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13:52:26

손흥민/별명

파일:Semi_protect3.svg   이 문서를 편집한 기록이 있어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손흥민
{{{#!wiki style="margin: -5px -10px; margin-top: -7px; margin-bottom: -7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파일:손흥민 흑백(WC).svg손흥민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111836><colcolor=#fff> 클럽 경력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colcolor=#9E9E9E>함부르크 SV
~ 2010 · 2010-11 · 2011-12 · 2012-13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2013-14 · 2014-15 · 2015-16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토트넘 홋스퍼 FC
2015-16 · 2016-17 · 2017-18 · 2018-19 · 2019-20 · 2020-21 · 2021-22 · 2022-23 · 2023-24 · 2024-25
국가대표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2010~ )
2011 (AC11) · 2012 · 2013 · 2014 (WC14) · 2015 (AC15) · 2016 · 2017 · 2018 (WC18) · 2019 (AC19) · 2020 · 2021 · 2022 (WC22) · 2023 · 2024 (AC23)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 블랙.svg 대한민국 U-23 (2016~2018)
O16 · AG18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대한민국 U-17 (2008~2009)
AC08 · WC09
평가 플레이 스타일 · 관련 언사 · 손케 듀오 · DESK
기록 대회 기록 · 개인 수상 · 통산 기록 · 개인 기록 (아시아 · 토트넘)
미디어 활동 내역 · 손세이셔널 - 그를 만든 시간 · 사진
기타 별명 · 악성 팬덤 · 손까논란 및 사건 사고 · 여담 · NOS7
}}}}}}}}} ||

1. 개요2. 일반 별명3. 긍정적인 별명
3.1. 양봉업자
4. 부정적인 별명5. 기타

1. 개요

손흥민별명에 대한 문서. 잘 하는 날과 못 하는 날에 극단적으로 별명이 갈리는 게 특징이다.

2. 일반 별명

3. 긍정적인 별명

3.1. 양봉업자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879
, 10.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87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부정적인 별명

