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맨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직계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케이드 및 PC | |||
<colcolor=#0f0f0f,#ddd> 팩맨(1980) | <colcolor=#0f0f0f,#ddd> 슈퍼 팩맨(1982) | <colcolor=#0f0f0f,#ddd> 팩 & 팔(1983) | |||
팩 랜드(1994) | 팩 매니아(1987) | 팩맨: 어드벤처 인 타임(2000) | |||
팩맨 챔피언쉽 에디션(2007) | 팩맨 챔피언쉽 에디션 DX(2010) | 팩맨 배틀로얄(2011) | |||
팩맨 챔피언쉽 에디션 2(2016) | 팩맨 배틀로얄 챔피언쉽(2022) | ||||
콘솔 | |||||
팩 어택(1993) | 헬로! 팩맨(1994) | 팩 인 타임(1995) | |||
팩맨 월드 20th Anniversary(1999) | 미즈 팩맨 메이즈 매드니스(2000) | 팩맨 월드 2(2002) | |||
팩맨 피버(2002) | 팩맨 vs.(2003) | 팩맨 월드 3(2005) | |||
팩맨 핀볼 어드밴스(2005) | 팩픽스(2005/국내 출시 2007) | 팩큰볼(2005/국내 출시 2007) | |||
팩맨 파티(2010) 팩맨 파티 3D | Pac-Man and the Ghostly Adventures(2013) | Pac-Man and the Ghostly Adventures 2(2014) | |||
PAC-MAN 99(2021) | 팩맨 월드 Re-PAC(2022) | PAC-MAN Mega Tunnel Battle: CHOMP CHAMPS(2024)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미드웨이 제작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f0f0f,#ddd> 미즈 팩맨(1981) | <colcolor=#0f0f0f,#ddd> 팩맨 플러스(1982) | <colcolor=#0f0f0f,#ddd> 베이비 팩맨(1982) |
주니어 팩맨(1983) | 팩맨 교수(198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기타 작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f0f0f,#ddd> 팩맨(2013) | <colcolor=#0f0f0f,#ddd> 팩맨 256(2015) | <colcolor=#0f0f0f,#ddd> 팩큰점프 |
팩맨 포토 | 슈퍼 팩맨 디럭스 | 팩맨 SP | |
팩맨 핀볼 | 팩맨 핀볼 2 | 팩맨 파티 로얄 | |
팩맨 팝! | 팩 챱! | 팩 체인 | |
팩맨 파티 메치 | 세상에서 가장 큰 팩맨 | 세계 최대 규모의 팩맨 | |
팩맨 커뮤니티 | 팩맨 컬렉션 | 팩맨 뮤지엄 | |
팩맨 뮤지엄+ | 쉐도우 라비린스(2025)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개발 취소 및 서비스 종료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f0f0f,#ddd> 팩맨 고스트 존 | <colcolor=#0f0f0f,#ddd> 미즈 팩맨 머지 매드니스 2 | <colcolor=#0f0f0f,#ddd> 슈퍼 팩맨 핀볼 |
팩맨 리믹스 | 팩맨 월드 | 팩맨 대시! | |
팩맨 GEO | 팩맨 프렌즈 | 팩맨 몬스터즈 | |
팩맨 카트 랠리 | 팩맨 바운스 | 팩맨 S | |
팩맨 메가 터널 배틀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애니메이션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f0f0f,#ddd> 팩맨(1982~1983) | <colcolor=#0f0f0f,#ddd> 팩맨과 유령의 모험(2013~2015) | <colcolor=#0f0f0f,#ddd> 시크릿 레벨 에피소드 6 - 팩맨: 순환(쉐도우 라비린스 프리퀄) |
등장인물 · 크로스오버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 개별 문서가 없는 작품들은 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쉐도우 라비린스 SHADOW LABYRINTH シャドウラビリンス | |
| |
<colbgcolor=black><colcolor=#FFFFFF> 개발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유통 | |
