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17:53:16

제2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신상하이 대첩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농심신라면배
,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대회의 1라운드와 3라운드 일정과 동시에 열리는 대회에 대한 내용은 제1회 농심백산수배 세계바둑 시니어 최강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역대 농심신라면배 일람
제24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제2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제26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우승
대한민국 대한민국 미정
파일:제25회 농심배 우승.jpg
농심배 우승을 결정짓고 나서 홍민표 바둑 국가대표팀 감독과 신진서 九단이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모습

1. 개요2. 출전자 명단3. 본선4. 여담5. 관련 문서

1. 개요

대회 기간 : 2023년 10월 17일 ~ 2024년 2월 23일
대회 장소 : 1R 중국 베이징 / 2R 한국 부산광역시 / 3R 중국 상하이

25번째 대회를 맞는 농심신라면배, 21회 대회 2라운드 이후 4년여 만에 대면 대국으로 대회를 진행한다. 또한 이번 대회와 병행으로 시니어판 '농심신라면배'인 '백산수배'가 첫 대회를 갖게된다.[1]

이 대회는 신진서 九단이 지난 2005년 이창호 九단이 6회 대회에서 이뤄낸 상하이 대첩을 19년 만에 재현한 '신 상하이 대첩'이 벌어진 대회이다.

2. 출전자 명단

참가 선수
한국 기원 중국 기원 일본 기원
이름 국적 이름 국적 이름 국적
신진서 한국 딩하오 중국 이치리키 료 일본
원성진 한국 구쯔하오 중국 시바노 도라마루 일본
설현준 한국 커제 중국 이야마 유타 일본
박정환 한국 자오천위 중국 쉬자위안 대만
변상일 한국 셰얼하오 중국 위정치 대만

==# 예선 (한국) #=====# 1차 예선 #===
제2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국내 선발전 1차 예선 통과자
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이 연 심재익 조한승 최철한 최은규 홍무진
7조 8조 9조 10조 11조 12조
김경은 이정준 김정현(小) 정서준 김창훈 김승진
13조 14조 15조 16조 17조 18조
이상빈 한상훈 오유진 최정관 백찬희 금지우
19조 20조 21조 22조 23조 24조
김민석 한웅규 김현찬 김승재 안국현 윤준상

===# 2차 예선 #===
제2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국내 선발전 2차 예선 통과자
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백홍석 원성진 김정현(大) 한승주 설현준 홍무진
===# 3차 예선 #===
제2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국내 선발전 3차 예선 대진표
3차 예선 예선 결승 선발전 통과자
김정현 원성진 <colbgcolor=#dcdcdc> 원성진 <colbgcolor=#dcdcdc> 원성진
홍성지 신민준 신민준
설현준 김명훈 설현준 설현준
변상일 안성준 안성준
홍무진 박정환 박정환 박정환
한승주 백홍석 한승주

3. 본선

제2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colbgcolor=#dcdcdc,#1f20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6승 4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7승 5패)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승 5패)
선봉 설현준
(1국 패)
셰얼하오
(7승, 9국 패)
쉬자위안
(1승, 2국 패)
차봉 변상일
(3국 패)
자오천위
(11국 패)
시바노 도라마루
(4국 패)
중견 원성진
(5국 패)
커제
(12국 패)
이치리키 료
(6국 패)
부장 박정환
(7국 패)
딩하오
(13국 패)
위정치
(8국 패)
대장 신진서
(6승)
구쯔하오
(14국 패)
이야마 유타
(10국 패)

3.1. 1R

3.1.1. 1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설현준 vs 파일:일본 국기.svg 쉬자위안

본선 1국
(2023년 10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설현준 200수 백 불계승
쉬자위안 1승
파일:일본 국기.svg 쉬자위안
중계[4] 바둑TV - 김여원, 박정상 | K바둑 - 김규리, 안형준
오로바둑 - 한승주 | 타이젬바둑 - 조혜연

4년 만의 대면 대국으로 스물 다섯번 째 대회를 맞는 농심신라면배는 한일전으로 개막전이 열리게 됐다. 대한민국의 선봉으로 출전한 설현준은 이 대국을 통해 농심신라면배 데뷔전을 치르게 됐다. 일본은 선봉으로 쉬자위안을 내세웠다. 쉬자위안은 지난 24회 대회에서는 두 번째 주자로 출전했었다.

