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12:35:04

뿌요뿌요 피버

파일:external/www.hardcoregaming101.net/PuyoPuyo_logo.png
뿌요뿌요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컴파일 뿌요뿌요 넘버링 시리즈
컴파일 뿌요뿌요 (1) 뿌요뿌요 通/2 (2) 뿌요뿌요 SUN (3) 뿌요뿌욘 (4)
컴파일 뿌요뿌요 외전
퍼즐뿌요 와쿠와쿠 뿌요뿌요 던전 뿌요뿌요 외전 뿌요워즈 뿌요뿌요 DA!
뿌요뿌요 BOX
◀ 본편: 마도물어 시리즈
세가 뿌요뿌요 넘버링 시리즈
<colbgcolor=#1357b9> 세가 뿌요뿌요 피버 (5) 뿌요뿌요 피버 츄-! (6) 뿌요뿌요 7 (7)
세가 뿌요뿌요 외전
모두의 뿌요뿌요 뿌요뿌요! 15주년 기념판 뿌요뿌요!! 20주년 기념판 뿌요뿌요 크로니클
뿌요뿌요 e스포츠 뿌요뿌요 퍼즐 팝
뿌요뿌요 테트리스 시리즈
뿌요뿌요 테트리스 뿌요뿌요 테트리스 2
모바일
뿌요뿌요!! 퀘스트 뿌요뿌요!! 터치(지원 종료)
}}}}}}}}} ||
뿌요뿌요 피버
ぷよぷよフィーバー
Puyo Pop Fever
<nopad> 파일:뿌요뿌요 피버.png
<colbgcolor=#0190d5><colcolor=#ffffff> 개발 소닉 팀
유통 세가
플랫폼 아케이드 | PlayStation 2 | 드림캐스트 | 닌텐도 게임큐브 | Xbox | i아플리 | S!아플리 | Mac OS | 게임보이 어드밴스 | EZ아플리 | Microsoft Windows | 닌텐도 DS | PlayStation Portable | iOS | Android
ESD App Store | Google Play
장르 낙하형 퍼즐 게임
출시 Arcade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3년 11월 26일
[ 펼치기 · 접기 ]
PS2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4년 2월 4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4년 2월 27일
DC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4년 2월 24일
GC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4년 2월 27일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4년 3월 24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4년 7월 20일
Xbox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4년 2월 27일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4년 4월 24일
피처폰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4년 5월 24일 (i아플리)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4년 6월 24일 (S!아플리)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4년 8월 24일 (EZ아플리)
PC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4년 6월 24일 (Mac OS)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4년 9월 24일 (Windows)
GBA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4년 7월 24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5년 3월 24일
NDS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4년 12월 24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5년 5월 3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5년 7월 21일
PSP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4년 12월 24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6년 5월 19일
스마트폰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9년 1월 22일 (iOS)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0년 4월 1일 (Android)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0년 (Android)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Android)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PC판 요구 사항4. 시스템
4.1. 피버 모드4.2. 새로운 뿌요 모형4.3. 캐릭터간 뿌요 패턴과 캐릭터 타입
4.3.1. 패턴4.3.2. 타입
5. 캐릭터6. 게임 모드
6.1. 퍼즐 모드
7. 룰(다함께 뿌요뿌요)8. 평가9. 기타

[clearfix]

1. 개요

2003년에 출시된 뿌요뿌요 시리즈의 5번째 게임이자 세가로 넘어가서 제작된 첫 번째 뿌요뿌요.[1] 제목은 'fever'가 'five'와 발음이 비슷하다는 걸 이용한 말장난이다.

개발팀은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로 유명한 소닉 팀이며, 개발 협력으로 마일스톤[2]이라는 기업이 참여하였다. 캐릭터 디자이너는 사쿠라 대전의 서브 캐릭터 디자인과 미츠메테 나이트의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타케나미 히데유키(竹浪 秀行)가 맡았다.

