않은 총기이기 때문에 모든 거리에서 중상위권의 교전을 하고 싶으면서도 반동+점사 숙련도를 갖춘 숙련자용 총기이다.

[ACW-R/여담]

5.0 패치의 금고 무기 개편으로 확장 탄창이 추가되고 최대 피해량이 21에서 28로 올라 30m까지 4발킬이 되는 등 대폭 상향받았지만,[100] 6.1 패치로 4발킬 거리가 20m로 너프되며 다시 비주류 무기가 되었다.[101] 참고로 같은 연사력의 하이 파워 탄종 GEW-46과 비교하면 최소 피해량 거리, 그리고 장전 속도와 탄속은 조금 느리지만, 반대로 장탄수와 명중률은 더 좋다.

시즌 5 시점에서 금고 무기와 GEW-46의 지향사격 탄퍼짐 성능 순위를 비교하면 A-91 ≥ M416 > GEW-46 = ACW-R > M16A3 > MTAR-21 = AEK-971 순으로 나열할 수 있다.[102] 탄창의 2/3 정도를 조준사격으로 연사할 때의 명중률(탄퍼짐+반동) 순위를 보면 ACW-R > M5A3 > A-91 > M16A3 ≈ M416 > AEK-971 ≈ MTAR-21 순서로 가장 좋은 명중률을 가진다.

금고 무기 개편 이후 확장 탄창의 컬렉션 화면의 표기가 40+1발이 아닌 36+1발로 표기되는 오류가 있었는데, 6.3 패치에서 수정되었다.

7.0 비주얼 리코일 패치에서는 전체적인 등급으로 봤을 경우 중간 정도로 영향을 받았지만, 다른 근중거리 안쪽 위주의 총기와 다르게 근중거리 이상에서의 실제 화력도 평균 이상은 되었기 때문에 너프가 어느 정도 체감이 된다. 배율이 있는 조준경의 경우 기존에 조준사격이 가능했던 거리도 비주얼 리코일로 인해 까다로워진 듯한 느낌이 있다.[103] 물론 시야의 조준점과 상관없이 쏠 수 있는 감각을 가진 고인물이면 영향이 낮을지 모른다.

기존의 경우 쓰고 싶은 2~4배율을 써도 별로 문제될 게 없었지만, 일반 교전은 1.5배율까지를 주로 쓰고 근중거리 이상은 2~3배율 등을 쓰는 것이 나아 보인다. 이에 따라 GEW-46과 비교할 때 사격에서의 조작감이 좋았던 부분이 너프되며 유사해졌고, 장전시간이 느린편에 속하지만 40발 용량 탄창의 수요가 있다면 쓰게 되는 정도다.

7.1 패치 이후 비주얼 리코일 추가 개선을 받지 못하고 있다.[104] 참고로 ACW-R과 금고 무기 중 비주얼 리코일보다 실제 집탄률이 조금 더 괜찮은 M416, AEK-971 정도 총기는 53m 교전에서 2~3점사나 5, 6점사 등을 조금 빠르게 쏘고 있을 때 실제로 올라가는 조준점보다 3mm 정도 아래에 주로 명중된다.
  • 연사, 단발 모드 사격의 RPM이 같아서 돌격소총 중 가장 단발 실측 연사력이 높은데, 측정 방식의 이슈가 아니라면 버그인 것으로 보인다.

2.12. A-91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A-91 ||
파일:bf2042_a-91.png
5.56mm용 약실과 중합체 프레임 구조가 있는 러시아제 카빈입니다. 전방 사출 장치가 있어 뜨거운 탄피가 사수의 얼굴로 향하지 않습니다.
BF3 금고 무기
A-91 또는 AC-42로 처치 및 지원 100회
한 라운드에서 PKP-BP로 처치 10회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2-16 (800)약 835연사
635점사
단발 | 전자동 | 3점사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680m/s 40m-75m 30+1기본
40+1확장
2.77(2.33)기본
3.08(2.62)확장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코브라
ACOG 4x
반사 조준경
홀로그램 2x
XDR 홀로 전문 단계 130킬
SHAN 2.5x 전문 단계 260킬
퓨전 홀로 전문 단계 390킬
브라보 3x 전문 단계 4120킬
UT-1 스마트 1.5x 전문 단계 5150킬
M22 3.5x 전문 단계 6180킬
레이븐 4x 전문 단계 8240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5-4x 전문 단계 9270킬
T4 열화상 2.5x 전문 단계 1236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제식 / 확장 탄창 전문 단계 26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손전등 전문 단계 130킬
LS-1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260킬
코브라 그립 전문 단계 412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13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39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5150킬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7210킬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11330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12360킬
}}} ||
{{{#!folding [상세 스탯]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40m 75m
22 18 16
}}} ||

}}} ||


전체적인 평가는 중거리를 보는 '표준형 돌격소총'

2022년 11월 22일, 3.0 패치에서 추가된 배틀필드 3 금고 무기.

800RPM대의 준수한 연사력과 높은 지향사격 명중률이 특징인 총기로, 객관적으로 성능은 나쁘지 않았지만 쓰는 사람이 없었던 4편의 A-91처럼 2042의 A-91 역시 매력은 있지만 경쟁자가 너무 쟁쟁한 것이 문제이다. 근중거리 40m의 유효사거리는 M5A3보다 우위이고 반동 면에서 불리한 VHX-D3와 동급인 수치이다. RPM 835 역시나 900RPM 고연사인 두 총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지만 흔히 고연사의 시작이라고 많이 얘기하는 AK5C의 백병전이 770RPM이므로 A-91 역시 고연사 AR임에 틀림없다. 근거리에 특화한 총기답게 연사시 명중률은 초탄 8발 정도만 봐줄 만 하고 그 이후는 정말 지향사격과 다름 없어지므로 점사가 중요해진다. 일반적으로 근거리 총기를 점사하는 것은 총기 자체의 목적과 상충되는 일이라 이렇게 교전하면 중거리 특화 총기에게 열세에 처하는 편인데, A-91은 비주얼 리코일과 반동이 상급이라 수상하게 점사가 잘 맞는다.

그럼에도 A-91은 주력으로 사용하게 되면 다른 총에 비해 한두 가지씩은 불리한 점을 느낄 수 밖에 없는데, 아무리 지향사격이 잘 맞는다고 해도 800RPM대인 만큼 10m 초근거리는 4발킬 810RPM Gew-46이나 900RPM PBX-45에 비해 확실한 열세이다. 그렇다면 가장 교전이 잦은 20-35m 근중거리는 어떨까? A-91은 이 거리에서 5발킬이 확정이므로 나쁘지 않은 연사력으로 나쁘지 않게 쓸 수는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 부근이 거의 모든 총기들이 제 스펙을 발휘하는 최대 거리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스펙에서 부족한 A-91은 이들보다 열세이다. 점사 특화 AR의 고점이 나오는 35-50m 구간까지 가면 A-91도 고점이 나오지만 문제는 A-91의 5발킬 사거리는 40m다, 따라서 중거리형 AR인 M16A3나 AK5C 백병전이 연사로 교전하는 것TTK 면에서 별다른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75m 중거리까지는 A-91의 그 작은 반동조차 거슬리기 시작하는 순간이므로 고지대에서 일방적으로 각을 만드는 경우 외에는 더 애매해진다. A-91의 중거리 조준경 리코일은 꽤 별로인 편이라 확대경을 사용하기에도 애매해다. 여러모로 하이브리드한 총기이지만 A-91의 전거리 상위호환 수준의 AM40조차 Gew-46에 밀려 거의 쓰이지 않는 편인데 그 AM40보다 더 애매하다고 평가받는 A-91은...
[A-91/여담]

금고 무기 개편 전에는 5발킬 사거리가 20~30m 정도 더 짧았기에 많이 쓰이지 않았지만, 5.0 패치의 금고 무기 개편 이후에는 무난한 성능에[105] 피해량 유지거리가 40m가 되면서 쓰이기도 했다. 다만 7.0 패치 이후 M5A3와 격차가 생기면서 장점이 줄어들어 현재는 사용률이 그다지 좋지 않다.

