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31 01:31:22

붉은등우단털파리

붉은등우단털파리
파일:러브버그1.jpg
학명 Plecia longiforceps
Duda, 1934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파리목(Diptera)
털파리과(Bibionidae)
아과 우단털파리아과(Pleciinae)
우단털파리속(Plecia)
붉은등우단털파리
(P. longiforceps)

1. 개요2. 대한민국에서의 발견과 보고
2.1. 2024년 대한민국 수도권 발생
3. 여담

[Clearfix]

1. 개요

털파리과 우단털파리속에 속하는 파리의 한 종으로, 다른 털파리처럼 성충이 된 이후에는 암수가 함께 붙어 다니면서 비행하거나 먹이를 먹고 밤에는 여러 차례 긴 시간 짝짓기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래 한반도의 야산에 소수 서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보고되어 있지 않아 국명도 정해져 있지 않았다. 그러나 2018년에 처음 대량발생이 보고되고, 2022년 수도권 대량발생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각지에 2022년 대량 발생 이후 2024년까지 연달아 발생한다.

2. 대한민국에서의 발견과 보고

2018년에도 붉은등우단털파리로 추정되는 털파리의 발생 이력이 있으나, 2022년 수도권 대량발생 문제로 이슈화되기 전까지는 한국에서 정식 보고되지 않았으며, 우단털파리속(Plecia)의 털파리류를 가리키는 '사랑벌레(러브버그)'라는 통칭으로만 불렸다. 본래 러브버그라는 명칭은 미국 동부에서 발생하는 우단털파리의 종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한국에서는 같은 속의 근연종인 붉은등우단털파리에 사랑벌레(러브버그)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국명 '붉은등우단털파리'는 2023년 지정되었다. 다만, '붉은 등'이 특징인 것은 비단 이 종뿐만 아니라 우단털파리속(Plecia) 및 계피우단털파리속(Penthetria)의 다른 파리들도 마찬가지이다.

수도권 발생 초기 북미에 분포하는 플레시아 니악티카(P. nearctica)나 속이 다른 계피우단털파리(P. japonica)로 추측했지만, 국립생물자원관이 유전자 분석으로 그동안 한국에 알려지지 않은 미기록종임을 밝혔다.#[1] 후속연구로 중국 남부와 대만, 오키나와에 주로 분포하는 붉은등우단털파리(Plecia longiforceps)와 같은 종이라고 드러났다.# # 이 종은 플레시아 니악티카의 친척이다.

2024년, 한국일보는 2014년부터 은평구 봉산에서 진행한 편백나무 숲 조성사업의 영향으로 대벌레와 러브버그가 대량 발생했으리라고 보도했다. 이에 은평구는 편백나무 숲 조성사업이 아닌 기후의 영향이라고 반박했다.# 정종국 강원대학교 교수는 러브버그는 산림해충이 아니고 대벌레는 유사한 시기 다른 곳에서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되었다고 반박했다.#

===# 2022년 대한민국 수도권 북서부 발생 #===

2022년 7월 초, 인천광역시, 경기도 고양시서울특별시 북서부에 위치한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용산구 인근에서 러브버그의 개체수가 폭증했다.[2] 기사 그 중에서 특히 은평구와 고양시 덕양구를 시작으로 개체수가 폭증했다. 정확한 이유는 불명이지만 장마로 인해 급격하게 습해진 기후와 북한산 등 인근에 산이 많고 불광천, 홍제천, 창릉천과 같은 대형 하천을 끼고 있는 지역 특성 때문으로 추정된다. 은평구 봉산에서는 이전에도 대벌레가 대량으로 발생했던 적이 있었다. 붉은등우단털파리의 경우도 2020년부터 여름철에 많이 출몰했지만 2022년을 기점으로 그 개체수가 더욱 증가했다.

