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20:24:28

쉐도우 라비린스

파일:팩맨 시리즈 로고.svg
팩맨 시리즈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직계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케이드 및 PC
<colcolor=#0f0f0f,#ddd> 팩맨(1980) <colcolor=#0f0f0f,#ddd> 슈퍼 팩맨(1982) <colcolor=#0f0f0f,#ddd> 팩 & 팔(1983)
팩 랜드(1994) 팩 매니아(1987) 팩맨: 어드벤처 인 타임(2000)
팩맨 챔피언쉽 에디션(2007) 팩맨 챔피언쉽 에디션 DX(2010) 팩맨 배틀로얄(2011)
팩맨 챔피언쉽 에디션 2(2016) 팩맨 배틀로얄 챔피언쉽(2022)
콘솔
팩 어택(1993) 헬로! 팩맨(1994) 팩 인 타임(1995)
팩맨 월드 20th Anniversary(1999) 미즈 팩맨 메이즈 매드니스(2000) 팩맨 월드 2(2002)
팩맨 피버(2002) 팩맨 vs.(2003) 팩맨 월드 3(2005)
팩맨 핀볼 어드밴스(2005) 팩픽스(2005/국내 출시 2007) 팩큰볼(2005/국내 출시 2007)
팩맨 파티(2010)
팩맨 파티 3D
Pac-Man and the Ghostly Adventures(2013) Pac-Man and the Ghostly Adventures 2(2014)
PAC-MAN 99(2021) 팩맨 월드 Re-PAC(2022) PAC-MAN Mega Tunnel Battle: CHOMP CHAMPS(2024)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미드웨이 제작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f0f0f,#ddd> 미즈 팩맨(1981) <colcolor=#0f0f0f,#ddd> 팩맨 플러스(1982) <colcolor=#0f0f0f,#ddd> 베이비 팩맨(1982)
주니어 팩맨(1983) 팩맨 교수(1983)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기타 작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f0f0f,#ddd> 팩맨(2013) <colcolor=#0f0f0f,#ddd> 팩맨 256(2015) <colcolor=#0f0f0f,#ddd> 팩큰점프
팩맨 포토 슈퍼 팩맨 디럭스 팩맨 SP
팩맨 핀볼 팩맨 핀볼 2 팩맨 파티 로얄
팩맨 팝! 팩 챱! 팩 체인
팩맨 파티 메치 세상에서 가장 큰 팩맨 세계 최대 규모의 팩맨
팩맨 커뮤니티 팩맨 컬렉션 팩맨 뮤지엄
팩맨 뮤지엄+ 쉐도우 라비린스(2025)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개발 취소 및 서비스 종료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f0f0f,#ddd> 팩맨 고스트 존 <colcolor=#0f0f0f,#ddd> 미즈 팩맨 머지 매드니스 2 <colcolor=#0f0f0f,#ddd> 슈퍼 팩맨 핀볼
팩맨 리믹스 팩맨 월드 팩맨 대시!
팩맨 GEO 팩맨 프렌즈 팩맨 몬스터즈
팩맨 카트 랠리 팩맨 바운스 팩맨 S
팩맨 메가 터널 배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애니메이션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f0f0f,#ddd> 팩맨(1982~1983) <colcolor=#0f0f0f,#ddd> 팩맨과 유령의 모험(2013~2015) <colcolor=#0f0f0f,#ddd> 시크릿 레벨 에피소드 6 - 팩맨: 순환(쉐도우 라비린스 프리퀄)
}}}}}}}}} ||
등장인물 · 크로스오버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
* 개별 문서가 없는 작품들은 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쉐도우 라비린스
SHADOW LABYRINTH
シャドウラビリンス
파일:쉐도우_라비린스_타이틀포함이미지.png
<colbgcolor=black><colcolor=#FFFFFF> 개발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유통
프로듀서 아이자와 세이고[1], 하라다 카츠히로[2]
플랫폼 PS5 | XSX|S | NS | Windows
ESD PlayStation Network | Microsoft Store | 닌텐도 e숍 | Steam
장르 탐색형 2D 액션
발매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7월 17일
파일:스팀 아이콘.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7월 18일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 15세 이용가
링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상점 페이지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 파일:Microsoft Store 라이트 테마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항3. 공개 전 정보
3.1. 2025년
4. 트레일러5. 스토리6. 등장인물
6.1. 주인공 일행6.2. 기타 등장인물
7. 평가8. 기타9. 관련 작품

1. 개요

闇を喰らえ[3]
어둠을 집어 삼켜라
CONSUME DARKNESS
적을 집어삼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라
敵を喰らい、 己の運命を切り開け。
진정한 목표를 받아들이고 최상위 포식자가 되어라
Embrace your true purpose, become the apex predator
2025년 7월 17에 발매 예정인 팩맨 시리즈의 45주년 기념작이자 2014년 발매된 진군 디스트로~이! GIRL'S TANK BATTALION 이후 11년 만에 나온 UGSF 세계관의 최신작.