아케이드 버전의 사용 기판은 NAOMI. 스마트폰 버전은 뿌요뿌요 피버 터치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는데, 내용상 크게 바뀐 것은 없고 그래픽을 아이폰/아이팟 터치에 맞추고 인터페이스도 터치식으로 바뀌었다. 본래 일본어판만 있었으나 2010년에 한국어판이 안드로이드 T스토어에서 출시되었다. 호소 야마다가 한국 출시 기념으로 인사말을 남겼다고 한다. #

2. 특징

기존 컴파일의 뿌요뿌요와는 분위기가 전혀 다르고 기존의 마도물어 세계관이 아닌 새로운 세계관이며, 아르르 나쟈카방클을 제외하고는 전부 물갈이됐다.[3]

뿌요뿌요 SUN 이후 신 시스템이 계속해서 까이고 실패하고 있던 가운데, 연쇄가 뿌요뿌요의 알파이자 오메가임을 깨달은 소닉 팀에서는 연쇄를 사용한 새로운 시스템인 '피버 모드'(밑에서 설명)을 도입하였으며, 역시 호불호가 갈렸지만 그래도 나쁘지 않은 평을 받았다. 또한 전작에서 떠나간 어린이 유저층을 위해 다시 SD 형태의 캐릭터 디자인으로 바꾼 등의 노력을 통해, 뿌요뿌요 SUN을 넘는 판매량을 기록하게 됐다. 하지만 이 작품은 유저들이 컴파일파와 세가파로 나뉘어 논쟁을 하게 되는 계기가 된 작품이기도 하다.

아케이드 이후 플레이스테이션 2를 시작으로 드림캐스트[4], 게임큐브, 엑스박스, 게임보이 어드밴스, 닌텐도 DS, PSP, Windows, Mac OS X[5][6], 일본 모바일, 심지어 Palm OSPocket PC로도 이식. 사실상 그때 당시 모든 기종으로 나왔다고 보면 된다(...). 다만 플레이스테이션 2판과 이를 기반으로 이식된 게임큐브, 엑스박스판은 조작감이 나빠 욕을 얻어먹었다.[7] 드림캐스트판과 이를 기반으로 한 나머지 이식판은 이게 개선되었다는 듯.

엑스박스 이식판은 일본 내에서 900장이라는 처참한 판매량을 기록. (PS2판은 17만장 팔렸다.) 결국 이 때문에 이후 뿌요뿌요 시리즈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열 게임기로 발매되지 않았었다가, 뿌요뿌요 테트리스Xbox One으로 출시되면서 10년 만에 재발매가 이루어졌다.

PC 이식판은 유일하게 온라인이 지원되는데, 잘 나가다가 몇 년 뒤에 서비스를 종료하고 2.0으로 새로 오픈, ID를 유료로 발급받아야 하는 제도로 바뀌었다.[8] 하지만 한국에서는 아이디 몇개 발급받고 유저들이 돌려쓰기 때문에 크게 상관 없는 이야기. 그리고 2014년 12월 18일 16시에 2.0도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세가가 기를 팍 잡고 폭넓은 발매 플랫폼에 영어판까지 출시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 작품이 한동안 해외 발매를 끊기게 만들었다. 다양한 플랫폼의 해외 발매가 실패한 이후, 뿌요뿌요 피버 츄-!부터는 플랫폼 수를 줄이고 철저히 내수용 타이틀이 되어버렸다. 다시 해외 발매가 시작된 것은 뿌요뿌요 테트리스의 해외 정발부터.

3. PC판 요구 사항

<rowcolor=#ffffff>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Windows
운영체제 Windows 98 SE/Me/2000/XP
프로세서 Pentium III 600Mhz 이상 Pentium III 833Mhz 이상
메모리 128MB 이상 256MB 이상
하드 디스크 100MB 이상 300MB 이상
디스플레이 640x480 이상의 해상도와 하이 컬러(16비트) 이상의 컬러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그래픽 카드 DirectDraw 지원 & VRAM 8MB 이상 Direct3D 지원 & VRAM 32MB 이상
동작이 확인된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2, 3 시리즈, Ti4200, MX440, FX5600
  • ATI: Radeon SDR, 8500LE, 9200SE, 9600XT
사운드 카드 DirectSound를 지원하는 사운드 카드
ODD 8배속 이상의 CD-ROM 드라이브
DirectX 9.0b 이상
Mac OS X
운영체제 Mac OS X 10.2.8 이상 Mac OS X 10.3 이상
프로세서 PowerPC G3 500Mhz 이상 PowerPC G3 700Mhz 이상
메모리 128MB 이상 256MB 이상
하드 디스크 600MB 이상 1GB 이상
디스플레이 640x480 이상의 해상도와 32,000색 이상의 컬러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ODD DVD 또는 CD 드라이브
Windows판은 2004년 발매된 초판 기준으로, 2008년 발매된 2.0은 사양이 소폭 올랐다(최소 사양이 펜티엄3 1Ghz 이상/RAM 256MB 이상/VRAM 16MB 이상). 다만 큰 차이는 없고, 이미 당대 기준으로도 상당한 저사양.