70 RPM 더 높은 AEK-971과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반동과 탄퍼짐이 16~20% 좋고 장전 속도도 빠르지만 유탄이 없는 게 단점이다. 시즌 5에서 출시/개편된 무기 중 지향사격 5~10발의 명중률이 가장 높은 총기로, 레이저 사이트까지 부착하면 지향사격 명중률이 잠시 동안 SMG 수준에 근접해진다.

기계식 조준기의 조준선 정렬 애니메이션이 실제로 조준사격 탄퍼짐으로 바뀌는 시간보다 더 긴 문제가 있다.[106]

가벼운 발사음을 가진 2042의 총기에 비해서 A-91은 콜 오브 듀티 시리즈가 떠오르는 둔탁한 격발음이 난다. 적절한 비주얼 리코일과 합쳐저 A-91만의 높은 점사 안정성의 요인 중 하나.

2.13. M416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M416 ||
파일:bf2042_m416.png
416은 미국 특수 부대용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작고 가벼우며 5.56mm용 약실과 30발 탄창이 있습니다.
BF3 금고 무기
M416이나 PBX-45로 처치 및 지원 100회
돌격소총으로 적 처치 또는 팀원 소생 60회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2-18 (750)770 단발 | 전자동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680m/s 75m-75.1m 30+1기본
40+1확장
2.44(2.73)기본
2.73(3)확장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코브라
ACOG 4x
반사 조준경
MAUL 하이브리드 1.5-3x 전문 단계 130킬
브라보 3x 전문 단계 260킬
M22 3.5x 전문 단계 390킬
8R 홀로 전문 단계 5150킬
TR-1 열화상 1.25x 전문 단계 6180킬
레이븐 4x 전문 단계 7210킬
퓨전 홀로 전문 단계 9270킬
TV 2x 전문 단계 1030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제식 / 확장 탄창 전문 단계 26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양각대
M320 고폭탄
M320 연막탄
M320 산탄
M320 저속탄
M26 MASS 산탄
M26 MASS 다트
M26 MASS 프래그
M26 MASS 슬러그탄
손전등 전문 단계 130킬
LWG 그립 전문 단계 260킬
LS-1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390킬
코브라 그립 전문 단계 4120킬
방울뱀 경량 그립 전문 단계 8240킬
BCG 경량 그립 전문 단계 1133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13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4120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12360킬
}}} ||
{{{#!folding [상세 스탯]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75m
22 18
}}} ||

}}} ||


전체적인 평가는 중거리를 보는 '표준형 돌격소총'

2022년 12월 7일, 3.1 패치에서 추가된 배틀필드 3 금고 무기. 배그 역시 그렇듯이 실총 모델은 HK416.

4발킬 AR중에서는 AK-24가 있다면 5발킬 AR 중에서는 M416이 있을 정도로 평가가 좋지 않다. 770RPM 동연사력에는 거의 완벽히 대응되는 AK5C 백병전이 있기 때문인데, 50m까지 연사로 안정적인 교전이 가능한 AK5C와 비교해 M416은 5발만 쏴도 테두리핵 수준이고 따라서 점사로 교전해야 하는데 50-60m대에서 그게 가능한 메이저 AR들은 각각의 개성이 뚜렷해서 각각 선택할 매력이 있기 때문. 배틀필드 2042의 사후 지원이 종료되며 AK-24와 함께 2042 AR중 서자 취급으로 남게 되었다.
[M416/여담]

금고 무기 개편 전에는 고연사 돌격소총에 비해 크게는 100 RPM 이상 연사력이 낮지만 반동이 무난해서 상대적으로 장전 속도가 약간 더 빠른 콩라인 M16으로 취급되었다. 5.0 패치의 금고 무기 전면 개편 과정에서 대미지 모델 등 여러 스펙이 너프되며 평가가 크게 내려가기도 했지만, 5.0.1 패치에서 재조정[107]을 받으며 평가가 다시 올라갔다. 하지만 장전 속도가 빠르지 않은 데다, 중거리 전투는 나름 나쁘지 않지만 근접전에선 애매한 연사력이 발목을 잡아 개편 전과 비슷하게 콩라인 M16으로 취급되고 있다.[108]

그나마 가지고 있는 장점은 AK 5C처럼 중거리 용도의 금고 무기 중 비주얼 리코일이 가장 낫고, 반동 제어가 편해서 점사 집탄률과 12~17발의 연사 집탄률도 상급에 든다는 점이다. 이를 활용해 조금 아쉬운 화력을 집탄률로 메꿀 수 있는데, 실제로 가슴팍 상단, 목 근처를 조준하는 식으로 헤드샷을 최대한 유도하면 대미지 모델상 헤드 2방, 몸 1방의 3방 처치가 가능하다. 다만 탄속이 빠르지 않아서 50~75m 이상에서 옆으로 움직이는 목표를 상대로는 예측 사격을 해야 하는 건 단점. 900 RPM 이상 총기를 가진 적과 좁은 공간 속에서 근접 조우가 예상되면 M26 MASS를 장착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같은 화력의 LMG인 Avancys 제식과 비교하면 돌격소총답게 더 가벼운 조작감을 가지고 있고, 탄속이 20% 더 낮지만 명중률은 더 좋다. 탄창을 비교하면 급탄 방식의 차이로 장탄수는 5배나 낮지만 장전 속도는 108% 빠른데, 근중거리 전투에서는 탄띠 급탄으로 지속 화력 투사가 가능한 Avancys의 장점도 있다. 시즌 7에서 출시된 AK 5C 백병전과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하위호환이라는 평.[109]

2.14. MTAR-21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MTAR-21 ||
파일:bf2042_mtar-21.png
효과적인 백병전 무기 플랫폼으로, 발사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이 이스라엘제 불펍 무기에는 다양한 부착물을 장착할 수 있어 어떤 상황에도 적합합니다.
BF3 금고 무기[110]
A-91로 처치 및 지원 100회
25m보다 먼 거리에서 돌격소총으로 처치 50회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2-15 900연사[900]
600점사
단발 | 전자동 | 3점사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755m/s 40m-100m 30+1기본
40+1확장
2.44(2.2)기본
2.7(2.45)확장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코브라
반사 조준경
ACOG 4x
퓨전 홀로 전문 단계 130킬
MAUL 하이브리드 1.5-3x 전문 단계 260킬
K8 홀로 전문 단계 390킬
TV 2x 전문 단계 4120킬
브라보 3x 전문 단계 5150킬
SHAN 2.5x 전문 단계 6180킬
TR-1 열화상 1.25x 전문 단계 7210킬
M22 3.5x 전문 단계 8240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5-4x 전문 단계 1133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제식 / 확장 탄창 전문 단계 26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손전등 전문 단계 130킬
LS-1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260킬
코브라 그립 전문 단계 4120킬
LWG 그립 전문 단계 1030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대형 소음기 4형 전문 단계 13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39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590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9270킬
PB 대형 소음기 전문 단계 12360킬
}}} ||
{{{#!folding [상세 스탯]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40m 100m
22 18 15
}}} ||

}}} ||


전체적인 평가는 근중거리를 보는 '근거리형 돌격소총'

2023년 1월 31일, 3.2 패치에서 추가된 배틀필드 3 금고 무기. 게임 최초로 포털 무기와 금고 무기가 동시에 추가되었다.

