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17:13:24

블러드하운드 지대공 미사일

세계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77,#3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천궁 / 천궁-Ⅱ / L-SAM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나이키 / 호크 / 로워 / 패트리어트 / THAAD / GBI / 이지스 어쇼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S-25 / S-75 / 2K12 쿠프 / S-125 / 9K37 부크 / S-200 / S-300 / S-350 / S-400 / S-500 / A-135 / A-235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HQ-9 / HQ-12 / HQ-16 / HQ-22 / HQ-19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블러드하운드
SAMP/T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MEADS / IRIS-T (SLM/SLX)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03식 中SAM / N-SAM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애로우 / 다비즈 슬링 / SPYDER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톈궁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탈라스 대공방어시스템 / 바바르-373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아카시 / 바락 8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시페르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번개 미사일(번개-5(KN-06) ) / 별찌 미사일(별찌-1-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움콘토-LR }}}}}}}}}
파일:bloodhound_missile.png
Bloodhound

1. 개요2. 제원3. 특징4. 형식
4.1. Mk.II4.2. Mk.III4.3. Mk.IV
5. 운용국6. 보존7. 둘러보기

1. 개요

영국군이 운용했던 지대공 미사일.

2. 제원

구분 Mk.I Mk.II
개발 영국 브리스톨
운용 1959~1991년
탄두 연결봉(Continuous-rod)
폭발 방식 근접신관
추진 장치 램제트 엔진 × 2
고체연료 부스터 × 4
호밍 유도 반능동 레이더
전장 7.7m 8.45m
발사 중량 2,000kg -
탄두 중량 91kg 179kg
최고 속력 마하 2.2 마하 2.7
사거리 52km 190km

3. 특징

블러드하운드[1]는 사거리와 성능 면에서 미국의 나이키 허큘리스와 비슷하지만, 최첨단 반능동 레이더 유도방식을 채택해 전자전 대응책, 저고도 목표물에 대해 탁월한 타격 능력을 자랑한다. 사격통제장치 역시 흠잡을 곳 없었다.

레이더 체계를 비롯해 여러 기능이 잉글리시 일렉트릭 썬더버드 대공미사일과 같다.[2] 썬더버드가 단거리 표적을 견제하는 동안 사거리가 늘어난 블러드하운드가 계획됐으나, 소련 해체로 인해 취소됐다. 최후의 Mk.II 운용부대는 1991년에 사라졌으나[3], 스위스는 1999년까지 운용했다.

4. 형식

4.1. Mk.II

유사 시 핵탄두 탑재

4.2. Mk.III

향상된 램제트 엔진, 6kt급 전술 핵탄두 탑재형

4.3. Mk.IV

차량 탑재형

5. 운용국

6. 보존

7. 둘러보기

파일:스위스 국기.svg 현대 스위스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스위스군 (1945~현재)
Schweizer Armee
<colbgcolor=#DA291C><colbgcolor=#DA291C>{스파이크 LR2} | NLAW | PAL BB 77 드래곤R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 LR2} | PAL BB 85 TOW | PAL BB 65 BANTAMR
공대지
고정익기
Flz Lwf LB 66 "NORAS"R | Flz Lwf LB 82 매버릭R
유도포탄
지대지
12cm Mw int G 96 STRIX (120mm, Mö 16) | 15,5cm Kan int G 01 SMArt (155mm, Pz Hb M109)
L Flab Lwf BL 94 스팅어
단거리
Mob Flab Lwf 레이피어R
장거리
{BODLUV GR 패트리어트} | Flab Lwf BL 64 블러드하운드R | RSA | RSC/D | RSE 크린스
단거리
Flz Lwf LL AIM-9X "SIWA" | Flz Lwf LL (63/80 · 63/90 · 63/91) | Flz Lwf LL (63 · 63/75)R
중장거리 Flz Lwf LL (64 · 64/79) "팔코"R | Flz Lwf LL 97 · AMRAAM 120C-7
※ 윗첨자R: 퇴역 무장
취소선: 개발 취소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현대 싱가포르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싱가포르군 (1965~현재)
Singapore Armed Forces | Angkatan Bersenjata Singapura
<colbgcolor=#EE2536><colcolor=#FFF><colbgcolor=#EE2536><colcolor=#FFF>스파이크-(SR/MR/LR) | 밀란R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LR2
공대지
회전익기
AGM-114K 헬파이어 II | BGM-71F TOW-2BR
고정익기
AGM-65(B/D/G) 매버릭
'''
유도로켓
'''
지대지
GMLRS (227mm, HIMARS)
함대함
{블루 스피어} | RGM-84(D/G) 하푼 블록 1C/1G | RGM-84(A/C) 하푼 블록 1A/1BR | 가브리엘 IR
잠대함
UGM-84L 하푼 블록 2
공대함
AGM-84D 하푼 블록 1C
어뢰
경어뢰
A244-S Mod (1/3) | Tp 431R
중어뢰
A184 블랙샤크 | Tp 617 | Tp 451R
보병
RBS 70 Mk.1 | 9K38 이글라 | 미스트랄 1
차량
9K38 이글라 (M113A2 OWS)
단거리
레이피어 Mk.1 FSBR
'''
중거리
'''
SPYDER-SR | MIM-23(C/G) I-호크
장거리
SAMP/T | 블러드하운드 Mk.IIR
'''
CIWS
'''
SIMBAD-RC
'''
개함방공
'''
아스터 15 | VL-MICA EM | 바락 1
'''
함대방공
'''
아스터 30
'''
단거리
'''
AIM-9(X/S) 사이드와인더 | 파이썬-5 | 파이썬-4 | AIM-9(B/P-4/N)R
'''
중장거리
'''
AIM-120(C-5/C-7) AMRAAM | AIM-7M 스패로우
유도폭탄 AGM-154(A/C) JSOW | GBU-39 SDB | GBU-(31/38) JDAM | GBU-54 LJDAM | GBU-(49/50)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10/12) 페이브웨이 II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1] Mk.II 기준[2] 썬더버드가 더 작아 기동성은 우수했다.[3] 다른 역할을 맡는 부대로 바뀐 것으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