Mac판은 PowerPC 바이너리 게임이고 인텔 전향 이후로 유니버설 패치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10.7 이후의 OS가 설치된 인텔 CPU 탑재 Mac 또는 현행 Apple Silicon 탑재 Mac에서는 플레이가 불가능하다.

4. 시스템

본작은 뿌요뿌요 시리즈에서 '피버 룰'을 처음 도입한 작품으로, 기본적으로 뿌요뿌요 通 룰을 따르지만 크고 작은 변경점이 몇 가지 있다.

4.1. 피버 모드

본 작의 최대 특징 중 하나로, 이후 시리즈로 쭉 계승되는 '피버 모드'의 첫 등장이 이 작품이다. 뿌요뿌요 피버의 기본 인터페이스는 이전 시리즈들과 동일하지만, 양 필드 사이에 각각 7개의 구슬이 추가되었다. 이 구슬들은 처음부터 차 있거나(아주 단맛일때 3개, 단맛일때 1개) 아예 채워져 있지 않은데, 이 구슬들은 상대방의 방해 뿌요를 상쇄할 때마다 1개씩 채워지며 7개 전부 채워졌을 시에는 피버 모드로 들어간다. 만약 상쇄로 7개가 전부 채워졌지만 연쇄가 진행 중일때는 연쇄가 끝난뒤 피버 모드로 들어간다. 이때 상단부의 X 표시가 시간을 표시하는 숫자로 바뀐다. 또한 피버 모드에서는 보통 때보다 공격력이 약해진다.[11]

피버 모드의 시간은 기본적으로 15초지만 상대방이 내가 보낸 방해 뿌요를 상쇄 할때마다 1초씩 추가되며 30초가 최대이다.[12] 피버 모드에서는 페이즈마다 미리 [math(n)]연쇄를 할 수 있는 덩어리가 떨어지며, 각각의 페이즈에서 연쇄가 1번이라도 나오는 순간 해당 페이즈 종료. 해당 페이즈의 필드는 그 즉시 비워지며, 해당 페이즈에서 나온 연쇄 수를 [math(N)]이라 했을 때 아래 표에 의해 [math(n)]을 갱신하고 다음 페이즈로 넘어간다. 또한 아래 표와 별개로 [math(n)]연쇄만큼 연쇄하는데 성공했을 시에는 시간에 약간 보너스가 붙게 된다. 피버 모드 첫 페이즈에서의 [math(n)]은 4이다.
<rowcolor=#ffffff> 싹쓸이 여부 다음 페이즈에서의 [math(n)]
[math(N \geq n)] O [math(\min(N+2,~15))]
[math(N \geq n)] X [math(\min(N+1,~15))]
[math(N = n-1)] - [math(n)]
[math(N = n-2)] - [math(\max(n-1,~3))]
[math(N \leq n-3)] - [math(\max(n-2,~3))]

플레이어는 피버 모드에서 그냥 빨리빨리 터트릴 것인지, 아니면 자체적으로 연쇄수를 늘려 터트릴것인지 재빨리 결정해서 해야하는데... 사실 대부분 다 연쇄를 늘린다. 굳이 연쇄를 늘리는 이유는 뒤에 나오는 뿌요 덩어리의 연쇄 숫자가 더 커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4연쇄 덩어리가 떨어졌는데 늘려서 7연쇄를 했다면 다음엔 8연쇄 덩어리가 뜬다는 거다. 만약 싹쓸이까지 한다면 금상첨화. 이러다 보니 빨리빨리 늘리는 게 유리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피버 모드에서는 한 번 연쇄 끝나면 땡이고,[13] 시간제한도 있고, 무엇보다 원래의 연쇄모형을 해치지 않게 쌓아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실력을 요구하게 되었다.

연쇄를 늘리는 법을 익혀야 하는 이유는 비단 피버의 화력을 올리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아무리 피버 모드라고는 해도, 피버시에 생성되는 뿌요 모형을 즉시 기폭하기 위한 색깔과 NEXT 뿌요의 색은 항상 일치해주지는 않는다. 최악의 경우에는 피버 모드의 연쇄 모형과 내려오는 NEXT 뿌요의 형태가 잘못 맞물리는 바람에 뭘 어떻게 해도 연쇄 실패에 이르러버리는 경우도 있다. 도저히 기폭이 안 되는 상황에서도 끌고 가야 되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통상 모드를 대충 버티고 뇌 없이 피버 즉시연쇄 연타로 어떻게든 해보자는 전법은 잘 안 통한다.