첫 농심배 출전이라는 부담감이 있었는지 한국의 선봉 설현준이 부담감을 이겨내지 못하고 일본의 선봉 쉬자위안에게 완패를 당했다. 초반에는 우상 대형 정석부터 시작해 빠르게 바둑을 전개했는데 그 이후에는 설현준의 아쉬운 선택들이 나오며 바둑이 점점 쉬자위안에게 기울어져 갔다. 특히 우변 공격 실패 이후로 바둑이 단조롭게 만들어지며 사실상 아무것도 해보지도 못하고 패하는 결과로 이어지며 설현준은 돌을 거뒀다. 이렇게 되면서 쉬자위안이 승리를 거두어 중국의 선봉 셰얼하오의 상대가 됐다.

3.1.2. 2국: 파일:일본 국기.svg 쉬자위안(1승) vs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본선 2국
(2023년 10월 18일)
파일:일본 국기.svg 쉬자위안 172수 백 불계승
셰얼하오 1승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중계 바둑TV - 류승희, 박정상
오로바둑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박경근

한국의 선봉 설현준에게 완승을 거두며 이번 대회 일본의 첫 승을 안겨준 쉬자위안이 중국의 선봉 셰얼하오의 상대가 됐다. 2국은 중앙 전투에서 승부가 갈렸다. 초중반까지 두 기사가 팽팽한 흐름으로 가고 있었으나 중앙전에서 쉬자위안이 초읽기가 몰리며 실수가 나오며 바둑이 순식간에 셰얼하오 쪽으로 크게 기울어졌다. 중앙에서 완벽한 우세를 잡은 셰얼하오는 이후로는 완벽한 내용으로 형세를 유지한 끝에 쉬자위안에게 항복을 받아내며 중국은 이번 대회 첫 승을 신고했다.

3.1.3. 3국: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1승) v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본선 3국
(2023년 10월 19일)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246수 흑 반집승
셰얼하오 2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중계 바둑TV - 류승희, 송태곤 | K바둑 - 장혜연, 안형준
오로바둑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박지은

대한민국의 두 번째 주자로 당초 예상되었던 원성진이 아닌 한국랭킹 3위이자 제14회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하며 이번 농심배 와일드카드를 받은 변상일이 출격했다.[5] 변상일과 셰얼하오 두 기사는 통산 상대전적이 3승 3패인데 가장 최근 대국이 2018년 백령배 대국으로 이번이 5년 만의 맞대결이다.

변상일의 농심배 불운이 이어지고 말았다. 중반들어 중앙이 크게 들어가며 매우 불리했던 형세로 바둑이 이어졌으나 좌상에서 셰얼하오가 치받는 수를 두는 실수가 나와 순식간에 바둑이 미세해지며 추격이 됐고 이후 바둑은 미세한 형세에서 치열한 끝내기 승부로 접어들었다. 변상일은 끝내기 수순을 통해 뒤집을 기회가 있었는데 끝내기 수순 도중에 우하에서 초읽기에 몰려서 따내는 실수가 나와 사실상 바둑을 셰얼하오에게 넘겨주고 말았다. 결국 셰얼하오가 반집으로 신승을 거두고 연승에 성공하며 이번 대회 첫 연승자가 나오게 됐다. 변상일은 통한의 반집패를 당하며 농심배 무승 징크스(통산 0승 4패)가 이어졌고, 한국은 1차전 무승을 기록하고 원성진, 박정환, 신진서가 남은 가운데 부산에서 열리는 2차전으로 넘어가게 됐다.

3.1.4. 4국: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2승) vs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

본선 4국
(2023년 10월 20일)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 194수 백 불계승
셰얼하오 3연승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중계 바둑TV - 김여원, 송태곤
오로바둑 - | 타이젬바둑 - 조혜연

셰얼하오와 시바노 도라마루의 증일전 대결로 펼쳐진 4국은 좌변 전투에서 미세하게나마 우세를 잡은 시바노 도라마루 상변 입구자를 두는 판단 미스가 나와 바둑이 뒤집어졌다. 이후 우변에서 셰얼하오의 실수가 나와 다시 바둑이 미세해졌는데 여기서 시바노 도라마루가 그 틈을 놓치면서 바둑이 결국 셰얼하오에게 기울어지며 끝이 나버럈다. 결국 셰얼하오가 3연승에 성공하며 연승 상금 1천만원을 수령하는 것으로 농심배 1라운드가 마무리 됐다.

