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2:18:58

쉰들러엘리베이터


파일:쉰들러엘리베이터 로고.svg

1. 개요2. 쉰들러엘리베이터 코리아3. 모델
3.1. 해외3.2. 국내
3.2.1. 한국쉰들러 당시3.2.2. 중앙엘리베이터 당시3.2.3. 중앙엘리베이터 인수 후
3.2.3.1. 본사 기종 기반3.2.3.2. OEM 및 타사 제어반 기반
4. 알림음
4.1. 해외4.2. 국내
5. 행선층예약시스템6. 사건 사고7. 기타

1. 개요

쉰들러엘리베이터는 스위스의 기업이며 로버트 쉰들러가 1874년에 설립했다.

세계 엘리베이터 2위, 에스컬레이터 1위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세계 엘리베이터 점유율 1위는 오티스 엘리베이터다.

2. 쉰들러엘리베이터 코리아

한국지사 홈페이지

1957년 서울 명동 사보이 호텔에 수동문 엘리베이터를 계기로 위덕무역(現 세방엘리베이터)과의 합작으로 첫 진출하였다. 그 뒤 1987년에 '한국쉰들러' 상호로 2차 진출했으나 1992년에 부도처리되어 이듬해인 1993년에 철수, 2003년 중앙엘리베이터를 인수하여 세 번째로 다시 본격적인 진출을 시작했다. 당시 상호는 "쉰들러중앙엘리베이터"였는데 이후 주식을 100% 갖게 되어 2005년 쉰들러엘리베이터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안산시에 중앙엘리베이터 시절 때부터 썼었던 공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다. 물류창고로 쓰고 있다는 카더라가 있다. 여담으로 현재의 쉰들러엘리베이터 한국지사는 인수한 중앙엘리베이터의 설립 시기인 1977년을 시초로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쉰들러에 인수되었던 중앙엘리베이터는 2008년에 쉰들러에서 도로 분사되었다고 하나 2012년에 최종적으로 폐업되었다고 한다.[1]

현대엘리베이터의 주주 중 하나다. 1989년 합자관계였던 웨스팅 하우스 엘리베이터를 인수하면서 주식취득을 하였다.[2] 이 영향으로 2010년대 초반에는 현대와의 제휴를 통해 들여온 제품들을 설치하기도 하였다.[3] 하지만 2014년, 특히 WB시리즈가 주력기종화된 이후로는 더 이상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되지 않는 듯 하다.[4] 또 중앙엘리베이터를 넘어 2004년 이후로는 현대엘리베이터까지 인수할 야욕을 드러내었는데, 매각 의향이 전혀 없는 현대엘리베이터와 경영권 관련해서 분쟁을 겪기도 했다. 2015년 현대엘리베이터가 유상증자를 시행함으로써 쉰들러의 지분이 축소되었고, 현재는 서로 큰 관련이 없다.

대학병원에는 아직 이 제품을 설치한 곳이 없다.

쉰들러 역시 세계적으로 유명한 업체이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편으로[5] 고속 승강기, 대형 인화물용 기종이 아닌 이상 중소업체 제어반에 의존하고 있다.[6] 국내 쉰들러 엘리베이터 알림음 대부분이 중소업체 엘리베이터와 똑같은 이유. 주로 삼일엘텍 SICON 계열 제어반을 사용하며 드물게 국성제어 및 나우테크 제어반을 납품받기도 하였다. 2014년 전후에는 부분교체분 한정으로 STEP제어반을 사용했던 사례도 있다.[7]

중저속 엘리베이터 교체공사 시 한동안 삼일엘텍 기종에 쉰들러 로고만 빌려준 수준의 제품이 들어갔으나 2010년대 초반부터 쉰들러에서 자체 생산한 버튼과 층표시기가 있는 엘리베이터가 나오기 시작했으며 2019년 이후로는 국내 중소업체 제어반 의존을 탈피하고 "S3300"라는 자체기종을 본사에서 수입하여 설치하고 있다.

3. 모델

엘리베이터 분류
초저속 저속 중속 고속 초고속 화물용 알 수 없음
AC: 교류 / DC: 직류 / VF: VVVF
GD: 기어드 / GL: 기어리스 / MRL: 무기계실 / H: 유압식 / P: 권동식(포지티브식) / LR: 리니어식
(●) : 한국 설치현장 존재 여부 확인 불가
(☆) : 설치 가능한 기종
※ 이 문서에 맞춰 엘리베이터를 분류할 시 수정 분쟁 방지를 위해 틀:엘리베이터 분류/설명 문서를 참조할 것.

