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tleg
1. 몰래 숨겨서 마시는 밀주
힙 플라스크[1]에 들어있는 술을 부츠에 숨겨놓고 밀수하던 행위.2. 해적판
자세한 내용은 해적판 문서 참고하십시오.서양에서는 부틀렉을 해적판과 거의 동일한 의미로 취급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해적판' 자체를 정식 음반의 복제품으로 한정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부틀렉'은 아래의 의미 중 원본 음반과 다른 트랙을 가졌거나 실황 녹음 불법 음반에 한정지어 사용하는 편이다.
2.1. 비공식적으로 만들어진 음반
가수나 음반 회사의 허가 없이 불법 복사되어 발매된 음반을 뜻한다. 80년대 한국에서 LP를 사서 음악을 듣던 사람이라면 단색으로 조악하게 인쇄된 커버의 불법 복사판, 소위 '빽판'이라고 불리는 LP를 많이 보았을 텐데 이것도 부틀렉에 속한다. 부틀렉이라는 말이 생소해서 그렇지 빽판과 빽시디 모두 부틀렉인 셈이다. 이렇게 보면 돈을 벌기 위해 불법 복사를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현재는 상업적 목적과는 많이 떨어졌다. 80년대 빽판도 복사해서 팔아 상업적 이익을 얻기 위한 목적도 있었으나, 심의와 검열이 강한 당시로써는 금지되어 발매되지 못하는 음반, 검열로 일부 트랙이 삭제되어 완전하게 라이센스로 발매되지 못하는 음반들을 한국 팬들이 금지곡 없이 제대로 듣게 해 주는 통로이기도 했다.[2]상업적 이익과 많이 떨어진 현재는 일반 대중 음악계에서는 거의 사라지고 마니아들이 즐기는 음악에서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요즘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기존의 앨범을 복사한 부틀렉이 아닌, 팬들만의 완전히 새로운 앨범이 거래되고 있다. 쉽게 설명을 하자면, 기존의 정품 만화의 캐릭터와 세계관(기존의 정품 앨범에 수록된 곡들)을 이용해서 자신들만의 완전히 새로운 내용의 동인지(부틀렉)를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더 이상 불법 복사가 아닌 만화계의 2차 창작과 비슷한 활동이 되었다.
정식 라이브 앨범으로 발매되지 않은 라이브 공연에서는 팬들이 몰래 녹음해 놓은 음원을 발매하기도 하는데, 이런 부틀렉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정식 발매 앨범에 수록되지 않은 아웃테이크나 데모 버전, 공개되지 않은 믹스 등이 들어가 있는 음반 역시 부틀렉이라고 한다. 일례로 비틀즈 같은 세계적인 인기를 끄는 밴드들은 엄청난 양의 부틀렉이 이미 나와 있으며, 폴 매카트니 등 미공개곡이 많은 가수는 아예 미공개곡만 따로 모은 부틀렉이 제작, 유통되기도 한다. 부틀렉이 활발한 밴드로는 그레이트풀 데드가 있다. 인터넷 부틀렉 유포도 밴드 팬덤인 데드헤즈가 최초다. 원래부터 열광적인 팬덤 때문에 2, 3번 의미의 부틀렉이 활발한 밴드였는데 이들이 인터넷에서 활동하면서 그대로 넘어왔다고 한다.
2.2. 공연 실황을 비공식적으로 녹음한 매체
가수들, 주로 록 음악 가수들의 공연이나 일렉트로니카 DJ의 라이브[3]를 녹음하여 만든 미디어. 원래는 이런 식으로 만든 CD나 비디오 등을 지칭하였으나 인터넷 공유가 늘면서 다양한 형태의 파일들도 이 범주에 속한다. 엄밀히 말하면 가수들의 스튜디오 데모 버전이나 미발표곡도 포함된다.어원은 1번 문단의 밀주에서 나왔으며 빠심 강한 팬이 직접 공연장에 가서 마이크를 몸에 숨기고 녹음하여 집에서 편집해서 내놓기도 하고 라디오나 티비 등에서 실황 중계하는 것을 녹음해서 CD로 만들어 파는 업체도 있다. 주로 글래스톤베리, 레딩, 록 암 링 등등의 락 페스티벌은 그 나라 방송국에서 중계하는 일이 많아 정식 라이브 앨범에 준하는 음질 좋은 소스가 많이 나온다. 가끔 밴드들과 친한 팬들에게 공연장의 사운드보드에 녹음기를 연결해서 녹음하게 허락해준다고 한다.