농심배 1라운드는 셰얼하오의 3연승으로 마무리 되면서 중국은 5명 전원 생존, 대한민국과 일본은 각 3명씩 남게된 가운데 부산에서 열리는 2라운드로 넘어가게 됐다.

3.2. 2R

3.2.1. 5국: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3승) v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본선 5국
(2023년 11월 3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291수 백 반집승
셰얼하오 4연승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중계 바둑TV - 류승희, 송태곤 (제6회 오청원배 준결승과 동시 중계)[A]
오로바둑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안형준

대한민국의 세 번째 주자로 이번 농심배 대표팀의 맏형 원성진이 출격했다. 셰얼하오의 연승을 끊어야 하는 임무에 베이징에서 열린 1라운드에서 설현준과 변상일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2패를 당한 상황이라 맏형으로써 역할이 더욱 막중해졌다. 게다가 상대인 셰얼하오는 제28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결승까지 올라가서[7] 기세가 올라올 대로 올라온 상황이다. 셰얼하오와는 제22회 LG배 조선일보 세계기왕전 통합 예선 이후 6년 만의 맞대결을 벌인다.

원성진이 셰얼하오의 기세를 막아내지 못했다. 바둑은 전체적으로 셰얼하오가 미세하게나마 우세한 흐름에서 전개가 됐는데 중간에 두 기사가 실수를 주고 받았으나 셰얼하오의 우세한 형세가 전체적으로 이어졌다. 원성진은 반집까지 추격을 해보았지만 마지막 공배를 메우며 결국 딱 반집으로 패배해버리고 말았다. 결국 셰얼하오가 4연승에 성공하면서 기세를 이어갔다. 원성진마저 패하면서 대한민국은 박정환과 신진서 단 둘만 남게되어 대회 4연패를 향한 남은 일정이 매우 험난해졌다.

3.2.2. 6국: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4승) vs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본선 6국
(2023년 12월 1일)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230수 백 불계승
셰얼하오 5연승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중계 바둑TV - 김여원, 박정상
오로바둑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백홍석

셰얼하오의 연승 질주가 계속되는 가운데 일본의 세 번째 주자로 일본 서열 1위 기전인 (대)기성전 타이틀 보유자 이치리키 료가 출격했다. 이야마 유타위정치가 11월 30일 열린 왕좌전 도전 4국 대국 스케줄로 인해 등판이 어려운 점을 감안해 일본에서 이치리키 료를 먼저 투입시킨 것으로 보인다.

6국은 셰얼하오가 매우 유리한 상황이었으나 셰얼하오가 공격적 성향을 보여주며 강수 일변도를 걸어가다가 바둑이 미세해지는 상황이 되었고, 이후 역전을 허용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치리키 료의 끝내기 실수가 나오며 다시 바둑이 셰얼하오의 분위기로 넘어가면서 바둑이 끝이 나버렸다. 결국 셰얼하오가 재역전승으로 5연승에 성공하며 누적 연승 상금은 3천만원이 됐다. 반면 이치리키 료는 이번 패배로 농심배 8연패가 됐다.

3.2.3. 7국: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5승) v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본선 7국
(2023년 12월 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246수 백 불계승
셰얼하오 6연승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중계 바둑TV - 김여원, 송태곤 (오청원배 결승 1국과 동시 중계)[A]
오로바둑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백홍석

대한민국의 네 번째 주자로 박정환이 출격했다. 마지막 대장으로 내정된 신진서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많은 연승을 해야하는 막중한 임무를 맡은 가운데 기세가 절정에 오른 셰얼하오를 상대하게 되었다.

팽팽하던 후반, 국면이 약간 불리하다 생각했는지 중앙에서 두 칸을 뛰는 실수를 저질렀고 이를 셰얼하오가 정확히 응수하며 패배했다. 박정환도 끝내 셰얼하오의 기세를 막아내지 못했다.셰얼하오는 6연승을 기록하였으며 1승 추가 시 농심배 최다 연승 기록과 동률이 된다. 그리고 한국은 이번 농심배 개막 4연패가 되면서 벼랑끝에 몰리고 말았다. 이제 대한민국의 남은 선수는 신진서 단 한 명만 남았다. 즉, 신진서가 혼자 6연승을 해서 역전 우승을 노려야 하는 절체절명의 상황으로 몰리게 된 것이다.