프로듀서 | 아이자와 세이고[1], 하라다 카츠히로[2] |
플랫폼 | PS5 | XSX|S | NS | Windows |
ESD | PlayStation Network | Microsoft Store | 닌텐도 e숍 | Steam |
장르 | 탐색형 2D 액션 |
발매일 |
2025년 7월 17일
2025년 7월 18일 |
한국어 지원 | 자막 지원 |
심의 등급 | |
링크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적을 집어삼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라
敵を喰らい、 己の運命を切り開け。
진정한 목표를 받아들이고 최상위 포식자가 되어라
Embrace your true purpose, become the apex predator
2025년 7월 17에 발매 예정인 팩맨 시리즈의 45주년 기념작이자 2014년 발매된 진군 디스트로~이! GIRL'S TANK BATTALION 이후 11년 만에 나온 UGSF 세계관의 최신작.敵を喰らい、 己の運命を切り開け。
진정한 목표를 받아들이고 최상위 포식자가 되어라
Embrace your true purpose, become the apex predator
공식 약칭은 '샤도라비(シャドラビ)'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colbgcolor=#000><colcolor=#Fff> 운영체제 | Windows 10 / 11 64-bit | |
프로세서 | Intel Core i3-3225 AMD A6-7400K | Intel Core i7-4770K AMD Ryzen 3 3100 |
메모리 | 4 GB RAM |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750 Ti AMD Radeon R9 270X Intel Arc A580 | NVIDIA GeForce GTX 1660 Super AMD Radeon RX Vega 64 Intel Arc A750 |
API | DirectX 11, 12 | |
저장 공간 | 5 GB | |
추가 사항 | ※ 추정 성능 : 1080p / 60fps | |
※ 그래픽 집약적인 장면에서 프레임 드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 DirectX 12 API를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가 필요합니다. |
3. 공개 전 정보
===# 2024년 #===- 12월 5일
- 팩맨 공식 유튜브 계정에서 시크릿 레벨의 에피소드이자 본작의 홍보 영상인 '팩맨: 순환'의 티저가 올라왔다.
- 12월 12일
- 팩맨 북미 공식 SNS에서 더 게임 어워드 2024에 '시크릿(Secret)'이 공개될 것이라 예고했다. X
- 12월 13일
- 더 게임 어워드 2024에서 본작의 아나운스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 트위터 계정과 홈페이지가 개설되었다.
- 패미통 등 여러 웹진을 통해 프로듀서인 아이자와 세이고와 브랜드 마케팅 매니저 크노아 피아섹의 본작에 대한 인터뷰가 공개되었다. 페미통, Rollingstone, Digitalrends
- 본작은 시리즈의 45주년 기념작이다.
- 본작의 아이디어는 인터뷰 시점으로 부터 4년전 브레인스토밍을 하던 시절에 고안되었다.
- 장르가 탐색형 2D 액션이 된 이유는 여러 가지 아이디어 중 미로에 주목한 결과이다. 또한 장르에 맞게 다크한 팩맨을 보여주고 싶었다 한다.
- DLC는 계획에 없다는 입장이다.
- 본작의 컨셉이 모두가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라 인정하나, 팀 내에서는 45주년에 걸맞은 컨셉이라 생각한다고 한다.
- 키 비주얼은 컨셉 아티스트인 코다 카즈마가 그린 것이다. 또한 본작의 스테이지 일부가 키 비주얼에 그려져 있다고 한다.
- PUCK의 목적과 '여덟 번째 검사' 키워드는 본작의 스토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 본작의 무대는 과거 전쟁의 유물이 남아있는 황폐한 행성이다. PUCK가 검사를 인솔해 여러 적들과 싸우게 하고, 검사 자신도 가혹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적을 집어삼키면서 운명을 개척해 나간다는 것이 본작의 스토리이다.
- '팩맨: 순환'에서 등장한 적 일부가 본작에도 등장한다.
- 고스트 갱의 출연 여부는 입장을 표할 수 없다는 의견이다.