당연하지만 피버 모드에서도 방해 뿌요가 떨어지며 가운데 2줄 막히면 패배한다. 주의.

4.2. 새로운 뿌요 모형

앞서 서술했다시피, 뿌요뿌요 피버에서는 뿌요 3개짜리 모형 뿌요 4개짜리 모형이 추가되었다. 추가된 모형들을 대략적으로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모형 이름은 가칭)

4.3. 캐릭터간 뿌요 패턴과 캐릭터 타입

4.3.1. 패턴

본작은 캐릭터마다 뿌요가 떨어지는 모양이 정해져 있으며, 이를 패턴 또는 쯔모라고 한다. 패턴은 뿌요가 16번 떨어질동안의 모양이며, 한 패턴이 끝나면 다시 처음 모양으로 돌아가서 게임 오버 전까지 무한 루프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본작의 주인공인 아미티의 경우엔 뿌요 패턴이 2/2/2/3/2/2/2/O/2/2/2/3/2/2/2/4 이며 더블 뿌요가 나와 패턴이 끝나면 다시 첫번째로 돌아가며 뿌요가 나오는 식이다.[16] 이 때문에 캐릭터마다 다루는 방법과 공략법이 확 달라지게 되었다. 여기에 타입까지 따지게 되면서 뿌요뿌요는 2에 이어 전략적으로 큰 진화를 이룬다.

뿌요뿌요 피버 전체 캐릭터의 뿌요 패턴은 '캐릭터'란 참조.

4.3.2. 타입

타입이란 '어떤 상황에 대한 데미지 특화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피버 룰에서는 캐릭터마다 통상/피버 모드일 때, 혹은 연쇄 수에 따라 상대에게 주는 데미지가 다르다. 타입으로 유저는 대략적이나마 캐릭터가 주는 데미지를 짐작할 수 있으며, 이 캐릭터를 어떻게 굴려야 할지, 어떻게 공략해야 할 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어쨌든 대연쇄 타입'과 같이 특정 타입이 우위를 점하면서 밸런스 붕괴에 일조하기도 했고, 반대로 성능이 구려서 안쓰는 캐릭터도 생겨나는 등의 부작용도 있다.[17]

가끔 타입과 캐릭터가 안맞는 경우도 존재한다.

타입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같은 타입에 소속된 캐릭터라도 각 캐릭터마다 차이가 있어 한 캐릭터는 통상에서 좀 더 많은 데미지를 뽑거나, 다른 캐릭터는 피버에 특화되어 있는 등의 차이가 있으니 인터넷 등지에서 데미지 테이블을 한번 찾아보도록 하자.

캐릭터간 타입은 '캐릭터'란 참조.

5. 캐릭터

아르르를 제외한 거의 전원이 새로운 캐릭터이다. 히든 캐릭터도 있으니 스포일러 주의.

===# 히든 캐릭터 #===

6. 게임 모드

6.1. 퍼즐 모드

7. 룰(다함께 뿌요뿌요)

8.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24-09-1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puyo-pop-fever/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puyo-pop-fever/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9. 기타