최상위권 비주얼 리코일 / 반동과 그 반면으로 매우 낮은 자체 집탄율을 가지고 있는 양면적인 총기다. 900RPM 40m까지 5발킬 상위권 스펙을 저반동으로 간편하게 다룰 수 있어 반동 제어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한번 쯤 들고 가볼 만한 총기지만[112], 점사를 제대로 활용하기 시작하고 중거리까지 교전의 영역을 확장했다면 이제는 명중률이 별로라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 하지만 장거리 멈춰 쏘기를 습관화했다면 낮은 반동 덕분에 그 낮은 명중률도 별 의미가 없어져 전거리 만능형 AR이 된다. 사실 재장전 시간이나 AR에 중요한 근중거리 화력은 VHX나 MTAR나 난형난제이기 때문에 취향에 따라 선택할 만한 총기이다. [113]
소음기 운영에 특화된 AR로, 22데미지가 40m까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다양한 소음기를 운용해도 40m 5발킬을 보장한다.
[MTAR-21/여담]

M5A3 백병전이나 AM40과 비슷하게 SMG와 AR의 중간 포지션에 있는 총기로, 높은 연사력 덕에 근거리에서는 쓸만한 성능을 내지만, 수평 반동이 매우 높은 데다[114] 탄퍼짐도 작지 않아 중거리부터는 전투력이 낮아진다. 불펍 총기 특성상 유탄이 없고 부착물 종류가 적은 것도 단점으로 꼽힌다.

5.0 패치의 금고 무기 개편에서[115] 15m까지 4발킬이 가능해졌다가 2주 뒤 5.0.1 패치에서 4발킬이 불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높은 연사력 탓에 시즌 5의 돌격소총 탄퍼짐 너프를 크게 체감할 수 있었는데, 5.0.1 패치에서 집탄률이 다시 상향된 이후에는 총구 보정기를 장착하면 피해량은 조금 모자라지만 65m 미만은 어찌저찌 교전이 가능하다.

짧은 총열 M5A3와 비교시 서브소닉 탄종과 유사하게 피해량 유지거리가 더 길고 탄속이 더 빠르나 수평 반동이 크고 부착물이 적다. 화력이 거의 동일한 AEK-971과 비교하면 MTAR-21은 반동 패턴이 AR보다는 SMG에 더 가깝고 이동 명중률을 보정하는 LWG 그립도 있어 이동 사격에 특화되어 있지만, 반대로 AEK-971은 정지 명중률을 보정하는 코브라 그립만 있지만 여러 가지 보정기/총구 제동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자리에서 쏘는게 유리하도록 되어 있다.

여담으로 위에서 볼 수 있듯 포털 에디터 아이콘에 원작에 없는 드럼 탄창이 장착되어 있는 오류가 있다.[116] 5.0 패치에서 정식으로 확장 탄창이 추가되었지만, 다른 금고 무기들과 마찬가지로 탄창 외형은 바뀌지 않아 인게임에서 드럼 탄창을 볼 수는 없다.

앉은 상태에서 정지/이동 탄퍼짐 수치가 서로 바뀌어 이동보다 정지 중에 조준선이 더 넓어지는 버그가 있었으나 5.3 패치에서 수정되었다. 그리고 7.0 패치에서 점사 연사력이 약 10% 증가하며 비교적 정상 수치인 600 RPM이 되었다. 7.2 패치에서 일부 조준경의 비주얼 리코일이 조정되었다.

2.15. AEK-971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AEK-971 ||
파일:portalaek971.png
완전 자동 사격이 가능하며, 30발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확산 범위가 좁고 반동이 작습니다. 타깃을 유지하고 길게 점사할 경우, 광학 기기 사용을 권장합니다.
BF3 금고 무기
AEK-971 또는 AK-24로 처치 및 지원 100회
한 목숨에 돌격소총으로 처치 5회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2-15 900연사[900]
600점사
단발 | 전자동 | 3점사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755m/s 40m-75m 30+1기본
40+1확장
3.07(2.6)기본
3.42(2.89)확장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코브라
반사 조준경
ACOG 4x
SHAN 2.5x 전문 단계 130킬
8R 홀로 전문 단계 260킬
브라보 3x 전문 단계 390킬
M22 3.5x 전문 단계 4120킬
PSO-1M3 5x 전문 단계 5150킬
K8 홀로 전문 단계 6180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5-4x 전문 단계 7210킬
TR-1 열화상 1.25x 전문 단계 8240킬
레이븐 4x 전문 단계 10300킬
T4 열화상 2.5x 전문 단계 1236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제식 / 확장 탄창 전문 단계 130킬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양각대
GP-30 고폭탄
GP-30 연막탄
GP-30 산탄
GP-30 저속탄
손전등 전문 단계 130킬
코브라 그립 전문 단계 260킬
LS-1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412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39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515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6180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7210킬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9270킬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11330킬
}}} ||
{{{#!folding [상세 스탯]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40m 75m
22 18 15
}}} ||

}}} ||


전체적인 평가는 근중거리를 보는 '근거리형 돌격소총'

2023년 3월 28일, 4.1 패치에서 추가된 배틀필드 3 금고 무기. 현대전 시리즈에서 높은 연사력으로 사랑을 받았던 돌격소총으로, 외형은 시제품을 구현했던 3편과 달리 A-545로 개량되기 전인 2012년형 기반이다.

'명중률 제어'가 핵심인 배틀필드 2042의 총기들 중 가운데 AEK는 상당히 이질적인 존재인데, 근거리는 AEK의 특기인 풀연사로, 근중거리부터는 초탄 반동이 타 돌격소총보다 강한지라 짧은 2-3점사가 아니라 연사를 중간에 끊는 느낌의 8점사, 10점사 등으로 40m내외의 교전을 대응해야 한다. 또한 조준경에 따라 비주얼 리코일의 편차가 큰 편이다.[118] 부착물이 제한되는 편임에도 MTAR와는 다르게 유탄류 부착이 가능하며 전술 보정기도 있는 덕분에 연사 명중률이 꽤나 보장되는 편이다. 하지만 기본적인 반동이 워낙 크고 총기 자체가 딱히 중거리에 특화하지는 않은 탓에 교전거리가 거의 50-60m까지로 제한된다. 특징적인 요소가 꽤나 있는 탓에 개인의 취향을 꽤나 타는 총기이다.
[AEK-971/여담]

근거리나 근중거리 교전에 적합한 총기로, 40m 이후로는 5발킬이 안되기에 효율이 떨어진다.[119] 유사한 대미지 모델의 A-91보다 70 RPM 더 높은 대신 반동이 조금 더 세다. 단점은 느린 재장전 속도로, M16A3처럼 전술 재장전 마지막에 0.3초 정도의 탄창 회수 애니메이션이 있어 비슷한 AK 계열 총기보다 장전이 더 느리다. 게다가 AK 시리즈가 다 그렇듯이 노리쇠 전진기가 없다보니 직접 장전손잡이를 당기느라 전술 재장전이 아닐 경우 훨씬 더 느린건 덤.

