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 선거구 제75구 Wahlkreis 75: Berlin-Pankow | }}} | |||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235,392명 (2025) | |||||
상위 주 | 베를린 | |||||
하위 행정구역 | ||||||
연방의원 | | 율리아 슈나이더 |
1. 개요
독일 베를린 주의 연방의회 선거구. 2021년 20대 선거까지는 선거구 번호 76번이었으나, 2025년 21대부터 75번으로 변경되었다. 팡코구 전체를 관할하지만, 프렌츨라우어베르크 동부지역[1.1]은 제외한다. 따라서 Prenzlauer Allee의 서쪽 지역이 이 팡코구 선거구에 남아있게 된다.2010년대까지는 옛 동베를린 선거구 답게 좌파당이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 지역구에서도 좌파당 슈테판 리비히 의원이 2009년 제17대부터 2017년 제19대까지 연속 3선했다. 이당시에 녹색당은 10% 중반대를 꾸준히 기록했지만, 이렇다 할 결과를 내지는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202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 지역의 주도권은 녹색당에게 넘어갔다고 볼수 있다. 녹색당 슈테판 겔프하르가 2021년 제20대에 최초로 녹색당 지역구 의원에 당선되었고 비례대표 1위도 차지한다. 2025년 제21대에서 정당득표 1위를 좌파당에 내주긴 했지만, 녹색당 율리아 슈나이더가 지역구 의원을 지키는데에 성공했다.[3] 녹색당이 구청장, 주의회의원 등에서 여전히 가장 강력한 정치적 기반을 갖고 있다.
좌파당은 2017년 제19대에서 한번 정당득표 1위를 기록한 적이 있지만, 2021년 제20대에서는 5위로 곤두박질쳤다. 그러나 2025년 제21대에서 좌파당이 정당득표 1위를 되찾았다. 지역구 선거에서도 이 지역에 처음 나서는 후보 막시밀리안 쉬어머가 녹색당 후보에 이어 2.9% 차이로 2위를 차지하는 저력을 보여줬다.
지역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도심에 속하는 프렌츨라우어베르크 대부분과 팡코 서부 지역에서는 녹색당의 정당투표 지지율이 높게 나타나고, 바이센제, 팡코 동부 지역, 니더쇤하우젠 등에서는 좌파당의 지지율이 높고, 빌헬름스루, 로젠탈, 프란최지슈부흐홀츠, 카로 등에서는 기민련이 높고, 그밖의 외곽 지역에서는 AfD가 지지율 1위를 차지한다. 이런 점은 다른 동베를린 지역구들과 비슷한 패턴이다.
2. 역대 의원
- 슈테판 리비히(Stefan Liebich) (좌파당): 2009년 제17대부터 2017년 제19대까지 3선.
- 슈테판 겔프하르(Stefan Gelbhaar) (녹색당): 2021년 제20대 1선.
- 율리아 슈나이더 (녹색당): 2025년 제21대 1선.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74구 | 75구 | 76구 | 77구 | 78구 |
한나 슈타인뮐러 | 율리아 슈나이더 | 마르빈 슐츠 | 헬무트 클레방크 | 아드리안 그라세 | |
79구 | 80구 | 81구 | 82구 | 83구 | |
루카스 크리거 | 모리츠 호이베르거 | 페라트 코차크 | 파스칼 마이저 | 그레고르 기지 | |
84구 | 85구 | ||||
고트프리트 퀴리오 | 이네스 슈베르트너 | ||||
비례 1 | 비례 3 | 비례 4 | |||
베아트릭스 폰 슈토르히 | 로날트 글라스너 | 제바스티안 마크 | |||
비례 1 | 비례 2 | ||||
리자 파우스 |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 ||||
비례 3 | 비례 5 | ||||
카탈린 겐부르크 | 스텔라 메레디노 | ||||
비례 1 | 비례 2 | ||||
얀-마르코 루차크 | 오틸리 클라인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
루퍼트 슈튀베 | 안니카 클로제 | 하칸 데미르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베를린 팡코구 팡코구에서 프렌츨라우어베르크 동부지역[1.1] 제외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율리아 슈나이더 | 50,854 | 25.8% | 1위 | 38,819 | 19.6% | 2위 |
| |||||||
| 막시밀리안 쉬어머 | 45,010 | 22.9% | 2위 | 43,180 | 21.8% | 1위 |
| |||||||
| 로날트 글래저 | 33,179 | 16.9% | 3위 | 31,087 | 15.7% | 3위 |
| |||||||
| 프란치스카 데쳄버 | 31,918 | 16.2% | 4위 | 28,628 | 14.4% | 4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알렉산드라 벤트 | 26,106 | 13.3% | 5위 | 26,046 | 13.1% | 5위 |
| |||||||
| 다니엘라 클루커트 | 5,407 | 2.7% | 6위 | 6,555 | 3.3% | 7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존 쿠카르스키 | 2,357 | 1.2% | 7위 | 762 | 0.4% | 11위 | |
| |||||||
게르하르트 그루너 | 1,170 | 0.6% | 8위 | 294 | 0.1% | 13위 | |
''' 독일 연합 ''' | |||||||
슈테판 오센코프 | ᅟ812 | 0.4% | 9위 | 123 | 0.1% | 16위 | |
''' BüSo ''' | |||||||
- | - | - | - | 15,126 | 7.6% | 6위 | |
| |||||||
- | - | - | - | 2,779 | 1.4% | 8위 | |
''' 동물보호당 ''' | |||||||
- | - | - | - | 2,235 | 1.1% | 9위 | |
''' Volt ''' | |||||||
- | - | - | - | 1,573 | 0.8% | 10위 | |
| |||||||
- | - | - | - | 371 | 0.2% | 12위 | |