- 다른 IP의 캐릭터도도 일부 오마주되어 등장한다.(예시로 발매 안내 트레일러 중 디그 더그의 '푸카', '파이가'와 비슷한 적이 등장 함)
- 조작은 테크니컬한 스타일일 것이며 진행 도중 PUCK을 조작해 나아가는 구간도 존재한다. 또한 몇몇 적들의 공격은 PUCK 형태로만 회피할 수 있다.
- 시리즈의 상징물인 쿠키, 과일, 워프 터널 등의 등장 여부에 대해선 입장표명을 할 수 없지만, 파워 쿠키와 같은 역전 요소가 준비되어 있다고 한다.
- 난이도는 고난도를 좋아하는 유저 들을 타깃으로 하고 있으나, 액션이 서투른 유저 들도 안심하고 플레이 할 수 있는 팔로우(フォロー)요소 등 누구나 클리어 할 수 있는 게임 밸런스를 목표로 개발중이다.
- 인터뷰 당시 기준으로 예상 볼륨은 30시간 정도이다.
- 본작에 타이틀에 '팩맨'을 표기하자/하지 말자로 논쟁이 있었으나 결과적으로는 표기하지 않도록 결정되었다. "팩맨은 역사적으로 가족 게임이였으며, 우리는 이 게임을 다른 방식으로 브랜드화 하고 싶었다"는 게 그 이유. 대신에 '팩맨'을 느끼게 하는 요소로써 '라비린스'를 채용했다.
- 본래 팩맨은 게임을 시작할 때 왼쪽을 향하는 것이 법칙이지만, 본작에선 오른쪽으로 향하게 했다. 이것에는 지금까지 '도망치는 측'이었던 팩맨이 본작에선 '먹는 측'으로 되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4]
- 본작의 발매는 본격적으로 시리즈가 45주년이 되는 시점인 2025년이라고 한다.
- 12월 18일
- 디스이즈게임에서 프로듀서 아이자와 세이고와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 아래는 중요 내용들이다.
- 시크릿 레벨의 '팩맨: 순환'을 보지 않아도 스토리 이해의 지장은 전혀 없다.
- 과거작의 보스들과 팔 다리 달린 팩맨은 분위기가 분위기다보니 등장하지 않을 것 같다고 한다.
- 장르가 장르이다 보니 여러 다른 IP의 오마주가 가능했다고 한다.[5]
- 본작은 사실 45주년 기념작을 염두에 두고 개발한 작품이 아니다. 하지만 어쩌다보니 시기가 딱 맞아 떨어져서 기념작으로 결정하게 되었다고. 45주년을 기념하는 요소는 별로 없지만 원작을 추억할 수 있는 요소들은 가득 준비해 놓았다고 한다.
3.1. 2025년
- 1월 10일
- 공식 X 계정에서 인게임 컷신으로 보이는 연출과 짤막한 게임플레이 영상이 업로드 되었다. #
- 1월 17일
- 공식 X 계정에서 짧은 잡몹과의 전투 영상이 업로드 되었다. # 적을 피격할 시 유혈 효과가 나오므로써 본작의 심의 등급은 높게 측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 1월 24일
- 공식 X계정에서 닭 형상의 보스와의 짧은 전투 영상이 업로드 되었다. # 해당 보스는 발매 안내 트레일러에서도 모습을 비춘 바 있다.
- 1월 31일
- 공식 X 계정에서 사자 형상의 보스와의 짧은 전투 영상이 업로드 되었다. # 해당 보스는 발매 안내 트레일러에서도 모습을 비춘 바 있다.
- 2월 7일
- 공식 X 계정에서 사막 스테이지와 PUCK의 게임 플레이 영상이 업로드 되었다. #
- 2월 14일
- 공식 X 계정에서 벚꽃 숲 스테이지와 보스의 게임 플레이 영상이 업로드 되었다. #
- 2월 21일
- 공식 X 계정에서 용암 스테이지와 보스의 게임 플레이 영상이 업로드 되었다. # 해당 플레이 영상으로 몇몇 보스전은 PUCK과 융합한 형태에서 진행 됨을 알 수 있다.
