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00:35:05

시프트업

SHIFT UP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희왕 ZEXAL에서 등장한 마법 카드에 대한 내용은 업 시프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순위
기업명
76 파일:한화시스템 로고.svg
한화시스템
77 파일:두산 로고.svg
두산
78 파일:밥캣 로고.svg
두산밥캣
79 파일:오리온(기업) 로고.svg
오리온
80 파일:엔씨소프트 로고.svg
엔씨소프트
81 파일:SKC 로고.svg
SKC
82 파일:한국투자금융지주 로고.svg
한국투자금융지주
83 파일:SK바이오사이언스 로고.svg
SK바이오사이언스
84 파일:삼성증권 로고.svg
삼성증권
85 파일:CJ제일제당 로고.svg
CJ제일제당
86 파일:LG이노텍 로고.svg
LG이노텍
87 파일:logo_no_margin_small_green_re.png
시프트업
88 파일:효성중공업 신로고.svg
효성중공업
89 파일:GS그룹 로고.svg
GS
90 파일:한미약품 CI.svg
한미약품
91 파일:카카오페이 BI.svg
카카오페이
92 파일:현대오토에버 로고.svg
현대오토에버
93 파일:강원랜드 로고.svg
강원랜드
94 파일:두산 로고.svg
두산로보틱스
95 파일:BNK금융지주 로고.svg
BNK금융지주
96 파일:삼성E&A 로고.svg
삼성E&A
97 파일:한국가스공사 로고.svg
한국가스공사
98 파일:JB금융지주 로고.svg
JB금융지주
99 파일:LS그룹 로고.svg
LS
100 파일:키움증권 로고.svg
키움증권
◀ 코스피 상위 51위~75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010101> 파일:logo_no_margin_small_green_re.png시프트업
SHIFT UP
}}}
<colbgcolor=#8CAE32,#010101><colcolor=#ffffff,#ddd> 법인명 국문: 주식회사 시프트업
영문: Shift up Co., Ltd.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 2013년 12월 2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7길 55 에이프로 스퀘어 12 ~ 15층
대표 김형태
업종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기업규모 중견기업
상장여부 상장기업
종목코드 KS:462870
상장여부 코스피 상장
매출액 1685억 5941만 원(2023년)
영업이익 1110억 6258만 원(2023년)
자본금 99억 1615만 원(2023년)
직원 수 301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지배구조4. 구성원
4.1. 데스티니 차일드4.2. 승리의 여신: 니케4.3. 스텔라 블레이드
5. 게임
5.1. 서비스 중5.2. 개발 중5.3. 서비스 종료
6. 비판7. 기타

[clearfix]

1. 개요

시프트업은 게임 원화가 김형태가 설립한 게임 개발사다. 본사는 서울 서초구에 위치해 있다.

2. 상세

소프트맥스, 엔씨소프트를 거치며 이름을 알렸던 일러스트레이터 김형태가 설립한 회사다. 엔씨소프트에서 터진 일명 '사업부의 난'으로 핵심 개발자들이 전부 퇴사하는 와중에 김형태도 시니어급 개발자 최주형 PD를 데리고 엔씨소프트에서 퇴사하여 시프트업을 세웠다. 첫 출시작은 2016년 라인게임즈(舊 넥스트플로어)와 협업해서 제작한 모바일 RPG 데스티니 차일드다. 데스티니 차일드는 출시 직후인 2016년에는 양대 마켓에서 매출순위 1위를 차지하는 등 크게 흥행하였다.

데스티니 차일드가 나오기 이전까지는 마땅한 수입원이 없어 그동안 모아온 돈과 투자를 받은 돈으로 개발진을 최대한 잡아두며 개발을 하였고 이 시기 자금난 때문에 아내 꾸엠과 협력하여 어떻게든 고비를 넘긴 것으로 유명하다. 데스티니 차일드가 욕은 먹더라도 흥행을 이어나가면서 개발진 확충을 이어나갔다.

2018년 위메이드 측의 100억대 규모 투자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018년까지 계속된 개발진 확충이 신의 한수가 되어서 이 개발진 공모전을 통해 프로젝트 니케가 확정되었고 2019년에는 프로젝트 니케와 프로젝트 이브를 공식 발표하였다.

그렇게 장장 6년만에 2022년 11월 4일 승리의 여신: 니케를 발매하였다.