''' PdF ''' | |||||||
- | - | - | - | 224 | 0.1% | 14위 | |
''' Todenhöfer ''' | |||||||
- | - | - | - | 201 | 0.1% | 15위 | |
''' MERA25 ''' | |||||||
- | - | - | - | 83 | 0.0% | 17위 | |
''' MLPD ''' | |||||||
- | - | - | - | 54 | 0.0% | 18위 | |
''' SGP ''' | |||||||
계 | 유효표 | 196,813 | 198,140 | ||||
무효표 | 2,259 | 932 | |||||
총 투표수 | 199,072 | 199,072 | |||||
투표율 | 84.6% | 84.6% | |||||
결과 | 유지 | 획득 |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75구 | 76구 | 77구 | 78구 | 79구 |
한나 슈타인뮐러 | 슈테판 겔프하르 | 모니카 그뤼터스 | 헬무트 클레방크 | 토마스 하일만 | |
80구 | 81구 | 82구 | 83구 | 84구 | |
미하엘 뮐러 | 케빈 퀴너트 | 하칸 데미르 | 자난 바이람 | 그레고르 기지 | |
85구 | 86구 | ||||
마리오 차야 | 게지네 뢰치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
안드레아스 아우드레치 | 레나테 퀴나스트 | 리자 파우스 | |||
비례 4 | 비례 5 | ||||
안니카 클로제 | 루퍼트 슈튀베 | ||||
비례 6 | 비례 7 | ||||
다니엘라 클루커트 | 크리스토프 마이어 | ||||
비례 8 | 비례 9 | 비례 10 | 비례 11 | 비례 12 | |
고트프리드 퀴리오 | 괴츠 프뢰밍 | 베아트릭스 폰 슈토히 | 오틸리 클라인 | 얀-마르코 루차크 | |
비례 13 | |||||
페트라 파우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베를린 팡코구 팡코구에서 프렌츨라우어베르크 동부지역[1.1] 제외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슈테판 겔프하르 | 35,919 | 26.8% | 1위 | 34,836 | 25.9% | 1위 |
| |||||||
| 마누엘라 안더스-그라니츠키 | 23,439 | 17.5% | 2위 | 22,455 | 16.7% | 2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클라우스 민트루프 | 21,387 | 15.9% | 3위 | 20,245 | 15.1% | 3위 |
| |||||||
| 우도 볼프 | 19,048 | 14.2% | 4위 | 19,157 | 14.3% | 5위 |
| |||||||
| 괴츠 프뢰밍 | 19,023 | 14.2% | 5위 | 19,426 | 14.5% | 4위 |
| 비례 당선 | ||||||
엘케 바이후젠 | 4,125 | 3.1% | 6위 | 3,866 | 2.9% | 7위 | |
''' 동물보호당 ''' | |||||||
| 다니엘라 클루커트 | 4,069 | 3.0% | 7위 | 4,932 | 3.7% | 6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비례 당선 | ||||||
야니스 키제발터 | 3,411 | 2.5% | 8위 | 2,947 | 2.2% | 8위 | |
| |||||||
일리야 마르틴 | 1,132 | 0.8% | 9위 | 1,087 | 0.8% | 10위 | |
| |||||||
마리아네 우츠 | 852 | 0.6% | 10위 | 622 | 0.5% | 12위 | |
| |||||||
파울 뢰퍼 | 754 | 0.6% | 11위 | 983 | 0.7% | 11위 | |
''' Volt ''' | |||||||
펠릭스 베어트 | 407 | 0.3% | 12위 | 290 | 0.2% | 15위 | |
''' Gesundheitsforschung ''' | |||||||
토마스 쿤 | 322 | 0.2% | 13위 | 241 | 0.2% | 18위 | |
''' ÖDP ''' | |||||||
파울 자이퍼트 | 246 | 0.2% | 14위 | 195 | 0.1% | 19위 | |
''' LKR ''' | |||||||
- | - | - | - | 1,355 | 1.0% | 9위 | |
''' Die Grauen ''' | |||||||
- | - | - | - | 533 | 0.4% | 13위 | |
''' Todenhöfer ''' | |||||||
- | - | - | - | 330 | 0.2% | 14위 | |
''' DKP ''' | |||||||
- | - | - | - | 263 | 0.2% | 16위 | |
''' du. ''' | |||||||
- | - | - | - | 260 | 0.2% | 17위 | |
''' Die Humanisten ''' | |||||||
- | - | - | - | 93 | 0.1% | 20위 | |
''' V-Partei ''' | |||||||
- | - | - | - | 86 | 0.1% | 21위 | |
''' NPD ''' | |||||||
- | - | - | - | 50 | 0.0% | 22위 | |
''' MLPD ''' | |||||||
- | - | - | - | 46 | 0.0% | 23위 | |
''' SGP ''' | |||||||
- | - | - | - | 44 | 0.0% | 24위 | |
''' BüSo ''' | |||||||
계 | 유효표 | 134,134 | 134,342 | ||||
무효표 | 1,459 | 1,251 | |||||
총 투표수 | 135,593 | 135,593 | |||||
투표율 | 58.2% | 58.2% | |||||
결과 | 획득 | 획득 |
[1.1] 프리드리히스하인·크로이츠베르크에 떼어준 지역, 즉 Prenzlauer Allee의 동쪽 지역[1.1] [3] 그러나 선거 초반에 불거진 현역의원 겔프하르의 성추행 의혹과 당 차원의 후보자격 박탈 및 급작스런 후보 교체 등 잡음이 상당했다. 그때문에 녹색당이 지역구까지 잃을 것이라는 전망이 높았지만, 어찌어찌 지켜내는데에 성공했다.[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