3.2.4. 8국: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6승) vs 파일:일본 국기.svg 위정치

본선 8국
(2023년 12월 3일)
파일:일본 국기.svg 위정치 192수 백 불계승
셰얼하오 7연승
[9]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중계 바둑TV - 김여원, 송태곤 (오청원배 결승 2국과 동시 중계)[A][11]
오로바둑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백홍석

위정치도 셰얼하오의 연승 행진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8국은 우하귀 수순부터 우세를 잡은 셰얼하오의 완승국으로 끝이 났다. 셰얼하오는 우하에서 우위를 잡은 후 부터는 우세한 형세를 끝까지 유지하며 위정치에게 항복을 받아냈다. 셰얼하오는 판팅위(2회), 양딩신에 이어 농심신라면배 단일 대회 최다 연승 타이인 7연승에 성공하며 절정의 기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이제 대한민국의 마지막 대장 신진서를 만나게 된다. 반면 일본은 위정치마저 패하며 이야마 유타만 남게 되었다.

3.2.5. 9국: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7승) v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본선 9국
(2023년 12월 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33수 흑 불계승
신진서 1승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중계 바둑TV - 류승희, 박정상 | K바둑 - 장혜연, 안형준
오로바둑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조혜연

설현준, 변상일, 원성진, 박정환이 단 1승도 올리지 못하며 벼랑 끝에 몰린 대한민국은 이제 최후의 보루 신진서가 나서게 된다. 상대는 절정의 기세를 이어가는 중인 7연승의 셰얼하오다. 두 기사는 제28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8강 이후 12일 만에 맞대결을 벌이게 됐다. 상대전적은 신진서가 7승 2패로 앞서있지만 최근 대국이 바로 12일전 삼성화재배에서 셰얼하오에게 대마가 잡혀 패한 바둑이었다. 신진서는 대표팀의 이번 대회 첫 승은 물론 개인적으로도 12일전 당했던 패배를 설욕해야하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신진서는 그 12일전의 패배를 완벽하게 설욕하며 대한민국의 이번 대회 첫 승을 안겨주었다.

9국은 신진서의 압도적인 완승국이었다. 신진서는 셰얼하오를 상대로 좌중앙에서 많은 이득을 보면서 우세한 흐름을 이어갔고 이후 조금 형세 추격이 있었으나 우세한 형세를 유지하는 중이었던 신진서는 여기서 더 나아가서 우변과 우상귀에서 인공지능도 발견하지 못했던 수읽기로 결정타를 날려 마지막엔 셰얼하오의 대마를 잡아내는데 성공해내며 대국시작 2시간 4분 만에 7연승의 기세를 달리던 셰얼하오에게 항복을 받아냈다. 신진서는 이번 승리로 22회 대회 5연승, 23회 대회 4연승, 지난 대회 마무리 1승, 이번 대회 첫 승까지 더해 농심신라면배 11연승에 성공했다. 셰얼하오가 7연승으로 농심배를 마치며 농심배 단일 대회 최다 연승 기록은 7연승으로 유지되었다.

3.3. 3R

3.3.1. 10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1승) vs 파일:일본 국기.svg 이야마 유타

본선 10국
(2024년 2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65수 흑 불계승
신진서 2연승
파일:일본 국기.svg 이야마 유타
중계 바둑TV - 류승희, 박정상 | K바둑 - 장혜연, 안형준
오로바둑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백홍석, 철면수심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최종라운드는 한일 양국의 대장전으로 출발한다. 셰얼하오의 7연승 기세를 잠재운 대한민국의 대장 신진서23회 대회에서 4연승을 했던 일본의 대장 이야마 유타를 만났다. 이 대국에서 패한 쪽이 이번 대회 3위가 되기 때문에 물러설 수 없는 한 판. 지난 부산에서 열린 2라운드에서 셰얼하오를 잡은 신진서에게는 이창호상하이 대첩을 재현하기 위한 두 번째 관문이다.

