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05:33:02

스텝(지리)

스텝기후에서 넘어옴


1. 개요2. 스텝 지대3. 스텝 기후(BS)

1. 개요

지리학의 개념으로 steppe이라 쓰는 것에 관한 문서. 3의 유래가 2이나 완전히 포함관계에 있지는 않다.

어원은 러시아어평야, 들판을 뜻하는 степь이다. 독일어를 거쳐 영어로 유입되었다. 유래로 치자면 원조일 러시아는 정작 국토 대부분이 스텝 기후가 아니다. 다만 이 말이 만들어진 과거에는 카자흐스탄 등지의 스텝이 러시아 제국 영토였으므로 어원이 만들어진 당시 기준으론 맞는다고 할 수도 있다.

2. 스텝 지대

파일:Steppe.jpg

생태지역 구분의 하나로, 나무가 없이 풀만 무성한 평원 지역이다. 나무는 거의 없고 초원만 있는 것도 특징이다. 사막 기후보단 강수량이 많아 초원이 형성된다. 신대륙의 스텝 지역으론 북미의 프레리, 남미의 팜파스, 호주의 대찬정 분지 정도를 꼽을 수 있다.

대체로 아래의 기후를 띠지만 그렇지 않기도 하다. 헝가리푸스타(Puszta) 평원이나 우크라이나의 흑토지대, 신대륙 스텝들은 쾨펜의 기후 구분상에서 온대기후로 나타난다.

이 지역의 주민들은 보통 목축과 상업을 주업으로 삼았다. 농업은 대부분 16세기 이후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이후 스텝 지대에 밀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부터이며, 우크라이나와 호주도 마찬가지다.[1]

유라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이 지역은 길 3종세트(사막길, 바닷길, 초원길)중 하나였으나, 몽골이나 거란유목민족들의 텃세 때문에 사막길에 상대적으로 밀렸다.

지구온난화와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로 사막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3. 스텝 기후(BS)

쾨펜의 기후 구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열대기후
(A)
Af 열대 우림 기후
Am 열대 몬순 기후
Aw 사바나 기후
As
건조기후
(B)
BW BWh 사막 기후
BWk
BS BSh 스텝 기후
BSk
온대기후
(C)
Cf Cfa 온난 습윤 기후
Cfb 서안 해양성 기후
Cfc 아극 해양성 기후
Cw Cwa 온대 하우 기후
Cwb 아열대 고원 기후
Cwc
Cs Csa 지중해성 기후
Csb
Csc
냉대기후
(D)
Df Dfa 냉대 습윤 기후
Dfb
Dfc
Dfd
Dw Dwa 냉대 동계 건조 기후
Dwb
Dwc
Dwd
Ds Dsa 고지 지중해성 기후
Dsb
Dsc
Dsd
한대기후
(E)
ET 툰드라 기후
EF 빙설 기후
고산기후 H 고산 기후*
고산기후(H)는 본래 쾨펜의 구분에는 없는 분류이나, 여기서는 포함한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 ||

건조기후
BW BS
BWh BWk BSh BSk
사막 기후 스텝 기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Koppen_World_Map_BSh_BSk.png
위의 스텝 지대에서 유래한 기후이다. 스텝 기후(steppe climate, 또는 반건조 기후;semi-arid climate)의 유래가 스텝이긴 하지만 오늘날 스텝(steppe)은 팜파스같은 비옥한 곳도 가리키는 말이므로 둘을 구분하는 것이 좋다. 대개 스텝 지대에서 자주 나타나는 기후이나, 위에서 언급했듯 약간 차이는 있다.

진한 갈색은 연평균기온이 18도[2] 이상인 지역들(BSh)이며 옅은 갈색은 연교차가 크고 연평균기온이 18도 미만이고 영하로 내려가는 지역들(BSk)이다.

건조기후의 기후 중 하나로 BS로 표시한다. 보통 250mm~500mm 정도의 강우량. 위치로는 사막 지역을 싸고 있는 경우가 많다. 반건조기후(Semi-arid climate)라고도 한다.

추운 스텝기후(BSk)와 더운 스텝기후(BSh)로 나누는데, BSk라고 해도 연교차가 엄청나게 큰 경우가 많으므로 여름에는 한낮 한정으로 더운 경우가 많다. 그래도 일단 습도가 적으므로 일교차가 커서 열대야는 드문 편이다.

빙하기 때 한반도[3]의 기후가 이 기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BSh HonoluluKOR.png
파일:BSh JerusalemKOR.png
파일:BSh MarrakeshKOR.png
파일:BSh DodomaKOR.png
<rowcolor=#ffffff> 미국 호놀룰루의 기후 그래프[Csa] 이스라엘 예루살렘의 기후 그래프[Csa] 모로코 마라케시의 기후 그래프 탄자니아 도도마의 기후 그래프
파일:BSh OuagadougouKOR.png
파일:BSh GaboroneKOR.png
파일:BSh WindhoekKOR.png
파일:BSh NewDelhiKOR.png
<rowcolor=#ffffff>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의 기후 그래프[Aw] 보츠와나 가보로네의 기후 그래프 나미비아 빈트후크의 기후 그래프 인도 뉴델리의 기후 그래프[Cwa]

파일:BSk ComodoroRivadaviaKOR.png
파일:BSk BloemfonteinKOR.png
파일:BSk BakuKOR.png
파일:BSk AshgabatKOR.png
<rowcolor=#ffffff> 아르헨티나 코모도로 리바다비아의 기후 그래프 남아프리카공화국 블룸폰테인의 기후 그래프 아제르바이잔 바쿠의 기후 그래프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의 기후 그래프

대한민국 기후가 여름철(6~8월) 강수량을 제외하면 이 기후에 근접해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
, 1.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단, 호주는 물이 부족해도 너무 부족해 대찬정이 개발되기 전엔 그냥 버려진 땅이었다.[2] 어디까지나 평균기온이 그렇다는 것이고 조건에 따라서는 h기후라도 겨울철 밤에 영하로 내려갈 수 있다.[3] 사실 이때는 반도도 아니고 대륙과 붙어 있었다.[Csa] 지중해성 기후(Csa)와의 점이지대에 위치해 있다.[Csa] [Aw] 사바나 기후(Aw)와의 점이지대에 위치해 있다.[Cwa] 온대 하우 기후(Cwa)와의 점이지대에 위치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