- 2월 28일
- 3월 27일
4. 트레일러
발매 안내 트레일러 |
발매일 발표 트레일러 영어판(더빙) |
닌텐도 다이렉트 |
5. 스토리
3210년 오퍼레이션 라그나로크로 종결을 맞이한 신우주 질서전쟁. 이에 병행하여 은하계 최전선 행성에서 '오퍼레이션 샤이언'이 열리는 것도 실패. 3300년, 같은 행성에서 후속 작전인 '오퍼레이션 팬처' 가 행해지는 것도 실패한다. 그리고 3333년, PAC형 서포트 드로이드 형태의 'PUCK' 와, DWD에 의해 이 세계에 불려진 '검사'가, 이 세계의 그림자를 폭로한다.
UGSF 홈페이지
UGSF 홈페이지
과거 전쟁의 유물이 남아있는 황폐한 행성으로 수수께끼의 노란색 구체 -PUCK-에 의해 8번째 적합자로 소환된 주인공은 가혹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적을 집어삼키며 자신의 운명을 개척한다.
수수께끼의 노란색 구체 -PUCK-에 이끌려 저 멀리 서 있는 거대한 탑으로 향하게 된다. PUCK의 진정한 목적은 무엇이며, 무엇을 위해 싸우고 있는 것일까? 이 세계의 수수께끼를 풀어야 한다.
반다이 남코 공식 기사
수수께끼의 노란색 구체 -PUCK-에 이끌려 저 멀리 서 있는 거대한 탑으로 향하게 된다. PUCK의 진정한 목적은 무엇이며, 무엇을 위해 싸우고 있는 것일까? 이 세계의 수수께끼를 풀어야 한다.
반다이 남코 공식 기사
6. 등장인물
6.1. 주인공 일행
- 검사(Swordsman No. 8/剣士)
본작의 주인공. 어느 날 갑자기 낯선 세계로 소환되어 그 자리에 있던 PUCK이라는 존재와 함께 행동하게 된다. 혼만 소환되었기 때문에 원래의 기억과 육체가 없다. (적어도 인게임에서 보게 될 모습은) 호리호리한 다리에다가 줄무늬 스타킹같은걸 입은지라 얼핏 여성처럼 보이지만,[6] 시크릿 레벨에서 공개된 모습으로는 남성이며, 인간형이지만 인간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7]
- PUCK[8]자네는 선택된 자다....그리고 우린 해야 할 일이 있다네, 8호.You have been chosen....And we work to do, Number Eight.적들을 단순히 무찌르는데 그치지 마라. 집어 삼켜버려.Don't just defeat enemies. Consume them.
본작의 서포터이자 주인공을 이 세계로 끌어들인 장본인. 무언가를 연상시키는 작은 노란색 구체 모양의 Funk-Bot이다. 무언가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플레이어를 움직여 그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것 같다. 검사와 융합 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발사하거나 'GAIA'라는 메카로 변신하는 등 다재다능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목소리는 생긴 것과는 다르게 여성.
여담으로 공식 해시태그가 #whatthepuck다(...).
6.2. 기타 등장인물
- 고스트 갱
- 클라이드
- 보스코니안
- 제 1차 공격 '오퍼레이션 라그나로크' 생존자
- 정체 불명 소녀넌 이 세계의 질서를 어지럽히는 존재야. 당장 그 감옥으로 돌아가야해.
주인공 일행의 앞을 가로막는 정채불명의 소녀.
7. 평가
8. 기타
- 팩맨 시리즈중 비쥬얼 및 분위기가 상당히 어둡고 시리어스한 작품이며, 비슷한 분위기의 팩맨 월드 3이 비쥬얼적으로는 어둡지만 밝은 모험물 느낌을 유지한 것에 비해 이 작품은 스토리 분위기도 어두운 느낌이다.
- 밝고 귀여운 전체이용가 IP를 극단적으로 다크하게 비틀었다는 점에서 봄버맨 Act Zero가 연상된다는 반응도 있다.
