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가정의 달 관련 기념일 | ||||
[clearfix]
1. 개요
매년 5월 셋째 월요일로 한국의 법정기념일이자 19세가 된 신생 성인들을 장려하고 성인으로서의 책임감을 일깨워주는 목적으로 지정된 기념일이다.요일제 기념일이기도 하다.
2. 설명
해마다 19세가 되는 성인[1][2]들을 위한 행사와 성인식 등이 열려지는 편이며 만 18세의 청소년을 기준으로 만 19세 성인으로 격상됨과 동시에 성인이라는 책임감과 자부심을 부여해준다.1973년부터 신생 성인이 되는 만 19세 청소년들의 장려취지를 위해서 대통령령에 따라 국가공인 기념일로 지정되었다. 처음에는 4월 20일이었지만, 1975년부터 어린이날 다음날인 5월 6일로 변경되었다가 1985년부터 5월 셋째 월요일로 변경되었고,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이 때문에 크리스마스가 월요일인 해에는 성년의 날과 스승의 날이 겹치고, 크리스마스가 화요일이면 부부의 날과 겹친다. 크리스마스가 금요일인 해에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에 겹치고 크리스마스가 수, 목, 토, 일요일인 해에는 별다른 기념일과 겹치지 않는다. 정부 수립 이후 1976년을 제외하고는 성년의 날이 단 한 번도 부처님오신날과 겹친 적이 없다.
본래 고려왕조와 조선왕조 때에도 비슷한 의식의 성년례(成年禮)가 있었다. 이를 '관례'라고 한다.[3] 이 때 성인이 된 남자는 댕기머리 대신 상투를 달아주게 되고 여자는 댕기머리 대신 머리에 비녀를 달아주는 의식을 통해서 성인식을 치르는 전통이 있다.
구한말까지는 집 안 어른들을 모시고 성인식을 치르는 의식이 있었으나 현재는 서구문명의 영향으로 서구식 성인식을 대부분 치르는 편이나 국가청소년위원회와 성균관의 주관으로 1999년부터 성년례를 부활하여 전통 성인식을 거행하고 있다. 성균관 외에도 지방 향교나 서원 등에서 이 전통 관례를 시연하기도 한다.
1973년에 성인이 된 1953년생은 성년의 날 행사를 받아 성인식을 거행한 첫 세대이다.
1980년생은 20세기에 성인이 된 마지막 세대이며 1981년생은 21세기에 성인이 된 첫번째 세대라는 타이틀을 얻기도 했다.
2013년에 민법이 개정됨에 따라 그 해 성인들은 1993년생과 1994년생은 함께 성인식을 치렀다.
2020년 당시에 성인이 된 2001년생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1973년(1953년생) 성년의 날 행사 시행 이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성년의 날 행사를 거행하지 않았던 유일한 세대이기도 하다.[4][5], 2002년생, 2003년생, 2004년생
성년의 날에 받는 세 가지 선물로 향수와 장미, 키스가 있다. 성인이 되는 날이기 때문에, 가족이 개방적인 경우에는 피임도구를 주기도 한다.
가정에서는 부모님이 직접 따라주시는 술을 마시는 행사를 하기도 한다.
한국 대학교에서는 어디에서 유래한건지는 몰라도 각지의 캠퍼스 안에 있는 연못/호수에 성인이 되는 사람을 빠뜨리는 악습이 있다.[6] 악습 여부는 둘째치고 물놀이하거나 수영하라고 만든 곳도 아니니 질병에 걸리거나 부상이나 익사할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며 스마트폰 등을 가지고 있었을 수 있기 때문에, 갑자기 사람을 던지면 던진 사람이 배상해야 할 것인 데다가 수영을 못하거나 물 공포증이 있는 사람을 호수에 던지면 역으로 고소미를 먹을 수도 있으니 어쨌든 조심하도록 하자.
한림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총신대학교, 순천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진대학교, 원광대학교, 건국대학교, 한양대학교, 부산대학교, 건양대학교, 상명대학교, 경희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계명대학교, 한밭대학교, 세종대학교, 광운대학교, 경남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등 20개 대학교는 성년의 날이 개교기념일에 겹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월요일에 프로야구 경기가 없다는 특성상 프로야구 경기가 없는 기념일이기도 하다. 일부 백화점이나 면세점들은 매월 첫째, 셋째 주 월요일에 휴무를 하기 때문에 이 날 쉬기도 한다.
이날은 음력으로 하면 거의 3월이나 4월, 또는 윤3월에 온다. 2029년, 2032년, 2043년은 성년의 날이 부처님오신날 대체휴일에 겹치고 2059년은 아예 성년의 날이 부처님오신날에 겹쳐 각 대학들은 성년의 날 행사를 취소하거나 직전 금요일에 당겨서 치르게 된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고물가가 지속되자 경제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성년의 날을 비롯한 5월 가정 관련 기념일들을 다른 달로 옮기자는 주장이 나왔다.# 사실 이전에도 재수생과 반수생, 해외 대학 입시생[7]들을 배려하기 위해 성년의 날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마친 11월이나 12월로 옮기자는 주장이 매우 드물게 나왔는데, 실제로도 재수학원들은 5월이면 한창 수업을 하고 6평을 대비할 때이며 반수생들은 이 때쯤부터 수능 공부를 본격적으로 하기 시작한다. 해외 대학 입시생 (미국, 영국, 중국 등)들은 AP, A-Level 등의 시험을 5월에 많이 치르기도 한다.