[1] 모두의 뿌요뿌요가 첫 번째지만 실질적인 제작은 세가로 넘어가기 이전의 컴파일에서 했고, 세가의 대격변이 일어난 것도 피버부터이기 때문에 보통은 피버를 첫 번째 세가작 뿌요뿌요로 친다.[2] 구 컴파일 출신들이 설립한 회사 중 하나로, 개발 협력은 차기작 뿌요뿌요 피버 츄-!까지 했으며, 자체적으로는 주로 슈팅 게임을 개발하였다. 2012년에 대부분의 직원이 퇴사하고 2013년에는 사장이 체포되는 등의 일을 겪으며 사실상 사라진 상태. 다만 해당 회사에서 제작한 슈팅 게임은 다른 회사에서 꾸준히 신작을 개발하고 있다.[3] 트윙클스타 스프라이츠에서도 이 게임 못지 않게 캐릭터 물갈이가 있었지만, 이쪽은 시스템의 큰 변화가 없었기 때문이다.[4] 세가의 마지막 드림캐스트 발매작. 드캐 자체는 슈팅 게임이나 에로게 이식 등으로 명맥을 겨우 유지하다 2007년 카라스가 최종 소프트가 되었다.[5] PowerPC 맥 시절에 나온 게임이라 당연히 현행 인텔 맥에서는 플레이 불가. 스노 레퍼드 까지의 버전을 쓰면 로제타로 돌릴 수 있긴 하다.[6] 여담이지만 이 Mac판은 본인을 스스로 'Mac 전도자'라고 칭했던 씨맨 등의 개발자 사이토 유타카가 Mac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세가에 요청해서 개발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사실상 일본 세가에서 개발한 유일무이한 Mac 게임. 다만 일본 세가가 아닌, 토탈 워 시리즈풋볼 매니저같이, 세가 산하의 서구권 개발사의 게임들은 Mac으로도 발매하고 있다.[7] 여담으로 PS2/XBOX/GC판은 뿌요가 폴리곤으로 표시된다. 다만 평판은 좋지 않았고 폴리곤으로 표시하는 뿌요는 해당 버전들이 처음이자 마지막이 되었고, 이후 뿌요뿌요 e스포츠까지 2D로 표현 중.[8] 2.0 이후 새로 발매된 패키지는 ID가 포함되어 있다.[9] 물론 캐릭터 다루기 어렵다고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다.[10] 강화 보이스의 반복 횟수 (최대 3~4회)에 따라 마무리 주문의 앞글자가 반복해서 출력되는데, 이는 마도물어 시리즈에 있던 요소이다. 마침 본작에서 아르르의 강화 주문이 다이아큐트이기도 하고.[11] 다만, '피버로 역전타입'의 캐릭터들은 오히려 피버 모드에서 강해진다.[12] 주의할 점은 플레이어가 피버 모드인 상태에서 상대방이 상쇄했을 시에는 시간이 추가되지 않는다. 이 점 유의.[13] 예를 들어, 연쇄를 쌓다가 실수로 1연쇄가 났다? 그걸로 땡. 처음부터 다시+2연쇄 다운이란 엄청난 디메리트를 떠안게 된다.[14] 애초에 돌려도 모양이 그대로다(...).[15] 특히 싹쓸이하면서 피버에 들어간 다음 나올 때 거대 뿌요를 들고 나오면 바로 싹쓸이가 한번 더 되어 좋다.[16] 아르르는 제외. 아르르는 컴파일 시리즈와 동일한 2/2/2/2/2/2/2/2/2/2/2/2/2/2/2/2 패턴이다. 덕분에 다루기는 쉽지만 대신 뿌요 물량에서 제일 딸린다.[17] 물론 근성으로 패턴을 익혀 애정 캐릭터를 쓰거나 실력/성능이 구리든지 말든지 꿋꿋히 쓰는 사람들도 존재한다.[18] 아르르는 차기작부터 “자력으로 연쇄타입”으로 연쇄타입이 변경되었다. 사실 통룰의 쯔모를 끌고왔으니 그쪽이 더 옳다.[19] 다만 ‘밸런스 지향 타입?’으로 일단은 공식적으로 물음표가 붙어있다.[20] 13이상의 대연쇄에서 1연쇄 차이를 메꾸거나, 동연쇄라도 방해뿌요를 남겨 승리할 수 있다.[21] 후공으로 가면 상쇄와 동시에 피버로 바뀌기 때문이다.[22] 선공으로 가면 피버 모드에 들어가기 어려워서 공격력이 약해져 상대방을 효과적으로 공격하기 어렵다. 단, 크루크를 상대할때는 최대한 선공해서 피버 모드로 보내야 한다. 크루크의 타입이 '자력으로 대연쇄 타입'이라 피버 모드 때의 공격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23] 원문이 정말 저렇다. 데미지 테이블에 따르면 피버 쪽에 좀 더 특화된 밸런스 타입인 듯하다.[24] 2가지 색의 뿌요를 한번에 없애기, ○○회 이상 연쇄하기 등등.[25] 피버 모드 없음, 왼쪽에서 3번째 줄 막히면 패배, 보라색 뿌요 등장.[26] 카방클은 굿구구 거리니 예외일지도 모른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그런 거 없다. '굿구구-!'하는 말은 '타다타다다'로 바뀌었다(...). 이 목소리 갭이 상당한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