- 현 시점에서 팬들의 반응은 호불호가 오가고 있으며 팩맨 월드 2의 리메이크를 바라던 팬들은 실망하는 추세이고, 또한 팩맨 시리즈의 원래 의도였던 '미사일을 쏘고 파괴하는 자극적인 게임이 아닌, 남녀노소를 위한 가벼운 게임'이란 초심을 잃었냐며 비판하는 의견도 존재한다.[반론] 긍정하는 측으로는 새로운 어두운 해석이 마음에 들다던가, 메트로배니아를 즐겨하는 사람이나, 어찌됬든 시리즈가 살아 있음을 느끼고, 재대로 된 신작이 나와서 기쁘다는 의견들이 있다. 일단 현 상황에선 긍정적인 의견들이 좀 더 많은 편.
이후 해당 작품이 UGSF의 세계관임이 밝혀지면서 부정적인 여론이 반전되는 추새이다.
- 2024년 12월 10일 경에 아마존 프라임의 시크릿 레벨의 팩맨 편이 공개되었는데, 해당 영상 작품은 팩맨이 연상되지 않을 정도의 기괴하고 암울한 재해석 작품이라 호불호가 많이 갈리고 (시크릿 레벨 제작진이)'이렇게까지 재해석 할 필요가 있었나?'라는 평을 들었으나 바로 며칠 뒤 TGA 2024에서 쉐도우 라비린스가 공개되면서 사실은 본 게임에 대한 빌드업이라는 게 밝혀져 해당 작품을 시청한 게이머들에게 소소한 충격을 선사했다.
- 키 비주얼과 인게임이 디자인이 다른 부분이 있다. 검의 디자인, PUCK의 디테일 적 요소 등등.
9. 관련 작품
[1] 팩맨 99와 팩맨 커뮤니티 개발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2] 팩맨 챔피언쉽 에디션 개발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3] 포식자가 되어라[4] 발매 안내 트레일러에서도 로고의 팩맨은 글자를 갉아먹으며 등장한다.[5] 사실 팩맨 시리즈의 몇몇 작품들은 자사 IP, 특히 디그 더그와 갤러그의 오마주가 잔뜩 들어가있는데 이 정도로 언급한 것을 보면 갤러그와 디그더그의 수준에서 벗어난 다른 작들의 오마주들이 잔뜩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고 했으나 이는 사실 본작이 UGSF 세계관의 작품이란 것을 돌려 말한 것이였다.[6] 이러한 디자인은 의도적으로 중성적인 모습을 노린 듯 하다.[7] 시크릿 레벨에서는 코와 귀 그리고 체모가 없는 인간처럼 묘사된다.[8] 본래 PUCK MAN은 일본에서 고안한 팩맨의 초기 이름이였다. 영미권에서 욕설로 들릴 여지가 있어 폐기된 이름이지만 게임의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해당 명칭도 레퍼런스를 겸하며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반론] 팩맨 시리즈는 2025년을 기준으로 45주년이 되는 역사 깊고도 오래된 시리즈이다. 항상 밝은 전체 이용가 분위기를 유지할 순 없으며 가끔 한번이라도 변화를 주어야 오래도록 관심을 끌고 새로운 팬도 유입 시킬 수 있다(따지고 들면 대호평을 받은 팩맨 CE 시점 부터 팩맨 시리즈는 근본을 잃은 것이 된다). 또한 이제 게임 시장은 쏘고 파괴하는 게임들이 업계들을 주무르던 시절은 이미 지나간지 오래이고, 밝은 분위기의 캐주얼 게임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다른 장르를 시도 해도 크게 문제 없다.
팩맨 시리즈는 아직 종결되지 않았고, 본작 같은 아이디어는 일회성으로 쓰일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 않으면 정말 근본을 잃은 것이 되고 상당수의 팬들이 떠나갈테니.
팩맨 시리즈는 아직 종결되지 않았고, 본작 같은 아이디어는 일회성으로 쓰일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 않으면 정말 근본을 잃은 것이 되고 상당수의 팬들이 떠나갈테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