5. 기타


[1] 영어 애칭이므로 통상적인 변형 과정에 따라 표기할 때 마지막 자음이 중복된다. (예: John → Johnny) SONY와는 발음부터 다르다. Sony는 이중모음을 써서 '소우니'로, Sonny는 단모음으로 짧게 '소니'로 발음한다. '소' 발음을 '서' 발음을 약간 넣어 발음한다고 생각하면 된다.[2] 과거 무리뉴 감독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호나우두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호나우두를 'The Real Ronaldo'라고 언급해 소소한 논란을 일으킨 적이 있기에, 이번에는 호날두가 아닌 호나우두를 지칭함을 분명히 하기 위해 '호나우두 나자리우'라고 호칭하며, "내 아들은 예전부터 손흥민을 '손나우두 나자리우'라고 불렀다. 그는 진정 '손나우두 나자리우' 같았다."라고 언급했다.[3] 이는 사실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게겐프레싱 문서 참고.[4] 반면 FC 바이에른 뮌헨에게는 꽤 약한 모습을 보여왔다. 분데스리가 시절 뮌헨을 상대로 한 골도 넣지 못했고, 토트넘으로 이적하고 나서는 딱 한 번 만났는데 19-20 시즌 챔피언스 리그에서 만나 바이에른을 상대로 첫 골을 넣었다. 허나 팀은 2대7로 참패했다. 뮌헨에서 열린 리턴매치에서는 후반 막판에 1대1 찬스를 잡았지만 마누엘 노이어의 선방에 막히며 득점에 실패했다. 물론 바이에른 뮌헨은 손흥민이 몸 담았던 팀들보다 전력이 한 단계는 더 강한 유럽 최강팀이기는 하다.[5] 1~4위는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아르연 로벤, 토마스 뮐러, 클라우디오 피사로[6] 1위는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7] 2-1 승리[8] 3-1 승리[9] 이 골은 공식적으로 11월 프리미어리그 이달의 골로 선정되었다.[10] 2-1 승리[11] 3-0 승리[12] 2-1 승리[13] 8-0 승리[14] 콜롬비아전에 이어 오랜만에 대표팀에서 거둔 득점 기록이다.[15] 2-1 승리[16] 2-0 승리[17] 1-0 승리[18] 2-0 승리[19] 5-0 승리[20] 37라운드까지 리그 22득점으로 득점 1위[21] 데얀 쿨루셉스키는 후반 62분에 골키퍼를 제치고 완벽한 득점 기회를 잡았으나 빈 골대 앞의 손흥민을 보고 슈팅을 망설였다고 경기 후 인터뷰를 통해 밝혔다. 팀원들 역시 손흥민의 득점왕 경쟁에 신경을 쓰고 있었다는 뜻이다.[22] 후반 75분 소위 흥민존이라고 불리는 페널티 에어리어 바깥쪽에서 강력한 오른발 감아차기로 득점하였다.[23] 2-2 무승부[24] 2023년 12월 현재 맨시티를 상대로 1위 바디가 9골, 2위 손흥민이 8골을 기록 중이다.[25] 단순히 색깔과 관련된 징크스는 아니다. 손흥민이 다수의 골을 기록한 도르트문트나 맨시티, 리버풀, 아스널은 분데스리가와 PL의 우승권 강호들이고, 강한 전력을 앞세워 라인을 높게 올리는 공격적인 전술을 사용하는 팀들이다.(도르트문트와 리버풀은 위르겐 클롭이라는 세계적인 명장이 리그 우승컵을 안겨준 팀들이다.) 손흥민의 개인 기량과는 별개로 팀 전체의 전력으로 따지고 보면 토트넘은 이 팀들보다 다소 열세에 있는 팀이라 무조건 정면으로 맞서기보단 역습을 통해 득점을 노리는 경우가 많은데, 라인을 올리고 주도권을 가져가는 상대방의 전술적 상황에 손흥민의 플레이스타일이 완벽한 카운터로 작용하여서 토트넘과 경쟁팀들간의 전력차와는 별개로 손흥민이 득점을 올리기 용이한 장면이 많이 연출되는 것이다.[26] 손흥민은 리그 준우승, 챔스 준우승에 심지어 리그컵과 아시안컵 준우승으로 U-23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제외하면 커리어 내내 준우승만 네 번을 경험했다.[27] 무리뉴가 부임한 팀은 모두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심지어 무리뉴 커리어의 오점으로 남은 맨유시절에도 카라바오컵과 유로파 우승컵은 들어올렸다.[28] '무'리뉴 vs '무'관민이라는 뜻이다. 무리뉴 2년차 버프로 우승 커리어가 생길지 손흥민 무관 디버프로 계속 무관에 머물지 대결한다는 것이다. 결국 2021년 4월 19일 무리뉴가 무관인 채로 경질되며 무무대전은 손흥민의 승으로 끝났다. 사실 무리뉴는 카라바오컵 결승전 직전에 리그 성적 문제로 경질 당해서 조금만 더 버텼으면 토트넘에 트로피를 안겨줄 수 있었을 지도 몰랐다. 그리고 이후 무리뉴가 AS 로마의 감독으로 부임하고 또 팀에 우승컵을 선물해주자 진짜 손흥민에게 마가 낀 것이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29] UEFA 유로 2020에서 결승전에 진출하여 드디어 지긋지긋한 무관에 벗어나는가 했으나 했으나 승부차기 끝에 준우승으로 끝나서 '손흥민 무관의 원인이 케인 때문이다'라는 드립과 '손흥민과 붙어다녀서 무관귀신이 옮았다'라는 드립이 나오고 있다. 심지어 케인은 우승하기 위해 2023-24 시즌 분데스리가FC 바이에른 뮌헨에 이적했으나 정말 귀신 같이 무관 시즌을 기록했다.[30] 해축팬(주로 디시인사이드) 사이에서 박지성과 비교되며 악성 팬들에 의해 생성된 밈이기도 하다. 박지성의 부정적 별명 중 퍼기시절 맨유에서 주로 서브를 뛰었던 박지성을 전투력이 미미함에도 불구하고 로저 해적단의 수습 선원이었다는 이유로 칠무해까지 되었던 버기에 빗댄 '버기성'이 있기 때문에 같은 원피스 출신 캐릭터 중에서 우솝이 낙점된 것이다.[31] 그리고 우승 이후에도 한동안 존재의 소멸이라는 식으로 합성짤과 개드립이 오가기도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