양덕후들은 보통 부틀렉을 공유할 때 소스의 이력 관리에 철저한 편이다. 공연 장소와 날짜는 기본이고 관객 녹음, 사운드보드 직출, 방송 녹음 등의 사항과 심지어는 어떤 기계로 관객석 어디에서 녹음했는지도 포함해서 공유하며, 이 부분을 무단으로 훼손하는 행위를 굉장히 싫어한다.
한국 아이돌 문화의 직캠도 넓게는 이 범주에 속한다.
2010년대 들어 활성화된 브로드웨이 뮤지컬들의 부틀렉은 특이하게도 '슬라임 튜토리얼'(slime tutorial)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유튜브의 차단 시스템을 최대한 오랫동안 회피하고자 유튜브에서 가장 흔한 영상의 한 종류인 아동 대상 슬라임 만들기 영상들의 제목을 따왔다는게 가장 널리 통용되는 유래에 대한 설이다.
2.3. 원작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만드는 음악
위 문단과 달리 DJ 업계에서의 부틀렉(bootleg)은 원작자의 허락이나 동의 없이 원작 노래를 편곡한 것을 뜻한다.[4] 당연히 수익 창출은 불가능하며 SoundCloud나 음악 배포 사이트 등에서 Free Download로 무료로 배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원작자와의 마찰로 저작권 분쟁이 일어나는 경우도 더러 있다. 기본적으로 같은 역할을 하던 DJ에 의해 탄생되는 과정을 거친 미국 힙합계에서 믹스테잎이 하던 역할과 같다고 보면 된다.[5]일단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단어가 리믹스이다. DJ 리믹스는 부틀렉까지 포함하는 더 큰 카테고리이지만 '부틀렉'을 따로 구분하다 보니 마땅히 단어가 없어 지칭되던 '리믹스'가 부틀렉의 반대 개념으로 사용되는 상황이라고 보면 된다.
3.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좀비 시나리오에 등장하는 보스
자세한 내용은 부트레그 문서 참고하십시오.4. 일본의 19금 애니메이션 제작사
MS PICTURES 산하의 19금 애니메이션 제작사.5. 미국의 영화 애니메이션 제작사
정식 명칭은 부틀렉유니버스.인도계 미국인 제작자 아디 상카르(Adi Shankar)가 2012년 세운 영화 및 애니메이션 등을 제작하는 미디어 제작사.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초기에는 유명 대중문화를 인용한 단편 영화 등을 만드는 데에서 출발했다. 퍼니셔 팬무비로 유명한 '더러운 세탁물', 잔인한 걸로 유명했던 파워레인저 팬무비 등이 그런 작품 중 하나. 이후 오리지널 작품도 만들기 시작했으나 기본적으로 기성 서브컬쳐 요소들의 변용에 능한 작품들이 기조라고 보면 된다.
6. 요네즈 켄시의 정규 4집
자세한 내용은 요네즈 켄시/디스코그래피 문서 참고하십시오.[1] 스파게티 웨스턴에서 주인공들이 품에 보관했다가 자주 한모금씩 들이키는 얇고 약간 휘어진 양철 캔. 자세한 설명은 링크를 참조하자.[2]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부분도 나중에는 금지곡 없이 정식 라이센스로 발매되는 음반들까지 무분별하게 빽판으로 발매됨으로써 약간 변질된 부분도 생겼다.[3] 이 경우는 믹스셋에 해당 DJ가 프로듀싱(작곡)도 겸하는 경우 해당 DJ가 작곡한 곡이나 믹스셋에 쓰인 외부곡의 리믹스도 포함.[4] 기본적인 틀은 리믹스(Remix)와 비슷하다.[5] 믹스테잎 역시 샘플클리어 없이 트랙을 무단으로 따와 만든 샘플링으로 내는 저작권 위반물이기 때문에 FBI에 의해 한번씩 적발되어 싸그리 폐기된 직후 시장이 죽었다가 이후 다시 살아났다가 반복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