교미를 하며 날아다니는 특유의 기묘한 모습에서 오는 혐오감과 미관상의 이유로 지역 주민들은 방역을 호소했다. 이에 2022년 7월 2일 은평구청은 블로그와 은평알림톡을 통해 긴급 방역을 실시했다고 구민들에게 전했다. 블로그 글 마포구청도 블로그를 통해 긴급 방역 중임을 알렸다. 블로그 글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와 겹쳐 방역을 해도 빗물에 살충제가 씻겨나가 효과가 미미하다고 한다. 또한 러브버그는 건조한 날씨와 햇빛에 약해 자연 소멸되는데 계속되는 장마로 인해 흐리고 습기가 많아 많은 개체가 부화했다. 기사1 기사2 기사3

가장 심한 은평구에서는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특히 가중되었다. 길가에 붉은등우단털파리의 사체가 쌓여있으며, ATM 부스나 버스 내부에도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가 있다. 길을 걷다 보면 몸 어딘가에 붉은등우단털파리가 앉아 있어서 불쾌감을 유발하는 상황도 속출했다.

집중방역과 여러번 비가 내린 결과 대다수의 개체들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 2023년 대한민국 수도권 발생 #===


2023년 6월경부터 붉은등우단털파리가 다시 나타나기 시작했다. 더운 날씨와 잦은 비로 인한 습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2023년에는 수도권 전역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3년 6월 현재 서울특별시 대부분의 행정 구역에서 확인되었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인천 지역에도 출몰하여 일대에 비상이 걸렸다고 하며, 민원도 10건이 들어온 상황이라고 한다.

경기도 광명시, 고양시, 부천시, 시흥시, 오산시 등지와 수도권과 근접한 충청남도 천안시에서도 대량 출몰하고 있다.
2023년 서울시 내 러브버그에 관한 전체 민원은 총 5600건인데, 71.7%(4015건)가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에서 나왔다. 특히 은평구는 46.4%(2600건)로 대략 절반을 차지했다.#

2.1. 2024년 대한민국 수도권 발생


2024년 6월 17일, 예년과 마찬가지로 목격담이 속출했다.[3] 예년보다 약 일주일 정도 등장이 앞당겨졌으며, 특히 타 지역에 비해 우장산, 봉제산, 수명산 등 산이 많은 강서구에서 민원이 쇄도했다.# 서울 전역에서 목격되었는데, 특히나 위세를 떨치고 있는 지역에서는 보이는 벌레 중 열에 아홉은 붉은등우단털파리일 정도로 건물 내부, 외부 가리지 않고 여기저기 붙은 경우가 부지기수였다. 버스 유리에 붙거나 승객과 함께 버스 차량 내부로 들어온 경우도 있다. 지상에 역사가 있는 경우가 많은 도시철도의 경우에도 차량 내부에서 종종 목격 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인천,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도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심지어 장마도 본래 예보보다 늦어져 더더욱 활개쳤고 전년보다 발견되는 범위가 넓어지기까지 했다.

다만 대량발생 후 10일 정도 지난 6월 말에는 특유의 짧은 수명과 지속적인 방역으로 수가 제법 줄었다. 여전히 많기는 하지만, 대량발생 직후보다는 확연히 줄어든 모습이다. 이후 6월 말부터 7월에 걸쳐 전국적으로 돌풍까지 동반한 강한 장마가 일주일 가량 지속될 예정이라 러브버그 대발생도 막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북한산 백운대에도 대량발생이 목격되었다. 흰 옷을 입고 가면 대형 참사를 겪을 수 있다. 영상

3. 여담



[1] 대한민국에 서식한다고 보고된 적이 없는 미기록종이지만 '새로 나타난 종'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자생했으나 눈에 띄지 않았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2] 서울시 내 러브버그 민원 수의 98%는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에서 나왔다.[3] 2022년도에 처음 집중적으로 발생했던 서울 북서부 지역에서는 이미 그 전 주부터 하나둘씩 목격담이 올라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