2022년 12월 텐센트가 지분 20%를 취득하였다.[1]

2023년 니케의 대흥행으로 매출액이 무려 1600억원으로 떡상하고 영업이익이 1000억으로 크게 향상되었다.[2] 영업이익만 따지면 1조대의 매출을 올리는 엔씨소프트와 동일한 수준이다.

2024년 7월 11일 코스피에 상장되었고 상장 당일 게임사 시총 3위에 오르며 엔씨소프트를 제치기도 하면서 당일 주가 9만원대를 찍었으나, 스텔라 블레이드 출시 이후 시간이 흐르자 현재 승리의 여신 니케만이 현금 수입원이라는 불안정성을 이유로 주가가 다시 하락하면서 6만원대에 안착중이다.

여담으로 사내 복지가 좋은 회사로 유명하다. 이는 김형태 CEO가 프로그래머를 비롯한 기획자들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기에 가능했던 일이며 핵심 개발진은 억대 연봉 등 대우가 매우 좋다고 소문나있다. 특히 2020년 11월에 출시되어 2021년 9월에도 물량이 별로 없어서 구매시 웃돈이 기본이던 PS5를 보너스와는 별개로 전 직원에게 기습적으로 선물한게 화제가 되었으며, 2022년 11월 승리의 여신 니케가 대흥행을 거둔 후 2023년 보너스 지급으로 전 직원에게 사용한도 천만원짜리 신용카드를 지급하고 10년 이상 근속자에게는 천만원 상당의 골드바까지 주는 등 상당한 금융치료 복지를 하는 회사다.

3. 지배구조

2024년 10월 27일 기준.
<rowcolor=#696969>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김형태
41.56%

[[중국|]][[틀:국기|]][[틀:국기|]] 텐센트[3]
35.0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국민연금공단
6.15%

처음 상장했을 때 시작가는 6만원대였으나 사람들의 대거 매수로 7만원대로 더더욱 떡상하였다. 그러나 라이브 서비스 중인 게임이 승리의 여신 니케 하나뿐이라는 리스크 때문에 주가는 이후 다소 하락한 끝에 6만원 중후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프로젝트 위치스를 2027년에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진척 상황에 따라 연기될 수 있고 어떻게든 니케의 인기를 그 시기까지 유지해야 한다는 약점이 있어서 주가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고 있다.

4. 구성원

4.1. 데스티니 차일드

서비스 종료 이후 팀원들은 다른 팀으로 재배치되거나 퇴사했다.

4.2. 승리의 여신: 니케

4.3. 스텔라 블레이드

5. 게임

5.1. 서비스 중

5.2. 개발 중

5.3. 서비스 종료

6. 비판

데스티니 차일드승리의 여신: 니케처럼 매력적인 세계관 IP를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확립할 정도로 IP 개발력이 뛰어난 회사지만, 운영 및 사후지원 방면에선 온갖 욕을 들어먹곤 한다. 이 때문에 시프트업 게임 관련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다 보면 타이틀 별로 시프트업에 대한 평가가 다르고, 국내냐 해외냐에 따라서도 또 다른 희한한 광경이 펼쳐지곤 한다. 특히 국내 개발사인 만큼 사건사고의 최전선에 있는 국내 커뮤니티와 그렇지 않은 (혹은 같은 일이 벌어져도 논란조차 되지 않는) 해외 커뮤니티의 온도차이가 큰 편이다.

이 중 적대적 운영, 무소통, 확률조작 사건, 버그 방치, 갑작스러운 서비스 종료 등 첫 타이틀답게 온갖 환난을 겪고 냅다 섭종당한 데스티니 차일드 커뮤니티의 여론이 제일 험악하며, 몇몇 커뮤니티는 서비스 종료 이후 반쯤 안티 사이트를 겸하게 된 곳도 있다. 데스티니 차일드 다음으로 운영된 승리의 여신 니케 역시 해마다 뭔가가 터지곤 한다.