5.0 패치의 금고 무기 개편 이후 최대 피해량이 24에서 22로 줄어들었지만, 900 RPM의 높은 연사력을 바탕으로 근중거리까지는 괜찮은 성능을 발휘하고, 비슷한 포지션의 총기인 AM40과 MTAR-21와 달리 유탄발사기를 장착할 수 있어 나름대로 수요층이 있다. 게다가 AK-24와 마찬가지로 동구권 유탄발사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탄의 장전 속도가 서구권 총기 대비 빠르다. 다만 다른 무기들과 마찬가지로 시즌 6 패치들로 인해 폭발 유탄 소지량이 1발로 줄어들었다.

시즌 6 초~중반의 VHX-D3가 초창기 AEK-971이 가진 장점들 중 일부를 가져가면서 빠른 유탄 장전 외에는 떨어지던 적도 있었으나, 시즌 6 후반에 VHX-D3가 연이은 너프를 받아 화력이 비슷해지고, 7.0 패치로 비주얼 리코일이 개편되면서 격차가 크게 줄었다. 현재 VHX-D3 제식과 비교하면 12~14발 정도까지의 평균 명중률은 조금 더 좋고 최대 탄퍼짐은 비슷하다. 그러나 수직 반동 제어가 쉽지 않아 47~55m 이상에서 사용하려면 숙련도가 필요하다.[120] 화력 상승 부착물 없이도 피해량이 괜찮은 총기 기준으로 GEW-46과 M240B와 함께 그나마 비주얼 리코일 개편 영향을 적게 받았다.
  • 최대 수직 반동 각도가 금고 무기를 포함한 다른 총기들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어 반동 제어 없이 쏘다보면 수직 반동이 중간에 멈추는 문제가 있다.[121] 6.1 패치에서 반동 복구 속도 증가, 점사 초탄 반동 계수 변경 등 소규모 반동 리워크를 받았음에도 수정되지 않는 문제. 개발진이 언급했던 총기 반동 방향성과 정반대라 버그일 확률이 높은데, 어차피 대부분의 유저가 반동 제어를 하기에 개발진이 발견을 못했거나 그냥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16. AN-94

||<-4><tablewidth=700><tablealign=center><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 AN-94 ||
파일:portalan94.png
이 고급 러시아 돌격소총은 30발 탄창과 높은 연사력을 지녔습니다. AK-47보다 구경이 작지만, 더 정확합니다.
BF3 금고 무기
워 머신 이벤트 패스 티어 15 보상
기본 탄종 피해량 연사력(RPM) 조정간
제식 25-16 600연사
900점사
단발 | 전자동 | 2점사
탄속 대미지 모델 장탄수 재장전 시간
1125m/s 20m-100m 30+1 3.02(2.83)
{{{#!folding [부착물 해제 정보] ▲ 조준기
기계식 조준기 기본 해제
8R 홀로 5킬
PK-A 3.4x 전문 단계 130킬
코브라 전문 단계 260킬
TR-1 열화상 1.25x 전문 단계 390킬
SHAN 2.5x 전문 단계 4120킬
K8 홀로 전문 단계 5150킬
PKS-07 7x 전문 단계 7210킬
PKA-S 2x 전문 단계 8240킬
고스트 하이브리드 1.5-4x 전문 단계 9270킬
▶ 탄약
제식 기본 해제
▼ 하단 부착물
양산형 마운트 기본 해제
코브라 그립 10킬
GP-30 고폭탄 전문 단계 130킬
손전등 전문 단계 260킬
GP-30 연막탄 전문 단계 390킬
양각대 전문 단계 4120킬
GP-30 산탄 전문 단계 5150킬
LS-1 레이저 사이트 전문 단계 6180킬
GP-30 저속탄 전문 단계 8240킬
◀ 총열
양산형 총열 기본 해제
중총열 15킬
챔피언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130킬
소음기 커버 전문 단계 260킬
소염기 전문 단계 390킬
아콤 전술 총구 제동기 전문 단계 4120킬
워호크 보정기 전문 단계 5150킬
전술 보정기 전문 단계 6180킬
6KU 소음기 전문 단계 7210킬
}}} ||
{{{#!folding [상세 스탯]
상세 대미지 모델
{{{#!wiki style="margin: -15px -15px" 0m 20m 30m 50m 100m
25 23 21 18 16
}}} ||

}}} ||


전체적인 평가는 유탄을 중심으로 운용하는 '복합형 돌격소총'

2025년 3월 18일, 워 머신 이벤트 패스로 추가된 BF3 금고 무기.

AK-24와 비슷한 어디에도 끼지 못하는 AR로 특징적인 1800RPM 하이퍼버스트는 고작 900RPM이 되면서 반토막난 것은 물론이고[122] 배틀필드 V의 총기처럼 명중률 변수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대신 기본적인 반동이 AEK-971 두 발 정도 반동이라 제어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조준경이며 부착물이며 개발이 중단되어버린 총기 답게 레일이 거의 없어 기본적인 수준으로, 게다가 명중률 영향이 적어 부착물의 영향이 미미하다. 고속 2점사가 망가진 가운데 연사 조정간은 4발킬 20m, 600RPM에 30발 탄창이면서 쓸데없이 기울어진 탄창 삽입구 탓에 재장전은 AR 중에서는 가장 별로인 AEK와 비스무리하다. 참고로 AN-94와 데미지 모델이 비슷한 총기가 있는데, 바로 740RPM에 20m 4발, 70m 5발킬 ACW-R이다. ACW-R이 조작 편의성, 탄창, 재장전 속도, 사거리, 등 온갖 스펙에서 앞서는 반면 AN-94가 내세울 만한 특징은 오직 탄속(1135m/s) 하나 뿐이다.
[AN-94/여담]

배틀필드 3의 AR중 M16A3와 함께 AR계의 양대산맥이었으니만큼 추가 소식에 유저들은 내심 기대하고 있었으나 포탈 AN-94보다 더 떨어지는 스펙인 탓에 실망한 유저가 꽤 많았다.

원본 총기의 기울어진 탄창 삽입구가 고증되었다.


