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e8402d><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소방공무원 | |||||||
소방준감 | 소방감 | 소방정감 | 소방총감 | |||||
소방위 | 소방경 | 소방령 | 소방정 | |||||
소방사시보 | 소방사 | 소방교 | 소방장 | |||||
의무소방대(폐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방 | 일방 | 상방 | 수방 | 특방 |
※ 둘러보기: 군사계급 · 경찰계급 · 소방계급 · 교정계급 · 철도경찰계급 · 출입국관리계급 |
계급장 |
消防警 / Fire Captain[1]
1. 개요
소방관의 계급으로 간부에 속한다. 소방위 보다 높고 소방령보다 낮다. 일반직 공무원의 6급(갑)[2]에 상당하며 중앙부처의 보직상 국군의 소령와 같은 6급 주무관에 보임된다. 경찰공무원의 경감, 교정직 공무원의 교감에 대응하는 계급으로 볼 수 있다. 이 계급부터 정모 및 근무모 챙에 잎장식이 붙는다. 잎은 총 14개.(좌우 잎 7개씩)2. 보직
전국에 약 4500명의 소방경이 있고 대부분 각 지역 소방본부에 소속된다. 본부의 조정관, 산하 소방서의 계장이나 팀장, 119안전센터의 센터장, 구조대장, 구급대장, 소방정대장, 현장지휘팀장 등의 보직을 받는다. 인원수가 많아짐에 따라 센터장을 못하고 일선 안전센터 팀장을 맡는 경우까지 나타나고 있다. 100톤급 이상 소방정을 운용하는 일선 소방서 소속 소방정대[3]에서 소방정장을 맡는다. 이들은 2020년 3월 31일까지 지방직 공무원이었다가 이후 국가직 공무원으로 일괄 전환되었다.대한민국 소방청, 중앙소방학교, 중앙119구조본부 등 중앙부처(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 소방 비서)에 소속된 소방경은 전국에 91명이 있다.
2015년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시.도별 본부에 소속된 소방특별사법경찰관에 채용되는 사법시험, 로스쿨 출신 변호사가 이 계급으로 채용된다.(각 시.도별 3~10명 이내로 구성되며 소방법에 한하여 수사권이 있다.)
소방사로 시작해 진급한 소방관은 보통 소방위에서 퇴직하나 최근 개정된 근속승진안에 따라 소방사 출신의 장기근속자(30년 이상)의 경우 소방경으로 퇴직할 길이 열렸다.
소방경부터 정모 및 근무모의 차양에 장식이 추가된다
3. 외국
- 중국 국가종합성 소방구원대오 1~2급지휘원([ruby(指挥员, ruby=zhǐhuīyuán)])이 존재하며, 소방대대 및 소방중대 지휘를 담당한다.
- 일본 소방공무원 계급으로는 소방사령([ruby(消防司令, ruby=しょうぼうしれい)])이다.[4]
- 미국 뉴욕 소방 계급은 Captain /EMS Captain이다. 미군 대위 계급장을 사용한다.
[1] 대한민국 소방공무원법 영문법령 기준[2] 6급 3년차 이상[3] 소방정대는 2014년 현재 부산항만소방서(부산705, 부산706), 여수소방서(전남705), 마산소방서(경남704), 통영소방서(경남706), 인천중부소방서(인천703)에만 존재하고 있다. 한편 당진소방서와 평택소방서에서도 서로 소방정대를 창설하려고 시도 중이다. 두 곳 관할구역이 근처라 둘 다 만들어지면 관할권 다툼이 생길 여지가 있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