신진서는 두 번째 관문도 넘어섰다. 10국도 신진서의 완승국이었다. 신진서는 우변 전투에서 우세를 잡은 이후부터는 안정적인 내용으로 이야마 유타를 제압하며 결국 항복을 받아내는데 성공했다. 신진서는 연승에 성공하며 농심배 연승 기록을 12연승으로 늘렸고, 일본 기사 상대로는 41승 무패 행진을 이어갔다. 이야마 유타가 신진서에게 패하면서 일본은 본선 10국에서 이번 대회를 마무리 했다. 이제 제25회 농심신라면배는 신진서와 남은 중국 선수 4인(자오천위, 커제, 딩하오, 구쯔하오)의 대결로 펼쳐지게 됐다.

3.3.2. 11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2승) vs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천위

본선 11국
(2024년 2월 20일)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천위 224수 백 불계승
신진서 3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중계 바둑TV - 류승희, 박정상 | K바둑 - 장혜연, 안형준
오로바둑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김채영

신진서의 3연승 도전 상대는 중국랭킹 7위 자오천위가 됐다. 그리고 자오천위를 상대로 다시 한 번 압승을 거뒀다. 신진서는 우변에서 끼운 수와 우상귀 침투로 자오천위를 흔들리게 만들고 거기서 점한 우위를 바탕으로 시종일관 우세한 형세로 끌고 갔다. 중간에 우상귀에서 신진서가 수를 내러 갔으나 잘 되지 않았지만 결국 냉정한 수읽기를 통해서 우위를 지켰다. 이후 자오천위가 계속 변화를 구하려고 무리하게 공격해 들어갔으나 집차만 늘어나기만 했고 결국 마지막엔 우상귀에서 잡혀 있던 신진서의 돌이 살면서 빅이 나는 결과로 끝이 나며 3연승에 성공함과 동시에 연승 상금 1천만원을 확보했다. 또한 본인의 농심배 연승 기록은 13연승으로 늘렸다. 이제 중국은 2024년 2월 중국랭킹 1위 구쯔하오, 2위 커제, 3위 딩하오가 남았다.

3.3.3. 12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3승) vs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본선 12국
(2024년 2월 21일)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257수 백 2집반승
신진서 4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중계 바둑TV - 김여원, 송태곤 | K바둑 -장혜연, 안형준
오로바둑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고윤서

신진서의 파죽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신진서의 이번 대회 네 번째 상대이자 중국의 세 번째 주자는 커제가 됐다. 커제를 상대로 최근 6연승을 달리며 상대전적에서 동률(22전 11승 11패)을 맞춰 냈는데 신진서가 4연승은 물론 커제 상대로 처음으로 상대전적 우위에 오를지 여부가 관전 포인트. 이 대국을 승리한다면 농심배 본선 14연승의 이창호와 동률이 된다.

12국도 역시 신진서가 커제를 상대로 시종일관 우위를 지킨 가운데 완승을 거뒀다. 우변과 우상귀에서 이득을 보면서 유리한 형세를 만들어낸 신진서는 마지막까지 우위를 유지했고 안전하게 바둑을 운영하며 대국 시작 2시간 41분 만에 2집반을 남기고 4연승에 성공하며 누적 연승 상금 2천만원을 확보했다. 신진서는 이로써 커제 상대 7연승과 동시에 상대전적에서 2017년 이후 처음으로 앞서게 됐다. (23전 12승 11패) 그리고 이번 대회 4연승과 동시에 이창호의 농심배 본선 14연승 기록과 타이를 만들어냈다.

3.3.4. 13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4승) vs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본선 13국
(2024년 2월 2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189수 흑 불계승
신진서 5연승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중계 바둑TV - 김여원, 송태곤 | K바둑 - 장혜연, 안형준
오로바둑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김다영

멈추지 않는 신진서의 질주 속에 중국은 네번째 주자로 2000년생 동갑내기인 딩하오를 투입시켰다. 딩하오는 이번이 농심신라면배 데뷔전으로 한 해에 LG배와 삼성화재배를 동시 석권했던 두 기사가 맞대결을 벌이게 됐다.[12] 또한 신진서는 현재 LG배와 응씨배, 딩하오는 삼성화재배 타이틀을 보유 중이라 현역 메이저 타이틀 보유자들이 맞붙는 대결이기도하다. 신진서는 이 판을 잡으면 농심배 최다 연승 신기록을 달성하게 된다.

