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6:48:10

북방 임에서 넘어옴
북방 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4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ジン
일본어 훈독
みずのえ
-
표준 중국어
ré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
2.1. 납음 오행
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壬은 '북방 임'이라는 한자로, '북방', '아홉째 천간', '간사하다', '크다' 등을 뜻한다. 그래서 '아홉째 천간 임'이라고도 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선 U+58EC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G(竹土)로 입력한다.

부수(선비 사)이지만, 단지 자형 때문에 그렇게 분류된 것일 뿐 의미상으로는 士와 접점을 찾아보기 어렵다. 갑골문에서는 (장인 공) 모양으로 나타났다가 금문에서는 세로획 중간에 점이 찍힌 형태로 나타났고 이 점이 가로획으로 변해 소전체에서는 (임금 왕)의 가운데 가로획이 길어진 형태로 나타나더니 해서체에서 첫 가로획이 살짝 기울어진 형태로 변한 것이 그대로 정착했다. 이 형태를 실을 엮는 도구에 실이 엮여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해석하는 견해가 지배적이나, 북쪽에 있는 별과 땅을 연결한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 , 등에 쓰이는 한자는 壬이 아니라 𡈼(빼어날 정)[1]이며, 壬과 달리 아래 가로획이 가운데 가로획보다 길다.[2]

간지 (干支)
십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십이지













2.1. 납음 오행

壬이 들어 있는 오행
뽕나무, 도움되는 나무, 쓰기위해 잘리는 나무
얇게 늘려 종이처럼 만든 쇠, 왕관, 외화내빈
멀리 흐르는 물, 큰 강
버드나무, 불타고 있는 작은 나무
칼, 붓, 주사기, 침(전문직), 날카로움, 숙살지기
큰 바다의 물, 바닷물, 강한 음의 기운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3.3. 기타

3.4. 일본어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자원은 人+土이다.[2] 한국을 제외하면 壬과 𡈼의 구분을 명확히 한다. 일본과 중국에서 𡈼은 아래에 올 때 王의 형태로 쓴다. 반면에 대만에서 壬은 첫 획을 가로획으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