[1] 6.2 패치에서 Sorrow's Scribbles의 장전 시간 측정 방식이 모션까지 포함하며 변경되었다.[2] 일부 예외도 있으나, 평균적으로 10m~45m 정도까지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3] 출시 초기에는 지향사격 및 조준 명중률, SMG 주제에 돌격소총의 1.5배 수준이던 4발킬 사거리까지 거의 모든 스펙이 돌격소총보다 좋던 기관단총 PP-29에 밀렸던 시절도 있다.[4] 시즌이 지나면서 성능이 우수한 돌격소총들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4~50발 이상의 대용량 탄창 지원을 거의 해주지 않아 자체 성능이 어떻든 밸런싱에 있어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만들어 놨다.[5] 그 과정에서 반동을 희생하는 대신 유효 사거리를 늘릴 수 있는 금고 무기 부착물인 중총열이 삭제되었다.[6] 시즌 6 초기에는 VHX-D3이 1티어로 출시되며 성능 격차가 더 부각됐었지만, 시즌 말 연속 너프를 받으며 격차가 꽤 줄어들었다.[7] 강력한 신규/개편 총기들이 차례로 등장하면서 기존 무기들이 하향평준화되는 문제도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AK-24로 설정상 최소 2024년 이후에 출시된 총기인 점과 대구경 하이 파워 탄환을 사용함에도 ACW-R나 AKS-74u 등 평범한 금고 무기들보다 보다 성능이 떨어진다. AC-42도 동일하게 하향평준화된 무기이며, 그나마 SFAR-M이 유효거리와 대미지 하나는 높기에 밀리지 않고 버티고 있다. M5A3도 설정상 미군의 차세대 제식 소총임에도 지금의 구 탄종을 기반한 제식탄을 주로 쓰며, 하이 파워 탄종은 M16A3보다 장탄수는 적고 대미지 모델은 동급이며, 부착물에 따라 연사력 또는 탄속도 뒤떨어지게 된다. 백병전 탄종도 GEW-46 제식은 물론 VHX-D3 서브소닉보다 동급 혹은 아래에 있어서 사용비중이 정말 낮다. 그나마 제식 탄종은 괜찮은 편으로 금고 무기 A-91과 MTAR-21 사이 정도에 위치한다.[8] 정확히는 시즌 3 초중반부터 시즌 6 초반까지의 시기이다.[9] 그 밖에는 단발 사격 무기를 잘 쓴다는 가정하에 백병전 VCAR나 M39 EMR 정도가 중거리 미만 효율이 괜찮긴 하다. 참고로 병과별 숙련 무기 효과가 따로 없는 다른 DMR들은 시즌 6 현재 어느 정도 하향 평준화된 상태이다.[10] 저격소총과 전술 무기는 애초에 근중거리 전투로는 적합하지 않은 무기군이나, 그나마 좁은 맵에서 쓸만한 무기로 실력을 타지만 상체 방탄판만 안맞으면 32m까지 1방이 나는 고스트메이커 R-10이나 슬러그탄 12M 오토 정도가 있긴 하다.[11] 패치 이후 대형 소음기를 포함해 피해량 감소가 붙은 모든 소음기는 몸에 2발 이상 맞는 경우에 무조건 BTK가 나빠진다. 또한 22 대미지 구간에서 6KU 소음기를 장착할 경우 20.24 대미지가 되어 헤드 2, 몸 1방을 쏴도 99 대미지로 처치가 불가능해졌다. 피해량이 변하지 않는 소음기 커버는 해당되지 않는다.[12] 기존에는 S, A~D, E 등급까지 총기 성능의 편차가 났었다면 현재는 A+, B~C, D+ 수준으로 편차가 조금 완화되었다.[13] 특히 단발식+지속 투사화력이 낮은 경우.[14] 주력 교전거리인 17~43m에서[15] 25 이상의 피해량을 가진 총기도 최소 헤드 2, 몸 1방으로 킬을 낼 수 있도록 바뀐 상황에서, 최대 22 대미지인 M5A3도 헤드 2, 몸 1방 처치가 가능해서 티어가 많이 올랐다. 40m 이하 정도면 충분히 헤드샷을 시도해 볼만하기 때문. 다만 적이 방탄복을 장착했다면 22 대미지로는 앞서 말한 3발 처치가 안되고, 그보다 피해량이 높아야 처치가 된다.[16] AM40 등 근거리 총기가 주력인 맵에서 하부 샷건을 잘 다룰 경우, 순간화력을 더 올릴 수 있다. 다른 종류의 하부 샷건이 있는 M16A3나 M416도 비슷하지만, M5A3의 경우 7.0 패치에서 정확도 10% 증가 버프를 받아 소총탄도 훨씬 더 찰지게 맞출 수 있다.[17] 7.2 패치로 집탄률과 화력이 모두 떨어졌다. 대부분 25m 이하 교전을 할 경우 8점에 가깝다.[18] 4발킬 확률이 더 높은 12.5m 전후나 빠른 철갑 유탄 장전이 필요한 상황 한정.[19] 하부 샷건을 근접전에서 잘 쓰면 점수가 1~1.5 단계쯤 오를 가능성이 있다.[**] 인게임 표기 연사력은 800 RPM으로, 표기에서는 전부 동일하지만 총기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PBX-45와 AM40 제식, VHX-D3 하이 파워는 810 RPM이고, 그 외 짧은 총열이나 백병전 탄종을 장착한 경우나 금고 무기 돌격소총, PKP-BP 경기관총은 약 835 RPM으로 측정된다.[*] 기본 탄종의 연사력이 600~700 RPM대지만 특정 탄종을 쓸 때 표기보다 연사력이 8~10% 빠른 총기들이다.[22] 이후 2022년 4월 20일에 실제로 MCX SPEAR가 NGSW에 선정되면서 예상이 적중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제식명칭이 XM7로 선정되면서 이름은 달라지게 되었다.[23] 채택된 실제 모델도 6.8mm탄의 반동을 낮추도록 만들어졌으나, 그럼에도 반동 부담이 있어 교전거리가 평균 이하인 돌격소총보다 넓게 트인 야지에서 주로 사용되는 M1-M14 계보의 배틀(컴뱃) 라이플의 용도와 가깝다고 본다. 여담으로 발매 전 공개된 티어 1 스킨 모델에서 볼 수 있듯 원래 계획에는 하이 파워 30발 들이 탄창까지도 있었으나 실제로는 출시되지 않았다.[24] 하이 파워 + 짧은 총열 장착 시 약 835 RPM에 75m 내 5발킬로 중거리 전투의 순간 화력만 따지면 상위권에 들긴 하지만, 반동 제어도 힘들어지는데 대미지가 상당히 올라가는 것도 아니고 결정적으로 탄창이 20발 밖에 안 돼서 전투 지속력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 게다가 다른 20m 4발킬이 가능한 VHX 등 상위호환 총기들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애초에 RPM이 높고 22 대미지 구간 쪽이 주력인 하이 파워 탄종 총기들이 전체적으로 선호도가 낮다.[25] 백병전 탄종을 장착하면 리시버의 탄창 삽입구 옆면에 9mm 글귀가 쓰여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26] 실제 모델도 몇 가지 단점 때문에 전체 사병의 군용 장비가 아닌 절반 이하로 쓰인다고 한다. 필요한 상황에서 신규(XM7)화기를 잘 숙련한 분대가, 어딘가에 막 굴러먹던 전세대 7.62mm 총기를 대신해서 보급을 받는다고 하니 절반의 고증이 오히려 맞을 지도 모른다. 이름에 A3가 붙은 것을 보면 2042년까지 3번째의 차기 버전인 것로 보이는데, 기본 5.56mm 모듈이 진행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900] 표기 연사력이 850과 900으로 서로 다르지만 모두 똑같이 900 RPM이 나온다. 