신진서가 이창호의 14연승을 뛰어 넘어 농심배 최다 연승 15연승 기록을 달성하고, 5연승에 성공했다. 중국랭킹 3위(2024년 2월) 딩하오를 상대로도 초반부터 압승을 거둔 바둑 내용이었다. 신진서는 우상귀 수순에서 많은 득점을 올리면서 우위를 계속 유지한 가운데 바둑을 펼치면서 초반부터 딩하오를 그로기 상태로 만들었다. 이후 잠시 템포를 늦추면서 추격을 허용했지만 딩하오가 실수를 하면서 그대로 다시 신진서의 페이스로 바둑이 흘러가며 승리를 거뒀다. 딩하오까지 잡아내며 이제 신진서는 중국의 마지막 대장 구쯔하오와의 최후의 일전을 남겨두게 됐다.

3.3.5. 14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5승) vs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

본선 14국
(2024년 2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49수 흑 불계승
신진서 끝내기 6연승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
중계 바둑TV - 류승희, 박정상[13] | K바둑 - 장혜연, 안형준
오로바둑 수순 중계 | 타이젬바둑 - 김다영

설현준, 변상일, 원성진, 박정환이 단 1승도 올리지 못하며 벼랑 끝에 몰린 가운데 등판했던 대한민국의 마지막 대장 신진서, 그러나 연승하는 내내 완벽한 내용의 바둑으로 거침없는 연승 행진 끝에 결국 중국의 마지막 대장 구쯔하오를 불러내는데 성공했다. 신진서의 19년 만의 기적의 상하이 대첩의 재현으로 농심배 대한민국의 4연패를 만들어 낼 지 주목이 되는 최종국이다.

최종국은 신진서가 중반 대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신화를 창조했다. 초중반까지 신진서가 압도적 우세를 가져갔으나, 중반 우변에서 연속된 실수가 나오며 우변의 흑 대마가 패가 되면서 구쯔하오의 우세로 바뀌었다. 그러나 패공방을 통해 우상귀 백돌과 좌하귀 흑돌 교환에서 큰 이득을 가져가면서 다시 신진서가 유리해졌다. 그리고 마지막에 1선 비마 끝내기 자리까지 찾아내 결정타를 날리며 승기를 확실히 잡았다. 결국 구쯔하오에게 항복을 받아내면서 신진서는 농심배 사상 최초의 6연승 끝내기이창호상하이 대첩을 19년 만에 재현하며 제25회 농심신라면배를 마무리했고, 대한민국은 통산 16번째 우승대회 4연패를 달성했다.

제25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우승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6번째 우승 / 대회 4연패)
}}}

4. 여담

5. 관련 문서


[1] 백산수배는 농심신라면배 1라운드와 3라운드 일정에 맞춰 대회를 진행하며 이 기간에 오전에는 백산수배, 오후에는 농심신라면배 대국이 진행된다.[2] 한국시간 오후 3시[3] 추첨은 족자를 펼쳐서 신라면 그림이 나오면 1국에서 대결하고 백산수 그림이 나오면 휴번을 하는 것으로 정했다.[4] 바둑TV는 전경기 중계, K바둑은 한국 기사가 출전시 중계한다. 오로바둑은 채팅창을 통한 수순 중계 해설자, 타이젬은 유튜브 '타이젬 TV'에 출연하는 해설자를 기재한다.[5] 목진석 대표팀 감독은 원성진 선수가 컨디션이 좋지 않아서 1차전 출전이 어렵다고 말해 이를 감안하여 2주전에 미리 오더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A] K바둑은 오청원배 중계가 예정되어 있다.[7] 참고로 해당 대회 8강에서 신진서를 잡았으며 결승에선 딩하오에게 1승 2패로 패해 준우승했다.[A] K바둑은 오청원배 중계가 예정되어 있다.[9] 농심배 단일 대회 최다 연승 타이[A] K바둑은 오청원배 중계가 예정되어 있다.[11] 중일전이다보니 오청원배 위주로 중계하고 중간에 농심배 상황을 전하는 식으로 중계했다.[12] 신진서는 2022년, 딩하오는 2023년에 LG배와 삼성화재배 우승컵을 나란히 가져갔다.[13] 대국이 6시를 넘어서 끝나서 한국바둑리그/2023-24시즌 중계로 인해 하이라이트는 다음 날 백산수배를 중계한 문도원 三단과 목진석 九단의 해설로 방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