3.1. 해외

3.2. 국내

3.2.1. 한국쉰들러 당시


AC-1 AC GD
탑승영상: 서울 사보이호텔
그 유명한 사보이호텔 수동문 엘리베이터가 이 모델로, 무려 1957년식이다. 2021년 까지 무려 64년 을 다닌셈이다. [8] 그냥노인학대와도 같음 그러나 승안법 개정 여파로 운행중지되었다.
AC-2(●) AC GD
DC-GD(●) DC GD
탑승영상: 낙원상가 3호기[TK]
한국쉰들러 시절의 중속 모델이다. 대표적으로 낙원상가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상가구간에 남은 최종 생존분 1대의 경우 2016년 일부 전장품을 중소업체 제품으로 의장공사까지 했으나, 2020년 9월부터 결국 승강기 안전관련 법률 개정으로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로 전면교체가 시작되었다. 52년만에 이뤄지는 대차작업이다.
D-S(다이너트론 S, DYNATRON-S) AC GD
탑승영상: 영풍빌딩 지하주차장용
저속 권상식 교류 기종. 1990년대 초, 현대엘리베이터 60VF, 한양공영엘리베이터 ISOSTOP16M, 후지테크엘리베이터 EXDN 기종과 더불어 일찌감치 도트식 층표시기를 적용한 기종이었으며, 영풍빌딩 셔틀용 승강기처럼 세그먼트 방식도 당연히 있다. 1990년대 초 일부 15층 이하 아파트, 일부 저층 빌딩에 간간히 보였으나 자재 수급 문제[10] 및 승강기 안전법 개정으로 인해 찾아보기가 힘들어졌다. 남아있는 것도 의장공사로 상당수가 원형을 잃은 듯하며 특히 모종의 이유로 외부운전반이 교체되지 않은 현장을 몹시 보기 어렵다.
SEMAG AC GD
탑승영상: 상록수한양아파트
15층 이하 아파트 단지에 주로 설치되었다. 노원구 상계벽산아파트도 본래 이 기종이었던 것으로 추정.[11]
TTZP DC GL / VF GL
탑승영상: 영풍빌딩 본구간
고속[12] 하이엔드급 모델로 영풍빌딩 승객용이 이 모델이다. 영풍빌딩 사양의 경우 MICONIC기반의 터치스크린 버전 개량형인 PORT 행선층 예약 시스템이 적용되어있다.
D-MV AC GD
탑승영상: 영풍빌딩 소방구조용
중속 권상식 교류 헬리컬기어 기종.
MICONIC-V(●) DC GL / VF GL
샹제리제센터에 150m/min로 설치되었으나 지금은 티센크루프(현 티케이) TK-50P로 교체되었다.

3.2.2. 중앙엘리베이터 당시


VVAC(●) AC GD
탑승영상: 원주 부강빌딩[TK]
VF-60(●) VF GD
비슷한 모델명의 초저속 기종인 현대엘리베이터의 60VF와는 별개의 기종이다. 확인되었던 설치 현장은 KT 제천지사에 있었다.[14]
MCU2001[SICON] VF GD
탑승영상: 국민연금공단 부산본부 비상용
중앙엘리베이터 당시부터 설치되었던 저속 기종. 정확히는 중앙엘리베이터가 쉰들러엘리베이터에 인수되기 직전 시기인 2001년부터 출고되었다.

3.2.3. 중앙엘리베이터 인수 후

3.2.3.1. 본사 기종 기반
MRL-100P VF MRL
탑승영상:덕이동양우로데오메인타운
직수입 모델이다. 다만 300P보다 설치빈도가 적어 현재까지 서울에 한 곳과 고양시에 한 곳 밖에 발견되지 않았다.
MRL-300P VF MRL
탑승영상: 광주 이마트 봉선점(MRL-300P)
직수입 모델이다. 유기계실형은 P300이라는 모델이며 부산 국민연금공단에 상가용으로 설치되어 있다.
3300AP VF MRL
탑승영상:서울 ICL빌딩
기계실이 없는 타입(MRL) 모델이다.
5400KMMR VF GL
탑승영상:대전 금강 엑슬루타워 저층용