기관단총에서도 볼 수 있는 문제.[29] 여기서 5발킬이 30m가 되고 RPM이 900으로 올라갔던 시절이 전성기 AM40의 모습이었다.[30] 기본 탄속으로 850, 970대를 같이 가진 연사 화기는 AM40와 Avancys 제식/하이 파워로 2가지 뿐이다. 그리고 DMR에서는 VCAR과 DM7 백병전/서브소닉이 있는데, DM7과 달리 VCAR는 짧은 총열과 확장 총열의 탄속 증감치가 상당히 뒤틀려 있다.[31] 서브소닉 탄종의 탄속은 주로 근거리 형은 620, 중거리형은 755인 것과 달리 AM40과 Avancys는 680인데, Avancys 서브소닉 확장 총열의 탄속 증가량이 일반 범주를 벗어나고, 제식 탄종의 탄속이 680인 GEW-46도 탄속 증감 관련해서 이상한 점이 일부 있는 등, 탄속 증감 관련한 비정상적인 사례가 일부 보인다. 그래도 다행히 AM40은 총열에 단축/확장이 없어서 서브소닉 탄속에 관한 버그는 없다.[32] 여담으로 원본 총기인 AM-17은 G36C보다 짧은 경량형 카빈이고, 동구권 AR용 7mm대 탄약은 탄자와 장약 특성상 유효거리와 탄속이 NATO탄보다 낮다. 따라서 고증을 따지면 AM40보다 GEW-46의 탄속이 더 높은 게 자연스럽다.[33] 6m 이후 4발킬이 가능한 10m, 샷건 위력이 줄어드는 15m 거리에서부터.[34] SMG의 헤드샷 배율이 1.25배, AR은 2.15배였던 시절에는 헤드샷을 섞은 런앤건을 즐기기에 무난한 선택지로 꼽혔다. 여담으로 출시 초기에는 헤드샷 대미지가 거의 적용되지 않는 버그 때문에 불호층도 많았다.[35] 순간 900[36] 점사 모드에서 확장 총열이 적용된 듯 평균 RPM이 330로 급격히 내려가는 문제가 있다. 때문에 단발 모드 연사 속도가 185만큼 RPM이 더 높다.[37] 이쪽은 재장전 속도가 거의 비슷한 주제에 720RPM이다...[38] 상세 스탯을 보면 알 수 있듯 제식과 하이파워 탄종의 4발킬 거리는 10m 밖에 차이 안나는데 연사력이 50이나 깎인다. 게다가 장전 속도도 다른 총기와 비교하면 쓰레기같이 느리다.[39] 시즌 5 신규 돌격소총인 GEW-46 하이 파워가 AK-24 하이 파워와 피해량 모델은 동급이지만 연사력이 12.4% 높아서 제식과 비교해도 더 빠르며, 장전 속도까지도 빠른 등 중거리 안쪽에서 유탄발사기만 아니면 GEW-46의 하위호환이다. 헤드샷 피해량을 제외하고 성능이 유사한 SMG인 AKS-74u와 비교해도 근거리전이 20%는 약한데, 문제는 AKS-74u 역시 SMG 중 최약체로 취급된다는 것.[40] 너프된 현재의 조작감대로면 RPK-74M처럼 제식탄이 700 RPM으로 버프되거나, 또는 RM68 제식과 SFAR-M GL처럼 하이 파워탄 최대 사거리가 30m 정도로 늘어나는 것이 아니면 그대로 비주류로 방치될 것으로 보인다.[41] 반대로 SFAR의 드럼 탄창은 윗부분이 사각형이라서 전술 재장전 한정으로 장전 속도가 빠르다.[42] 소음기 커버 장착시 680m/s.[43] 소음기 커버 장착시 566m/s.[44] 소음기 커버 장착시 680m/s.[45] 애초에 이름의 GL이 Grenade Launcher의 약자다. 포털 커스텀 세팅에서 하부 유탄 파츠를 사용할 수 없게 설정하면 유탄발사기를 분리할 수 있긴 하지만, 일반적인 상황도 아닐 뿐더러 그렇다고 해서 다른 부착물을 장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모델링을 보면 아예 케이블타이로 둘둘 묶어서 고정시킨 모양이다.[46] 7.2 패치에서 추가된 DFR 스트라이프도 4종류의 유탄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47] AEK-971이나 어나이얼레이터, MG4 등[48] 순간, 표기 1000 RPM[49] 시즌 3의 Rorsch 레일건 Mk-4 출시 전까지는 유일했다.[50] 라트니크에 적용될 차기 복합형 개인화기 설정으로 컨셉화기인 Saritch 308과 신형 F90인 F90 MBR를 기반으로, TAR-21과는 확장 총열덮개와 핸드 가드 각도가 유사하다.[51] 어떻게 보면 AK-24와 비슷한 처지라고 볼 수 있다. 제식 탄종의 연사력, 하이 파워 탄종의 화력이 버프되거나, 하다못해 탄속이라도 버프가 되어야 밸런스가 맞을 것으로 보인다.[52] 다른 점사 지원 무기들에서도 가능하다.# 다만 게임패드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한다.[53] RM68과 하이 파워 탄종끼리 비교하면 짧은 총열도 없고 최대 피해량은 제식탄들과 같은 30m로 짧으며 점사 딜레이까지 있는데 장탄수는 비슷하다.[54] Sorrow's Scribbles에서 150m 거리에서 측정한 탄속값. 패치 노트에 기재된 탄속값은 700m/s이다.[55] 다른 데미지 모델로는 BSV-M의 490RPM 75m 3발킬 무제한 4발킬 / M39 EMR의 300RPM 40m 2발킬이 있다.[56] 10점 만점으로 따지면 8~9.5점 이상. 교전 거리가 벌어질수록 평가가 더 높아진다.[57] 특이한 점으로 백병전 탄종의 최대 피해량(22) 유지 거리가 100m나 되고, 하이 파워의 경우 40m부터 백병전 최대 피해량과 같은 피해량을 가진다. 때문에 백병전 탄종은 30, 35m 안에서 강세인 다른 전자동 무기들과 달리 45~55m 사이에서 화력이 가장 높고, 오히려 근거리 교전은 제식과 하이 파워가 백병전보다 더 위력이 높다.[58] 제식 탄종인데도 백병전 수준의 반동에 대미지는 하이 파워 탄마냥 40m까지 26이 나오다 보니 중장거리 교전 능력이 워낙 좋아 SMG와 싸우는 게 아닌 이상 단점을 찾기 어려웠다. 특히 기본 스프레드 자체가 작아 초탄 명중률이 매우 높았던 탓에 AR간 중거리 교전에서 1초 만에 파파팍 맞고 죽었다면 죄다 이놈인 상황이 시즌 내내 나오며 BSV-M 때보다도 원성이 컸다. 시즌 4 당시 하이 파워 탄종에 양각대와 4-6배율 조준경을 장착하고 115m의 장거리에서도 풀연사로 쉽게 적을 잡을 수 있었고, 제식 탄종은 145m까지도 가능했다. 반동이 낮은 백병전 탄을 쓰면 양각대 거치 없이도 중배율 조준기로 95m 이내는 안정적인 연사가 가능했다.[59] 불펍 특유의 느린 재장전 속도로 밸런스를 잡으려 했던게 보이긴 하나, 20발 탄창 수준의 스펙을 가진 총에다가 30발들이 확장 탄창을 달아준 탓에 밸런싱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제식 확장 탄창의 장탄수가 25발 정도가 됐다면 밸런스가 맞지 않았을까 하는 의견도 있다.[60] 제식/하이 파워 탄종은 4발킬 거리가 10m씩 줄어 각각 30m/40m가 되었고, 백병전 탄종은 아예 4발킬이 불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62] 제식은 근거리형, 하이 파워는 장거리형 돌격소총이다.[63] 그 외에 자잘하게 탄퍼짐과 자동사격 명중률, 양각대와 장거리용 조준경에서 더 낫다.[64] AK-24는 RPM이 150가까이 밀리면서 이들과 데미지 모델이 비슷하다. 