첫 작품인 2016년작 데스티니 차일드도 초반에는 국산 수집형 모바일 게임에 일러스트는 호불호가 갈리지만 나름 순항 중이었는데, 출시 직전에 약속한 공평한 확률이라 해놓고 언급하지 않은 채 특정 캐릭터의 가챠 비율이 다르다는 확률조작이 밝혀지며 민심을 잃었던 적이 있었다. 이후 재화를 전부 돌려주는 조치로 유저 손실을 막는 듯 했으나 막장 운영과 밸런스 파괴로 유저 수가 급감했다. 그래도 당시에는 이 게임 하나밖에 없어서 꾸준한 업데이트와 아이돌 컨셉 캐릭터를 내세운 이벤트가 대성공을 거둬 유저를 다시 유입하는 호재를 맞이했으나, 지속적인 유저 적대적 운영과 고쳐지지 않는 버그와 핵, 개발사 사장인 김형태의 "한국서 사인회 하면 칼 맞을까봐요" 발언 등으로 민심을 잃어 유저들이 떠나갔다. 그럼에도 6년간 서비스하며 살아남은 이유는 시프트업이 재화를 막 뿌리면서 어떻게든 남은 소수의 유저들을 붙잡고 있기 때문이었는데, 니케의 흥행과 동시에 주식상장을 앞둔 시프트업은 매출이 안 나오니까 데스티니 차일드를 갑자기 버리는 행태를 보이며 파국으로 끝났다.[9]

그렇게 스텔라 블레이드(프로젝트 이브)를 내기 이전에 프로젝트 니케, 즉 승리의 여신: 니케를 정식 출시하였고, 니케는 출시되자마자 확률조작 논란이 터졌음에도 훌륭한 IP 파워와 방치형의 이점, 단기적으로 보면 창렬이지만 장기적인 시각으로 시즌패스나 월정액만으로 즐길 수 있는 게임이었기에 외국에서는 큰 논란 없이 일본을 사로잡았다. 한국 유저들 또한 가격 논란은 있었으나 시즌패스와 월정액을 지른 뒤 스페셜 아레나에서 재화 수급을 하면 되었기에 논란이 가라앉으며 자리를 어느 정도 잡기 시작했다.

하지만 니케 역시 버그가 터져도 설렁설렁 넘어가고 핵 유저 및 버그 악용자 대응을 안일하게 해온 것이 2주년 이벤트에서 폭발하여 2주년을 장례식으로 만들 정도로 시원하게 말아먹은 것으로 인해 평가가 불호가 생겨버렸고, 후에 핵 유저및, 버그 악용자를 잡는 방법이 없다며 못을 박으며, 돈 벌 방법은 잘 알면서도 정작 핵 유저들을 못 잡는다는 발언하는건 회사의 기술로는 변명으로 밖에 보일수밖에 없으며, 이번 일로 인해서 니케 막장운영은 왜 내실부터 잘 다져야하는지 잘 보여준 케이스가 되었다.

7. 기타


[1] 이후 확인된 바에 따르면 텐센트 측의 지분은 40.06%이다. 텐센트는 ACEVILLE PTE. LTD.를 통해 시프트업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사실상 2대 주주이며, 대표 김형태와 특수관계자 지분을 합치면 45.19%이다. 출처: #[2] 이는 NICE 평가정보에 기반하면 업계평균 대비 11000% 수준의 이익이며, 당기순이익으로 따지면 무려 21000%이나 된다.[3] 자회사인 Aceville Pte. Ltd. 명의[퇴사] [퇴사] [퇴사] [7] 소울워커 메인 시나리오 라이터 출신.[8] 국내 최초의 플레이스테이션 독점작이자 유통게임이다.[9] 이때 어느 정도 이익율이 나온다는 매출 순위권 마지노선이 200위인데, 2023년에 이미 200위 밖으로 밀려나서 유저들도 데스티니 차일드의 서비스 종료 시기는 올 것이라고 예측은 했다. 문제는 서비스 종료 하루 전까지만 해도 업데이트 예정 등 이벤트를 하거나, 피규어 예약 판매도 진행하던 도중에 갑자기 서비스 종료 소식이 통보되었다는 것. 돈슨으로 악명 높던 시절(2010년대) 넥슨이 개발 및 운영한 마스터 오브 이터니티는 서비스 종료를 발표한 후 메인 스토리 최종까지 공개한 것, 야생의 땅: 듀랑고는 마지막에는 유저들을 위한 특별섬까지 개방하며 아름다운 이별을 한 반면 데스티니 차일드는 메인 스토리를 종결시키지도 않은 채 서비스 종료를 하였고 이에 남아있던 유저들이 메인 스토리를 끝까지 공개하라며 성토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