5400KMRL VF MRL
탑승영상: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5400P VF MRL
탑승영상:대전 중앙로 지하상가
6200K VF GL
탑승영상: 산본충무1차아파트
PMS420 VF GL
탑승영상:을지로4가 호텔국도
S-7000(MX-GC) VF GL
탑승영상: 대전 금강엑슬루타워(S-7000), 청라 더샵레이크파크(MX-GC)
쉰들러의 고속[16] 모델이며, MX-GC는 권상기 이름이다. 금강 엑슬루 타워와 영풍빌딩 리모델링분으로 설치되었다.
BX-GC VF GL
TX-GC VF GL
탑승영상:용인 흥덕유타워
MX-GC VF GL
탑승영상: 강남구 빅토리아빌딩
S3300 (☆) VF MRL
탑승영상: 광주 SMJ빌딩, 인천시티팰리스(105m/min), 안양 서련코아빌딩, 창동타워텔(90m/min), 안양 지혁빌딩, 부산 우산빌딩, 종로구 산곡빌딩(터치운전반)
관련 자료: 충주 성모안과(영상이 아니라 사진이다.)
스위스 본사에서 부품을 직접 받아서 만드는 MRL 기어리스 모델. 2019년 이후 중저층 건물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신규 설치분보다는 교체분의 비중이 높다.[17] 행정거리는 25층까지, 속도는 105m/min까지 적용이 가능하다.[18] 본 기종은 유럽에서는 이미 2005년에 출시되었다고 하며(#), 본 기종 국내 출시 1년 뒤에 신규 기종인 'S3000'이 출시되었다.(#)
S5500 (☆) VF MRL
탑승영상:DMC 위프라임 트윈타워, 마트월드관리단
2020년부터 설치되기 시작한 3300의 상위모델이자 중고층빌딩 특화 MRL 기어리스 모델. 유럽에서는 2011년에 출시되었다.
S7000(지원속도: 60~600m/min)(●) (☆) VF GL
쉰들러 스위스 본사의 최신 초고속 기어리스 모델. 최근 인증을 겨우 완료하여 국내 시판, 본사에서 직수입을 하고 있지만 상술한 국내 저가수주 기반의 낮은 인지도, 후술할 한국 및 일본에서의 급발진 사고[19] 등 이미지 실추로 인해 아직까지도 국내 설치 현장은 단 한 곳도 없다.
3.2.3.2. OEM 및 타사 제어반 기반
SICON2001[SICON] VF GD / VF GL
탑승영상: 경남 김해 향원탑스존 3호기
250K[SICON] VF GD
탑승영상: 신경주역
화물용 기종. 다만 일반적인 승객용으로 설치된 현장도 있다.(ex. 음성 신천휴먼시아, 청주 가로수마을휴먼시아)
WSG-07[SICON] VF MRL
MRL 기종. 청주역에 설치되어 있었다.[23]
K-MOD[SICON] VF GD / VF GL
탑승영상: 부산 기장 형진강변아파트
VFSC VF GD
탑승영상: 동화마을휴먼시아 3단지
나우테크 제어반을 적용했다. 해당 제어반이 적용된 여타 중소업체 제품과는 달리 구일, 신한엘리베이터에 적용된 안내방송이 송출된다.[25]
**VF-7 시리즈(STVF-7 VF GD, SSVF7 VF MRL, LXVF-7 VF GL)
현대엘리베이터의 OEM 모델이다. 쉰들러가 현대엘리베이터의 지분을 일부 가지고 있어서 가능한 일이었다. 제어반의 디자인은 직수입 모델들의 것을 따라가나, 드물게 현대의 것에 로고만 바꿔치기한 것들도 볼 수 있다.
AS-380 VF GD / VF GL
탑승영상: 성재빌딩[HD], 쌍문한양7차아파트[27]
중국 STEP 제어반이다. 동일 제어반을 탑재했던 오티스엘리베이터 NV 기종이 그랬듯 이 쪽도 평판이 매우 나쁘다. 2010년대 중반 부분 교체 키트로 한시적으로 판매했다가 단종. 세그먼트와 버튼등이 흰색이며 안내방송이 티센크루프동양엘리베이터 DY30A 기종의 하행 알림음과 동일하다.

4. 알림음

4.1. 해외


4.2. 국내

5. 행선층예약시스템

행선층예약시스템은 입력식 방식의 Miconic 10, 터치스크린 방식의 PORT가 있다. 해외에서는 뉴욕의 메리어트 마르퀴스 호텔 등에서 Miconic 10 시스템, 홍콩 국제상업센터 등에서 PORT 시스템이 적용된 제품을 운용중이다.