성년의 날은 유럽 프로축구 리그에서 우승팀이 확정되는 날이기도 한데, 2024년 성년의 날에는 맨체스터 시티가 4연속 우승을 확정지었다.
3. 외국 사례
사실 성인식이란 게 세는나이로 세는 관습에서 나온 것이라 현대 서양사회에선 보기 힘들다. 자기의 생일에 맞춰서 성인이 되니까. 다만 성인식을 법정 연령에 한정시키지 않고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문화권에 따라 히스패닉 문화권의 퀸세네라나 유대인들의 바르 미츠바 등 현대에도 변용된 형태로나마 많이 볼 수 있다. 사회의 종교, 성 관념, 역사가 큰 영향을 미친다.일본 같은 경우엔 만 나이로 넘어왔음에도 과거의 관습이 일부 남아 1월 둘째 주 월요일에 성인의 날(成人の日)을 챙기고 있다.[8][9] 주로 지방단체에서 관장하며 남자는 정장[10], 여자는 기모노(후리소데)를 입는다. 다만 수험기간이라서[11] 참여율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
결혼식이나 장례식처럼 성인식도 경제적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사회적 문제가 되면서 점차 간소화되거나 사라지는 경우도 많다. 특정 종교에 기반해서 의식이 형성되는 경우 해당 종교기관이 주도하기도 하지만 관공서나 민간에서 진행하는 경우 경제상황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
중국에서도 성년례(成年节)란 말이 있긴 한데 주로 일본과 한국의 성년의 날을 설명하기 위해 쓰이는 표현이다. 문화대혁명의 영향으로 관례란 유교 개념이 사라졌기 때문. 근데 일본의 행사에 자극을 받았는지 지방에 따라 다시 부활시키는 곳도 있다고.
다만 학문적으로 보면 기준을 다르게 잡을 때 입학식, 졸업식 같이 특정 학교가 중심이 되지만 사회구성원의 대다수가 성인시기 즈음에 그 과정을 거친다면 성인식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성년의 날같은 행사가 간소화되다 보면 의식(Ritual)의 조건 중 하나인 절차들도 결국 형식적인 행정절차로만 남게 된다는 것.
성인식을 사회적 관문을 넘는 상징적인 의식으로 보면 고등학교 졸업식, (남성에 한정해서)입대, 취업 등을 축하하는 것도 사회적 관문을 넘은 것을 축하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개인주의가 강해지고 각각 다른 삶의 형태를 인정할 경우 이런 실질적인 과정들이 점점 공식적인 의식을 대체한다는 것이다.
4. 관련 문서
[1] 2013년 7월 1일 민법 개정으로 만 20세에서 만 19세로 성년의 기준 나이가 달라졌다.[2] 2025년 기준 2006년생들을 의미.[3] 관혼상제의 '관'이 이것이다. 나머지는 혼례(결혼식), 상례(장례식), 제례(제사).[4] 2020년 당시에는 5월 18일이 성년의 날이었으며 이날은 공교롭게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40주년을 맞이한 날이었다. 2015년, 2026년 도 5월 18일이 월요일이라 성년의 날이 5.18 민주화운동일이다.[5] 코로나 이전인 2019년에 성인이 된 2000년생까지 성년의 날 행사를 정상 실시하다가 2020년에 일시 중단된 것이다. 현재 2014년(1995년생)부터 남아있으며, 1975년(1955년생) 부터 매년 5월 달에 성인식을 거행했었다. 다만 2001년생은 앞서 말했듯이 코로나-19로 없다. 1995년생, 1996년생, 1997년생, 1998년생, 1999년생, 2000년생[6] 물론 연못이나 호수가 없는 캠퍼스는 이런 악습 같은 거 없다.[7] 다만, 일본은 제외.[8] 그러나 이는 일본 전체가 획일화 된것은 아니고 일부 지역마다 다른 날에 개최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과는 별개로 이 날 자체는 휴일로 지정되어있다.[9] 만 18세가 생일에 따라 갈라지다보니 동년도 기준으로 잡는다. 2025년 기준으로 2006년 4월 2일부터 2007년 4월 1일생까지.[10] 드물게 남자도 기모노를 입는 경우가 있지만, 이런 경우 양키(양아치, 불량배)로 여겨진다. 실제로도 불량학생들이 그러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정장이나 기모노 값이면 거의 신칸센을 여러 번 탈 수 있을 만큼 (도쿄~오사카 구간 신칸센이 15,000엔 정도이다.) 매우 비싸서 일부는 자신의 할아버지나 아버지가 입던 정장을 물려입기도 하고 (형이 있다면 형이 입던 것을 물려입기도 한다.), 여자는 할머니나 어머니가 입던 기모노를 물려입기도 한다. (언니가 있다면 언니가 입던 것을 물려입기도 한다.)[11] 센터시험 직전이다. 때문에 2022년 이후로 일본에서는 성인이 되는 연령이 만 20세에서 만 18세로 하향되었으나 성인식은 계속 만 20세에 진행하겠다는 지자체도 있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