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전투 | 교전국 | |
<colbgcolor=#F2A800>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 | ||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1918 ~ 1920, | | ||
아르메니아-조지아 전쟁 ,1918, | | ||
튀르키예 독립전쟁 ,1919~1921, | | ||
소비에트-아르메니아 전쟁 ,1920~1921, | | ||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1988 ~ 1994, | | ||
2016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충돌 ,2016.4.1 ~ 2016.4.5, | | ||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2020, | | ||
2022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국경분쟁 ,2022, | | ||
2022년 아르차흐 봉쇄 ,2022, | | }}}}}}}}} |
소비에트-아르메니아 전쟁 Cоветско-армянская война Խորհրդային-Հայաստան պատերազմ Soviet-Armenian War | ||
러시아 내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튀르키예 독립 전쟁 의 일부 | ||
| ||
기간 | ||
1920년 9월 24일 ~ 1921년 11월 29일 | ||
장소 | ||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일대 | ||
교전국 | ||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산악 아르메니아 공화국| ]](1921) | ]][[틀:깃발|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1920)[[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 ]][[틀:깃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틀:깃발| | ]][[틀:깃발| ]][[틀:깃발| ]]
지휘관 | ||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알레크산드르 하티샨| ]] [[틀:깃발| ]][[틀:깃발| ]][[가레긴 느주데흐| ]] | ]][[틀:깃발| ]][[사이먼 브라치안|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미하일 레반도프스키 [[틀:깃발| ]][[틀:깃발| ]][[미하일 예프레모프| ]] | ]][[틀:깃발| ]][[미하일 투하쳅스키| ]][[틀:깃발|카짐 카라베키르 | ]][[틀:깃발| ]][[틀:깃발| ]]
병력 | ||
3만~3만 6천여 명 | 5만여 명 | 5만여 명 |
결과 | ||
볼셰비키의 승리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멸망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 |
[clearfix]
1. 개요
과거 러시아 제국의 영토였던 아르메니아를 재수복하기 위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을 주축으로 군사 작전.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이 이미 전선을 맞대고 있던 튀르키예 독립 전쟁,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과 함께 일어났다. 전쟁 도중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은 멸망하였으며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이후 1921년 11월까지 산악 아르메니아 공화국의 건국과 저항으로 전쟁이 지속되었다.2. 배경
세브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분할되고 신생 독립국 아르메니아 또한 서아르메니아 영토를 획득하며 오스만 제국 침공에 동참하였다. 하지만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등장으로 튀르키예 새 정부가 수립되며 영토 보전을 위한 전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이때 캅카스 영토 회복에 관한 케말과 블라디미르 레닌의 생각은 완전히 일치했으며 이후 이들은 함께 아르메니아를 분할하게 된다.1920년 5월 10일 규므리에서는 볼셰비키에 의한 봉기가 일어났다.# 이는 아르메니아 국민들의 호응을 받지 못하며 실패하였지만 몇 개월 후 소련군의 아르메니아 침공을 위한 발단이 된다. 또한 며칠 후 5월 24일 소련군은 아르메니아와 분쟁 중이던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을 점령하여 아르메니아와 직접적인 국경을 가지게 된다.
아르메니아 침공을 위한 튀르키예의 협조를 얻기 위해 소비에트 러시아는 튀르키예와의 접촉을 시도했다. 1920년 9월 8일 러시아는 620kg 가량의 금을 튀르키예에 보냈으며 이 중 200kg은 튀르키예 동부군에 부쳐졌다. 나머지 금은 케말에게 보내졌으며 이는 주로 공무원과 군 장교의 급여를 지불하는 데 사용되었다. 1920년 9월 말 러시아는 4만여 개의 소총, 14만여 개의 포탄을 비롯한 군사 물자들을 튀르키예에 공급했다. 러시아가 물자를 공급하는 과정은 흑해 사이로 이루어졌으며 삼순, 트라브존, 이네볼루 등의 해안 도시들까지 보내졌다. 이러한 러시아의 구애는 케말의 군대에 많은 도움이 되었고 쉽게 튀르키예의 협조를 받아냈다.
1920년 9월 1일부터 7일까지 바쿠에서 러시아와 튀르키예 간 합동 침략을 위한 동방인민회의를 치르며 두 국가 간의 아르메니아 침공 준비를 끝마쳤다. 이 회의에선 엔베르 파샤, 바하딘 샤키르, 할릴 쿠트 파샤를 비롯한 아르메니아인 대학살의 전쟁 범죄자들이 참여하였고 아르메니아 볼셰비키, 케말주의자, 체카 등의 여러 사상가들이 동참했다. 이때부터 이미 국경에서는 국지전 수준의 충돌이 발생하였다.
3. 전개
1920년 9월 24일 러시아의 지원을 뒷배로 한 튀르키예군이 서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아르메니아는 튀르키예 독립 전쟁에 휘말린다. 러시아 또한 9월부터 선전포고 없이 아르메니아에 공세를 가하고 있었다. 아르메니아는 튀르키예와의 카르스, 수르말루, 나흐츠반 전선, 러시아와의 간자, 바르데니스 전선을 포함한 5개 이상의 전선을 맞대고 있었으며 아르메니아한테는 매우 힘겨운 싸움이었다. 소련군과 튀르키예군은 아르메니아군 보다 수적으로 2배 이상 많았고 훨씬 발전된 군사 물품들을 가지고 있기에 아르메니아의 패배는 이미 시작부터 예정돼 있었다.
두 국가의 기습 공격으로 아르메니아군은 여러 전선에서 빠르게 밀리기 시작했다. 9월 29일 사리가미시와 카그즈반이 함락되었고 내부에서는 아르메니아 볼셰비키 파르티잔들이 군대를 교란 시켰다. 10월 14일 아르메니아군은 셀림 지방으로 반격을 시도했으나 튀르키예-러시아 연합군에 곧바로 진압됐고 군사들의 사기는 급격히 떨어졌다.
10일 후 10월 24일, 수르말루 전선에서 크게 패배한 아르메니아군은 6일 뒤인 30일 튀르키예군에게 카르스를 함락당한다. 그리고 12월 러시아군이 예레반에 입성하며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은 멸망하게 된다.
4. 이후
1920년 12월 2일 아르메니아는 항복하였고 아르메니아와 러시아 간의 조약이 체결되었다.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이 위치하던 지역에는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아르메니아군 장교들과 정치인은 책임이 면제되었다. 임시 집행위원회는 볼셰비키 5명과 좌익 다슈나크당 2명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 조약 대부분의 내용들은 위반되었고 이는 추후 2월 봉기의 원인이 된다.가레긴 느주데흐를 비롯한 몇몇 아르메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슈니크 지역에서 산악 아르메니아 공화국을 건립하였고 중앙 정부에 저항하였으나 5개월만에 진압되었다. 멸망 이후 가레긴 느주데흐는 아르메니아 독립 활동을 지속하다가 러시아 블라디미르 감옥에 수감되어 사망한다.
|
이 사건을 풍자한 폴란드볼 만평[1] |
소련군의 아르메니아 점령 이후 소련군은 북쪽의 조지아를 점령하였다.
[1] 독소 폴란드 점령을 준비하는 동안 독일이 계획을 지킬 수 있냐 묻는데 이 때 소련이 19년전 이미 해봤다고 답하는 내용이다. 소련과 튀르키예 사이 땀을 흘리고 있는 공은 조지아 민주 공화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