국내에서는 드물게 설치된 편이다. 영풍빌딩, 국민연금공단 부산지사가 대표적. 영풍빌딩은 2014년쯤에 행선층 예약시스템으로 교체되었는데 놀랍게도 전면교체 없이[28] 의장공사만으로 원래 승강기에 터치스크린 방식의 행선층 예약시스템을 박았다.

6.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7. 기타


[1] 충북 청주시에 동명의 업체가 있지만 쉰들러엘리베이터와는 무관한 별개의 기업이다.[2] 현대엘리베이터도 설립 초기에 생산된 기종(VAC, MPM)은 웨스팅 하우스의 기술이 일부 접목되어 있다.[3] 대표적으로 현대에서 SSVF7이였던 기종이 쉰들러에서는 SSVF-7로 판매되었다던가.[4] 그 대신 WB시리즈는 중소업체 OEM 생산이 많아지고 있다. 쉰들러도 현대보다 삼일엘텍 OEM이 다시 많아졌다.[5] 세계적인 인지도와 점유율과는 별개로 평판은 그닥 좋지 않은 편인데, 본사 영업 방식이 저가 수주에 기반해있다는 설이 있다. 그 외 일부 아파트 입주민 커뮤니티에서의 싸구려 이미지 등과 같은 부정적 인식과 후술할 사건사고도 어느 정도 영향이 있었던 듯. 2000년대 후반까지는 거의 주공아파트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었으며 실적 문제로 인해 2012년에 사업부를 축소하기도 하였다.[6] 인수 직전의 중앙엘리베이터 당시부터 삼일엘텍 제어반을 탑재한 제품을 설치했던 것이 인수 이후에도 이어진 것이다.[7] 그나마 STEP 차용 기종을 신축건물에 마구잡이로 투입한 오티스와 달리 소수 부분교체분에 한해 판매했다는 점이 위안점. 또한 제어반만 교체한 엘리베이터는 기종 특정이 불가능해 모델인증제 도입 이후로는 예외없이 노후 승강기와 동급으로 취급받기 때문에 사라지는건 시간 문제일 듯 하다.[8] 국승정에는 1976년식으로 잘못 기재되어 있다.[TK] 티케이엘리베이터 기종으로 교체되었다.[10] 상술한 1993년 이후의 철수 및 공백기로 인한 것이다.[11] 기종명이 '확인불가' 및 '권상식 VVVF'로 나오며, 2001~2년에 수시검사 기록이 있다. 초인종 알림음으로 미루어볼 때 권상기와 운전반만 교체한 듯 하다.[12] 180m/min으로 굉장히 빠르다.[TK] [14] 해당 승강기는 2019년에 후지테크 ZEXIA 기종으로 교체되었다.[SICON] 삼일엘텍 제어반이다.[16] 210m/min[17] 디시인사이드에서 볼수 있는 대부분의 S3300은 대차분이다.[18] 대부분 저층 건물 및 60m/min 이하로 설치되는 특성상 90m/min 이상의 속도로 운행하는 현장은 보기 드물다.[19] 후자는 쉰들러의 일본 철수에 결정타를 날린 사건이었다.[SICON] [SICON] [SICON] [23] 2019년에 승강장 쪽 2대가 STEP 제어반(보다 정확히는 파생 기종인 SL&C XX-VPL 제어반)으로 부분교체되었고 대합실 쪽 1대만 그대로 유지되었다가 2023년 말에 3대 모두 전면 교체되었다.[SICON] [25] 혹은 정부용 성우의 음성만이 나오는 곳도 있다. 나우테크 제어반의 안내방송은 본래 이러한 식으로 송출된다.[HD] 현대엘리베이터 기종으로 교체되었다.[27] 동사의 1993년식 SEMAG 기종 부분 교체분. 영상 설명에는 모나크 컨트롤 제어반이라는 언급이 있지만 STEP 제어반이다. STEP 제어반이 어째서 문제시되는지 알 수 있는 영상.[28] 다만 본구간 1대는 S-7000 기종으로 교체되었다.[29] 이전 리비전에서는 수유리라고 쓰여 있었으나, 수유동이 수유리로 명칭이 바뀐 것은 1950년이다. 그러므로 1994년에도 수유동은 수유동이다. 출처 1.출처 2.[30] 1986년 일본의 닛폰엘리베이터공업이라는 중서기업을 인수하여 진출, 이후 91년 사명을 쉰들러엘리베이터재팬으로 변경하였다.[31] 사고난 엘리베이터는 이후 미쓰비시 기종으로 교체되었다.[32] 보다 정확히는 사고 발생 당시 대처에 대한 논란이 문제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