공식 약칭은 '샤도라비(シャドラビ)'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bgcolor=#000><colcolor=#Fff> 운영체제 Windows 10 / 11 64-bit
프로세서 Intel Core i3-3225
AMD A6-7400K
Intel Core i7-4770K
AMD Ryzen 3 3100
메모리 4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750 Ti
AMD Radeon R9 270X
Intel Arc A580
NVIDIA GeForce GTX 1660 Super
AMD Radeon RX Vega 64
Intel Arc A750
API DirectX 11, 12
저장 공간 5 GB
추가 사항 ※ 추정 성능 : 1080p / 60fps
※ 그래픽 집약적인 장면에서
프레임 드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DirectX 12 API를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가 필요합니다.

3. 공개 전 정보

===# 2024년 #===

3.1. 2025년

4. 트레일러

발매 안내 트레일러
발매일 발표 트레일러
영어판(더빙)
닌텐도 다이렉트

5. 스토리

3210년 오퍼레이션 라그나로크로 종결을 맞이한 신우주 질서전쟁. 이에 병행하여 은하계 최전선 행성에서 '오퍼레이션 샤이언'이 열리는 것도 실패. 3300년, 같은 행성에서 후속 작전인 '오퍼레이션 팬처' 가 행해지는 것도 실패한다. 그리고 3333년, PAC형 서포트 드로이드 형태의 'PUCK' 와, DWD에 의해 이 세계에 불려진 '검사'가, 이 세계의 그림자를 폭로한다.
UGSF 홈페이지
과거 전쟁의 유물이 남아있는 황폐한 행성으로 수수께끼의 노란색 구체 -PUCK-에 의해 8번째 적합자로 소환된 주인공은 가혹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적을 집어삼키며 자신의 운명을 개척한다.

수수께끼의 노란색 구체 -PUCK-에 이끌려 저 멀리 서 있는 거대한 탑으로 향하게 된다. PUCK의 진정한 목적은 무엇이며, 무엇을 위해 싸우고 있는 것일까? 이 세계의 수수께끼를 풀어야 한다.
반다이 남코 공식 기사

6. 등장인물

6.1. 주인공 일행

파일:쉐도우_라비린스-검사.webp
파일:쉐도우_라비린스-PUCK.webp

6.2. 기타 등장인물

7. 평가

8. 기타

9. 관련 작품



[1] 팩맨 99와 팩맨 커뮤니티 개발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2] 팩맨 챔피언쉽 에디션 개발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3] 포식자가 되어라[4] 발매 안내 트레일러에서도 로고의 팩맨은 글자를 갉아먹으며 등장한다.[5] 사실 팩맨 시리즈의 몇몇 작품들은 자사 IP, 특히 디그 더그갤러그의 오마주가 잔뜩 들어가있는데 이 정도로 언급한 것을 보면 갤러그와 디그더그의 수준에서 벗어난 다른 작들의 오마주들이 잔뜩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고 했으나 이는 사실 본작이 UGSF 세계관의 작품이란 것을 돌려 말한 것이였다.[6] 이러한 디자인은 의도적으로 중성적인 모습을 노린 듯 하다.[7] 시크릿 레벨에서는 코와 귀 그리고 체모가 없는 인간처럼 묘사된다.[8] 본래 PUCK MAN은 일본에서 고안한 팩맨의 초기 이름이였다. 영미권에서 욕설로 들릴 여지가 있어 폐기된 이름이지만 게임의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해당 명칭도 레퍼런스를 겸하며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반론] 팩맨 시리즈는 2025년을 기준으로 45주년이 되는 역사 깊고도 오래된 시리즈이다. 항상 밝은 전체 이용가 분위기를 유지할 순 없으며 가끔 한번이라도 변화를 주어야 오래도록 관심을 끌고 새로운 팬도 유입 시킬 수 있다(따지고 들면 대호평을 받은 팩맨 CE 시점 부터 팩맨 시리즈는 근본을 잃은 것이 된다). 또한 이제 게임 시장은 쏘고 파괴하는 게임들이 업계들을 주무르던 시절은 이미 지나간지 오래이고, 밝은 분위기의 캐주얼 게임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다른 장르를 시도 해도 크게 문제 없다.
팩맨 시리즈는 아직 종결되지 않았고, 본작 같은 아이디어는 일회성으로 쓰일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 않으면 정말 근본을 잃은 것이 되고 상당수의 팬들이 떠나갈테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