역시 유탄발사기[65] RM68은 30 - 150m 구간에서 22데미지를 유지하나 GEW-46은 30m에서 22로, 100m에서 또 20으로 감소하여 방탄판이나 막타 처리에서 불리하다.[66] 시즌 5에서 출시/개편된 돌격소총의 탄퍼짐을 테스트한 레딧 포스트를 보면, 지향사격 탄퍼짐은 ACW-R과 비슷하게 나쁘지 않은 수준이지만, 조준사격 탄퍼짐은 탄창 절반 이상 사격할 경우 밑에서 1, 2등을 다투는 MTAR-21보다도 나쁘다. 이후 GEW-46의 연사 집탄률에 대한 개발진 차원의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으나, 7.0.1 전후의 잠수함 패치, 추가 리코일 변경으로 어느 정도 좋아졌다.[67] 시즌 7 기준 대다수의 2042 신규 주무기들이 적어도 A급에서 S급으로 출시되어 해당 시즌 메타를 주도했지만, 탄창/탄띠식 총기 중 유일하게 GEW-46만이 시즌 5 메타 주류에 오르지 못했다.[68] 제식탄 모델은 AK-24보다 6발킬 시작 거리가 25m 짧다.[69] 여담으로 연사 모드 연사력은 5.1 패치 이후 표준값인 700~720 RPM 정도였지만 어느 순간 변경된 듯하다. 참고로 표기 680 RPM의 Avancys나, 그 외의 총기들 중 양산형 총열을 장착할 때 표기 700 RPM일 경우 실측 연사력이 720 RPM으로 나온다. 유일한 예외는 실측이 약 740 RPM인 SMG PP-29. 짧은 총열을 장착할 경우 경기관총 등에서 연사력 실측이 약 740이 되고, 돌격소총에서는 표기 720 RPM인 ACW-R가 740으로 측정된다.[70] 추가로 5발킬 거리의 경우 A-91보다 10m 길지만 M16A3보다는 25m 짧다.[71] 때문에 총기의 고점을 뽑아내기 위해서는 점사로 잘 운용해서 이런 면을 상쇄시키고, 중거리에서 2~3점사로 빠르게 끊어쏠 것이 강제됐다. 다만 6.4 패치까지는 중장거리 특화로 나온 RM68이나 근중거리 끝자락 구간이 강력한 SFAR-M으로 점사하는 게 더 좋아서 잘 쓰이지 않았다.[72] 시즌 7 초기에 자동화기 전반에 걸쳐 비주얼 리코일에 따른 집탄률 제어가 불편해졌을 때, GEW-46과 AEK-971, LMG 중 M240B은 영향을 적게 받거나 오히려 종전보다 명중률이 오르기도 했다. 해당 총기들은 모두 탄착군이 평균 선에는 못 미치는 정도였기에 조준기 비주얼은 기본적으로 잔잔하게 상승하는데 탄착군은 하단이나 수평으로 탄이 튀며 안맞는 일이 있었다. 예를 들어, M240B의 경우 집탄률 증가전에 화면 조준점은 오른쪽 위로 올라갈때 발사된 탄이 반대인 왼쪽으로 맞는 식. 그런데 비주얼 리코일 개편 이후 조준점에서 멀리 박히던 탄이 사용자의 컨트롤에 따라 조금 더 올바른 위치로 향하는 느낌으로 변경되며 너프인 것 같지만 한편으로 버프인 셈이 됐다.[73] GEW-46에서 하이 파워 탄종은 탄속 증감 수치가 이상하지만, 나머지 제식 탄종 등은 드물게도 680에서 620이 아닌 566의 정상 탄속 수치로 줄어든다. 다른 2042 시즌 신규 AR들은 거의 실측 RPM과 표기가 수정되었으나 GEW-46은 특이한 점을 볼 때 원래 하이 파워, 제식, 백병전 3종이 720, 770, 810 연사력으로 계획 되었던 탄들은 뭔가 백병전스러운 제식탄과, 제식 하이파워 사이 탄종으로 변경된 느낌도 있다. 탄속도 그렇고 제식탄과 하이 파워의 5발킬 구간이 기존 100m나 차이가 존재한다.[74] 680m/s가 보편적인 탄속값이 아니라 그런지 GEW-46에서 확장 총열을 달면 탄속이 755로 11%만 상승하고, 기본 LCMG 백병전에서 짧은 총열을 장착하면 탄속이 10%만 줄어든다. 또한 Avancys 서브소닉에서 확장 총열을 장착하면 탄속이 850으로 25% 상승하는 등 특이한 증감값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짧은 총열은 탄속이 13.5~18% 감소하고, 확장 총열은 15~20% 증가하는데, 이런 케이스를 피하려면 680이 아닌 710이나 720 탄속 정도로 재조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75] 물론 단발 모드로 이러한 연사력 이득을 끌어내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게이밍 마우스 휠 버튼을 추가 할당해서 굴리면 되나 실사용도 애매하다.[900] [**] [78] 전술부대는 6.5 크리드무어 탄환을 주로 쓰기도 하고 모듈형으로 7.62 탄종 사용도 가능하다. VHS-2는 AUG 이후 개발된 불펍식 소총 중 MDR X 등과 함께 세 손가락에 든다고 평가된다.[79] 비교하며 사용해 보면 UT-1 스마트 조준경의 원 안쪽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M5A3에 비해 VHX는 기본 총열에서조차 원을 벗어나는 경우가 생기며 전술 보정기를 장비하면 좌하, 우상탄이 심하게 벌어진다.[80] 소음기는 무조건 소음기 커버를 장비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30m 5발킬로 데미지 모델이 감소한다.[81] 패치 전에는 실측 연사력이 제식 탄종은 810 RPM, 하이 파워/서브소닉 탄종은 740 RPM으로 측정되어 850/800 RPM의 표기 연사력을 가진 다른 무기들보다 더 낮았다.[82] M5A3, AM40과의 정지 조준 사격시 연사 탄퍼짐 크기 비교[83] 제식/서브소닉은 20m까지의 최대 피해량을 26~24에서 22로 낮춰 몸샷 4발킬 및 헤드 2발킬이 불가능하도록 변경되었고, 하이 파워 역시 5m까지의 피해량은 28에서 25로, 20~50m 피해량은 최대 24에서 22로 조정하여 20m부터 헤드 2발킬이 불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이는 백엔드 패치로 대미지 모델을 수정한 첫 사례이다.[84] 6.4 패치에서 너프된 피해량이 의도치않게 롤백되기도 했으나, 7.0 패치에서 다시 복구되었다.[85] 이전까지 10m 4발킬이 가능한 AM40 제식/하이 파워 쪽을 제외하면 800 RPM 이상 고연사 총기 중 유일하게 20m까지 4발킬이 가능했으나, 900 RPM 제식탄보다 선호도가 낮았다. 장전 속도가 평균 이하인데다 장탄수도 제식에 비해 10~20발 낮기 때문인데, 7.2 패치 이후 초근거리 외에 4발킬이 안되면서 더욱 쓰임새가 줄었다.[86] GEW-46이 화력이 개선된 AK-24라면 VHX-D3 하이 파워의 경우 대략적인 스탯은 M5A3 하이 파워와 비슷했고, 자체 연사력도 짧은 총열 부착 상태와 유사해 20발 탄창만 극복하면 화력에서는 확실히 우위에 있었다.[87] 여담으로 6.2 패치의 실측 연사력 조정 이전에는 표기 연사력이 100 RPM만큼 차이가 나는데 실측 연사력이 740으로 동일했던 문제가 있었다.[88] 때문에 연사력 감소량도 제식은 -18%, 하이 파워는 -9%로 서로 달랐다.[89] 추가로 BTK는 같지만 50~75m는 M5A3가 18 대미지로 1 더 높은데, 75m~100m에서는 16으로 VHX-D3가 1 더 높다. 이 수치 때문에 6KU 소음기를 장착한다면 해당 거리에서 대미지 1 낮은 쪽이 BTK가 1발 나빠진다. 