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06:39:21

천간


간지 (干支)
십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십이지













1. 개요2. 사용3. 기타4. 같이보기

1. 개요

천간()은 과거 날짜나 달, 연도를 셀 때 사용했던 단어의 총칭으로, '십간'(十干)으로도 부른다. 십간은 보통 십이지와 함께 사용되며, 이 경우는 십간십이지, 천간지지, 또는 간지라고 부른다. 이것이 총 60개이기 때문에 육십갑자라고 부른다.

고대 상나라 사람들은 천계에 10가지 태양이 있고, 이 태양이 하루에 하나씩 차례대로 뜨고 져서 총 10일 주기를 이룬다고 믿었다.[1] 천간은 이 태양들에게 붙였던 이름에서 출발했다고 한다. 각 글자에는 시대가 흐르면서 이런저런 민간어원이나 추가/파생된 의미가 따라붙어 복잡해졌으며, 이로 인해 상나라 사람들이 이름을 붙인 기준이 무엇이었는지는 오늘날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초창기의 명칭은 고갑자 문서 참조.

십이지와 더불어 천간에는 각각의 속성이 있으며, 사주나 주역에서는 십간의 음양오행이 꽤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본다. 실제로는 음양의 개념 자체는 음달-양달의 개념으로 이전부터 존재했으나 철학적 의미로 파생된 것은 훨씬 후대인 춘추시대음양가고, 오행은 그보다 더뒤인 전국시대에 본격적으로 틀이 잡혔기 때문에, 천간에 음양오행이 꿰어 맞춰져 의미가 부여된 것도 훨씬 후대이다.
음양
오행 木(나무 목) 火(불 화) 土(흙 토) 金(쇠 금) 水(물 수)
방위 중앙
색상

음양과 오행이 결부되여 천간의 각자는 납음오행(納音五行)상으로 위와 같은 속성을 지닌다. 대충 양(陽)은 크고 강직한 것, 음(陰)은 작고 여린 것으로 취급한다.

한국에서는 이 10간에 해당하는 색과 12지에 해당하는 동물을 더해서 특정 연도를 부르는 방식 중 하나로 사용하고 있다. 가령 갑오(甲午)년은 '청마의 해', 임진(壬辰)년은 '흑룡의 해' 등으로 부르는 식이다. 이런 방식은 조선시대 문헌에서 쓰인 사례[2]가 있기는 하지만 당대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 방식이었다가 1990년 백말띠에 태어나는 여아는 팔자가 드세다는 근거없는 속설이 나돌거나 2007년 정해(丁亥)년의 천간이 붉은색, 지지가 돼지를 상징함에도 불구하고 '황금돼지의 해'[3]라고 잘못 퍼지면서 슬슬 쓰이기 시작한 것을 보면, 현대의 여러 이해관계 때문에 저러한 표현이 다시 수면 밖으로 나왔다고 볼 수도 있다. 특히 황색을 상징하는 천간인 戊(무)[4], 己(기)[5]들는 흙을 상징하고 오히려 백색을 상징하는 천간인 庚(경), 辛(신)이 쇠(金)를 상징함에도 불구하고 戊(무), 己(기) 들어가는 해에는 '황금 ○○의 해'라고 부른다. 흑룡은 있지만 ‘흑룡의 해’는 없다 - 스포츠경향

2. 사용

3. 기타

4. 같이보기


[1] 흥미롭게도 상나라와 비슷하게 밀림 문화권이었던 아즈텍 문화에서도 '다섯 개의 태양'이라는 유사한 개념이 있었다.[2] 송희업(宋熙業: 1586~1661)이라는 인물이 자신의 선대 계보를 정리한 『여산송씨십이세계(礪山宋氏十二世系)』(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라는 책의 간기(刊記)는 '歲舍靑猴淸和下澣 礪城後學 宋熙業 印布'라고 되어 있는데, 해석하면 '청후(靑猴)의 해 청화(淸和)의 달 하순에 여성(礪城)의 후학 송희업이 인쇄하여 배포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청후(靑猴)는 '파란 원숭이'라는 뜻으로서 이에 해당하는 간지는 갑신년(甲申年)이고, 송희업이 생존했던 연대를 따져보면 1644년(인조 22)이 된다. 참고로 청화(淸和)는 음력 4월의 별칭이고 여성(礪城)은 송희업의 본관인 여산(礪山: 지금의 전북 익산시 여산면 일대에 있었던 조선시대 옛 고을 이름)을 의미한다.[3] 12년 후인 2019년에 해당한다.[4] 최신 무(戊)가 들어간 해는 2008년, 2018년.[5] 최신 기(己)가 들어간 해는 2009년, 2019년. 그외 천간 모두 10년에 한번씩 적용.[6] 예시 : 송파구 갑, 송파구 을, 송파구 병[7] 과거 경상남도 부산시제2대 국회제3대 국회에서 시 단위로 '무'(5번)까지, 경상북도 대구시제4대 국회제5대 국회에서 시 단위로 '기(6번)까지' 올라가기도 했다. 이때(제4-5대 국회) 경상남도 부산시는 구제(區制) 실시로 선거구가 구 단위로 더 쪼개져 도 산하 일반시가 무려 10개의 선거구를 가지고 있었다. 만약 구제가 조금만 더 늦게 실시되었으면 당시 부산시 선거구는 부산시 갑부터 부산시 계까지 꽉 찼을 것이다. 경상남도 부산시가 부산직할시로서 독립적인 선거구를 갖기 시작한 건 제6대 국회부터다.[8] 예외로 일반구 지역을 선거구로 쓰기도 한다. (예시 : 청주시 흥덕구, 창원시 마산합포구)단 일반구 내에서도 성남시 분당구 갑/성남시 분당구 을처럼 갑을이 나눠지는 지역도 있다. 이는 선거법 개정 이전의 흔적으로, 현재는 시군자치구 기준으로 선거구를 짜지만, 과거에는 시군구(일반구도 포함) 기준으로 짜여졌다가 2012년 개정되었다. 성남 분당 갑/을, 안양 동안 갑/을이 좋은 예시.[9] 예시 : 대구광역시 동구 제1, 대구광역시 동구 제2[10] 예시 : 양산시 가, 양산시 나, 양산시 다...[11] 예시 : 도쿄 1구, 타이베이 1선거구[12] 예시 : 제1호 만경대선거구, 제111호 백두산선거구[13] 이 가문은 지지법 항렬도 쓴다. 계(癸)에 해당하는 항렬자(揆, 葵 등)가 끝나면 자(子)에 해당하는 항렬자(學, 孝 등)가 나오는 식.[14] 서력기원을 기준으로 기원후의 연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