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 선거구 제83구 Wahlkreis 83: Berlin-Treptow-Köpenick | }}} | |||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206,841명 (2025) | |||||
상위 주 | 베를린 | |||||
하위 행정구역 | 트렙토-쾨페니크구 전체 | |||||
연방의원 | | 그레고르 기지 (Gregor Gysi) |
1. 개요
독일 베를린 주의 연방의회 선거구. 2021년 제20대 선거까지는 선거구 번호 84번이었으나, 2025년 제21대부터 83번으로 변경되었다. 트렙토-쾨페니크구 전체를 관할한다.독일 전체를 통틀어 좌파당의 성지 두곳 중의 한곳[1]이라 불러도 충분할 정도로 좌파당의 텃밭 지역구이다. 2005년 제16대부터 현재까지 연속으로 지역구에서 좌파당 그레고르 기지[2] 후보가 당선되었다. 다만 비례대표 득표율은 사민당이 1위를 차지한 적도 몇번 있었다. 2021년 제20대에 좌파당의 득표율이 약해지고 2025년 제21대에서 AfD가 급부상하여 지역구와 정당득표율 모두 2위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 두드러진 추세 변화이다. 특히 비례대표 득표율에서 좌파당과 AfD의 차이는 0.1%에 불과하여 매우 위태로운 상태라고 평가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기민련은 평균 정도의 득표를 기록했고, 사민당, 녹색당은 2021년 제20대에 비해 상당히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했다.
세부 지역별 투표결과를 살펴보면, 지역구의 경우 대부분의 지역에서 좌파당 기지 후보가 1위를 차지했지만, 알트글리니케 일부, 뮈겔하임에서는 AfD 글라이히만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
비례대표 정당득표율 분포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시내와 가까운 지역 즉 알트트렙토, 플랜터발트, 바움슐렌베크, 요하니스탈 대부분, 니더쇠네바이데, 아들러스호프, 오버쇠네바이데, 쾨페니크 대부분, 프리드리히스하겐에서는 좌파당이 1위를, 변두리 지역 즉 요하니스탈 일부, 알트글리니케 대부분, 본스도르프, 쾨페니크 일부, 란스도르프, 뮈겔하임, 슈뫼크비츠에서는 AfD가 1위를, 알트글리니케 일부, 쾨페니크 북부 일부, 그뤼나우 일부에서는 기민련이 1위를 차지했다.
2. 역대 의원
- 지그프리트 셰플러(Siegfried Scheffler) (사민당): 1994년 제13대부터 2002년 제15대까지 3선.
- 그레고르 기지(Gregor Gysi) (좌파당): 2005년 제16대부터 2025년 제21대까지 6선.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74구 | 75구 | 76구 | 77구 | 78구 |
한나 슈타인뮐러 | 율리아 슈나이더 | 마르빈 슐츠 | 헬무트 클레방크 | 아드리안 그라세 | |
79구 | 80구 | 81구 | 82구 | 83구 | |
루카스 크리거 | 모리츠 호이베르거 | 페라트 코차크 | 파스칼 마이저 | 그레고르 기지 | |
84구 | 85구 | ||||
고트프리트 퀴리오 | 이네스 슈베르트너 | ||||
비례 1 | 비례 3 | 비례 4 | |||
베아트릭스 폰 슈토르히 | 로날트 글라스너 | 제바스티안 마크 | |||
비례 1 | 비례 2 | ||||
리자 파우스 |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 ||||
비례 3 | 비례 5 | ||||
카탈린 겐부르크 | 스텔라 메레디노 | ||||
비례 1 | 비례 2 | ||||
얀-마르코 루차크 | 오틸리 클라인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
루퍼트 슈튀베 | 안니카 클로제 | 하칸 데미르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베를린 트렙토-쾨페니크구 트렙토-쾨페니크구 전체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그레고르 기지 | 70,572 | 41.8% | 1위 | 36,609 | 21.7% | 1위 |
| |||||||
| 미하엘 글라이히만 | 34,646 | 20.5% | 2위 | 36,410 | 21.6% | 2위 |
| |||||||
| 두스틴 호프만 | 23,747 | 14.1% | 3위 | 25,858 | 15.3% | 3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아나-마리아 트라스네아 | 14,472 | 8.6% | 4위 | 21,403 | 12.7% | 4위 |
| |||||||
요제피네 튀레 | 9,494 | 5.6% | 5위 | 15,471 | 9.2% | 6위 | |
| |||||||
| 안카트린 에서 | 8,081 | 4.8% | 6위 | 20,226 | 12.0% | 5위 |
| |||||||
미르코 클라우스 | 3,235 | 1.9% | 7위 | 3,017 | 1.8% | 8위 | |
''' 동물보호당 ''' | |||||||
| 조피-파울린 누서 | 2,961 | 1.8% | 8위 | 4,949 | 2.9% | 7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마르코 슈라이터 | 892 | 0.5% | 9위 | 761 | 0.5% | 11위 | |
| |||||||
란디 비테 | 367 | 0.2% | 10위 | 299 | 0.2% | 13위 | |
''' 독일 연합 ''' | |||||||
클라우디우스 라이히 | 113 | 0.1% | 11위 | 86 | 0.1% | 16위 | |
''' MLPD ''' | |||||||
헬가 차프-라루쉬 | 100 | 0.1% | 12위 | 72 | 0.0% | 17위 | |
''' BüSo ''' | |||||||
- | - | - | - | 1,546 | 0.9% | 9위 | |
''' Volt ''' | |||||||
- | - | - | - | 1,294 | 0.8% | 10위 | |
| |||||||
- | - | - | - | 367 | 0.2% | 12위 | |
''' PdF ''' | |||||||
- | - | - | - | 260 | 0.2% | 14위 | |
''' Todenhöfer ''' | |||||||
- | - | - | - | 128 | 0.1% | 15위 | |
''' MERA25 ''' | |||||||
- | - | - | - | 27 | 0.0% | 18위 | |
''' SGP ''' | |||||||
계 | 유효표 | 168,680 | 168,783 | ||||
무효표 | 1,122 | 1,019 | |||||
총 투표수 | 169,802 | 169,802 | |||||
투표율 | 82.1% | 82.1% | |||||
결과 | 유지 | 획득 |
[1] 나머지 한곳은 베를린 리히텐베르크구[2] 법조인 출신 정치인. 좌파당 정치인들 중에서 최고 유명인 중의 한명이고, 1948년생 즉 77세의 나이로 연령 면에서도 거의 최고령자이고, 8번의 연방국회의원 당선으로 가장 오랜 경력을 자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