만약 소음기를 사용해야 할 경우, 짧은 총열이 빠져야 하는 M5A3보다 VHX-D3에 소음기 커버를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90] 반대로 M5A3는 그 모든 하단 부착물을 제한 없이 장착할 수 있다.[*] [92] 백병전과 제식은 표준형, 하이 파워는 장거리형이다. 또한 유탄을 주력으로 활용하는 복합형 돌격소총이기도 하다.[93] BC2 서구권 돌격소총에 사용된 M203 모델이 제공된다. 올아웃 워페어에 들어온 것은 처음.[**] [95] M16A3는 40m까지 22, 이후 10m 21에 다시 22로 75까지 유지되고 18이 최소이지만 AK5C는 40m 이후 20으로 떨어지고 75에서 18로, 150에서 15로 다시 한번 떨어진다.[96] 전술 재장전시 새 탄창을 끼운 후 체스트리그에 빈 탄창을 도로 회수하는 모션 때문에 장전 후딜레이가 있으며, 또 초기에는 수치에 착오가 있었는지 장전 완료 후 의미없는 딜레이가 발생하여 30발 탄창임에도 장전 속도가 느렸다. 4.1 패치로 재장전 모션이 매끄럽게 교체되긴 했으나, 탄창 회수 모션은 남아있는 탓에 아직 후딜레이가 존재한다. 전술 재장전이 더 느린 M416, ACW-R도 그렇게 보인다.[97] 게다가 출시 초기에는 대미지도 낮았던 탓에 비주류 무기 취급을 받았다.[98] 탄창 모델링이 4편의 30발들이 탄창인 비주얼 오류가 있는데, 30발 탄창에 4발을 덜 넣는건 가능하므로 고증 오류는 아니다.[99] 출시 초기에는 40발에 30m까지 4발킬이라 시즌 5때 전체적으로 AR의 유효사거리가 짧아진 틈을 타 40발짜리 RM68로 운영되기도 하였지만 이 시절에는 20m 900RPM 4발+헤드 투탭 AM40, 40발 전기톱 MTAR가 있던 시절인지라 그다지 메이저한 선택은 아니었다.[100] 이 시기 일부 너프를 받은 RM68과 비교하면 확장 탄창의 장탄수가 더 많지만, 5발킬 거리가 70m로 더 짧아 중장거리 이상에서는 RM68에 비해 약했다.[101] 비슷한 시기 AM40이나 RM68 등 기존 1티어 무기들이 큰 너프를 받지 않고, 신규 총기 VHX-D3도 고평가를 받으며 티어가 밀렸기 때문.[102] 단, 최대 탄퍼짐 크기는 특이하게 ACW-R이 A-91만큼 좋다.[103] 기존에는 기본 제공되는 ACOG로 25m 또는 35m 이상에서 조준사격이 가능했으나, 7.0 패치 이후 브이자로 흔들림이 증가하면서 ACOG의 삼각 조준선이 아닌 점이 찍힌 다른 중거리 언락 조준경이 더 나아 보인다.[104] 개별 조준경 단위의 비주얼 리코일은 반영되었다.[105] 근중거리의 주요 교전에서 M5A3 제식/서브소닉의 장단점이 결합되고 짧은 총열과 기본 연사력의 중간에 위치한 성능이 되었다.[106] 출시 초기에는 점사 모드의 점사 간격이 없고 순간 연사력이 연사 모드보다 느린 버그도 있었으나 패치로 수정되었다.[107] 대미지 모델이 M16A3와 동일하게 변경되며 중거리 이후 BTK가 1발씩 상향되고, 과하게 높던 탄퍼짐 수치가 M16과 함께 상향되며 크게 튀던 탄퍼짐도 안정화되었다.[108] 여담으로 5.0.1 패치에서 M16A3의 대미지 모델을 가져오면서 40~50m에서 대미지가 21이 되는 문제가 똑같이 옮겨갔지만, 7.0.1 패치에서 수정되었다. 다만 원본인 M16A3는 그대로다.[109] 7.0 패치 당시에는 AK 5C 백병전 확장 탄창의 연사력이 더 낮은 이슈가 있어 비벼볼 수도 있었지만, 7.1 패치에서 연사력이 일반 탄창과 통일되며 확실히 열세가 되었다.[110] 금고 무기를 해제하면 BF3 포털 무기도 함께 해제된다.[900] [112] 30m 내외의 근거리 교전에서 연사로 교전하는 상황이라면 반동의 크기가 승패를 가로지르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113] VHX의 경우는 높은 반동을 댓가로 중거리까지 명중률이 나오고 MTAR의 경우에는 낮은 반동과 정지 명중률이 인상적이다.[114] 반대로 수직 반동은 금고 무기 중 가장 작고, M5A3 백병전에 버금갈 정도이다.[115] 이때 다른 돌격소총들의 2배 이상이던 비정상적인 지향사격 탄퍼짐 크기 및 증가치를 가지던 오류도 수정되었다.[116] 공개 당시에는 금고 무기의 2042 부착물 도입이 발표되지 않아 이를 근거로 2042 부착물 도입을 추측하는 유저들이 많았다.[900] [118] 비주얼 리코일은 조준경이 총의 레일에 얼마나 가까운지에 따라 비례한다. 포탈의 리플렉스 조준경, 코브라 조준경은 총보다 꽤나 위에 부착되는 편이기 때문에 비주얼 리코일의 개선이 매우 크다.[119] 동일 연사력의 MTAR-21과 비교하면 반동 특성상 60m 선에서 반동 제어를 잘 한다면 명중률이 더 높지만, 기본 반동 자체가 조금 더 강한 편인 데다 풀연사시 탄이 새는 건 둘 다 비슷하다.[120] 중거리 이상의 팁이라면 1번은 8~11발을 우선 사격 한 뒤에 1~3점사 사이로 딱 끊어쏘며 마무리. 2번은 6~7발정도 사격 후에 잠깐 조준선을 재정렬하고 1번 사격으로 다시 가는 것. 3번은 정석과 유사한 5~8발 정도 사격 후 2~4 점사를 지속하는 방법이 존재하며, 거리가 더욱 멀수록 처음은 5발 + 2점사 같이 낮춰가며 쏘면 된다. 더 본인 스타일에 맞는 것을 쓰면 되는데, 6발의 초탄사격이 잘 맞았다면 그 순간 감각적으로 1번을 유지하고, 빗나간 탄이 많다면 2, 3으로 방향을 틀 수 있다.[121] 보통 적어도 50발 넘게 연사해야 도달하는 수직 반동 각도 최대치를 약 2~30발 사격만으로 도달하는데, 확장 탄창을 달고 쏘면 쉽게 체감할 수 있다.[122] 실제 총기의 단점인 2점사의 탄착군 문제도 그대로 가져온 탓에 900RPM 점사 운용은 사실상 불가능한 수준이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if external != "o"
[[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uuid=374696f3-ad8c-4f5e-8490-7b5c779e9698|r253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uuid=374696f3-ad8c-4f5e-8490-7b5c779e9698#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from=2534|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if external != "o"
[[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uuid=374696f3-ad8c-4f5e-8490-7b5c779e9698|r253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uuid=374696f3-ad8c-4f5e-8490-7b5c779e9698#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배틀필드 2042/보병 장비/총기?from=2534|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