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5 13:48:40

신진자동차

신진건설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의 시내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신진자동차(대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아자동차에 인수 합병된 구 신진지프자동차에 대한 내용은 거화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없어진 자동차 제조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구 신진자동차계
파일:kukje.png 파일:조선국산자동차.png 파일:새나라자동차 CI.png 파일:새나라자동차 CI White.png
국제차량제작 조선국산자동차
(구 조선자동차공업)
새나라자동차
파일:신진자동차 로고.svg 파일:거화.webp 파일:새한자동차 엠블럼.png
[[신진자동차|
신진자동차
(구 신진공업)
]]
[[거화|
거화
(구 신진지프자동차)
]]
새한자동차
(구 지엠코리아)
파일:동아자동차 심볼.svg 파일:대우자동차 로고.svg 파일:Bgw5abd4d5f39da8~3.png
동아자동차
(구 하동환자동차)
[[대우자동차|
대우자동차
]]
대우국민차
(생산: 대우중공업)
파일:GM대우 로고.svg 파일:자일대우버스 심볼.svg 파일:쌍용자동차 심볼.svg
GM대우
(현 GM 한국사업장)
[[자일대우버스|
자일대우버스
(구 자일대우상용차)
]]
쌍용자동차
(현 KG모빌리티)
구 삼성자동차계
파일:르노삼성자동차 로고.svg 파일:삼성자동차 및 르노삼성자동차 로고.png 파일:삼성자동차 및 르노삼성자동차 로고.png
[[르노삼성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현 르노코리아)
]]
삼성상용차 삼성자동차
현대자동차계 기아계 기타
파일:현대정공 자동차부문 엠블럼.jpg 파일:아시아자동차 로고.svg 파일:Proto-Motors-Logo-500x281.png
[[현대모비스 #s-5|
현대정공
(자동차 사업부문)
]]
아시아자동차
(기아자동차 CI 혼용)
프로토모터스
(현 어울림모터스)
{{{#!wiki style="margin: 0 -15px -5px" [관련 틀]
주요 제조사 | 소규모 제조사 | 없어진 제조사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없어진 자동차 브랜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구 신진자동차계
파일:kukje.png 파일:조선국산자동차.png 파일:새나라자동차 CI.png 파일:새나라자동차 CI White.png
국제차량제작 조선국산자동차
(구 조선자동차공업)
새나라자동차
파일:신진자동차 로고.svg 파일:새한자동차 엠블럼.png 파일:거화.webp
[[신진자동차|
신진자동차
(구 신진공업)
]]
새한자동차
(구 지엠코리아)
[[거화|
거화
(구 신진지프자동차)
]]
구 대우자동차계 구 쌍용자동차계
파일:대우자동차 로고.svg 파일:Bgw5abd4d5f39da8~3.png 파일:동아자동차 심볼.svg
[[대우자동차|
대우자동차
]]
대우국민차
(생산: 대우중공업)
동아자동차
(구 하동환자동차)
파일:GM대우 로고.svg 파일:Alpheon(White).png파일:Alpheon(Black).png 파일:쌍용자동차 심볼.svg
GM대우
(현 GM 한국사업장)
[[알페온|
알페온
(한국GM 제조 / 독자 브랜드)
]]
쌍용자동차
(현 KG모빌리티)
파일:자일대우버스 심볼.svg
[[자일대우버스|
자일대우버스
(구 자일대우상용차)
]]
구 삼성자동차계
파일:르노삼성자동차 로고.svg 파일:삼성자동차 및 르노삼성자동차 로고.png 파일:삼성자동차 및 르노삼성자동차 로고.png
[[르노삼성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현 르노코리아)
]]
삼성상용차 삼성자동차
현대자동차계 기아계 기타
파일:현대정공 자동차부문 엠블럼.jpg 파일:아시아자동차 로고.svg 파일:Proto-Motors-Logo-500x281.png 파일:에디슨모터스 심볼.svg
[[현대모비스 #s-5|
현대정공
(자동차 사업부문)
]]
아시아자동차
(기아자동차 CI 혼용)
프로토모터스
(현 어울림모터스)
에디슨모터스
(현 KGM커머셜)
{{{#!wiki style="margin:-16px -11px" [관련 틀]
주요 브랜드 | 소규모 브랜드 | 없어진 브랜드
}}} }}}}}}



신진자동차
新進自動車 | SHINJIN MOTORS
파일:신진자동차 로고.svg
대외용 로고[1]
파일:파일:신진자동차(1978~1980).webp
한글 레터링 (1978~1981)
파일:신진자동차(1980~1981).webp
한자 레터링 (1980~1981)
정식명 신진자동차공업주식회사
영문명 Shinjin Motor Company, Inc.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1955년[2]
명칭 변경일 1981년[3]
역대 자회사 하동환자동차 (이후 동아자동차)
지엠코리아 (GM 합작, 이후 새한자동차)
신진지프자동차 (AMC 합작, 이후 거화)
후신 새한자동차 (자동차 부문)[4]
거화 (지프 생산 부문)[5]
삼성건설 (기업 자체 후신)[6]

1. 개요2. 역사3. 차종
3.1. 소형차3.2. 중형차3.3. 트럭3.4. 버스
4. 역대 임원
4.1. 구 신진자동차

[clearfix]

1. 개요

1955년부터 1984년까지 신진그룹 산하에 있었던 대한민국의 사라진 자동차 제조사.

1960년대와 1970년대 중반까지 대한민국 최대의 자동차 회사였고, 신진자동차를 기반으로 한 신진그룹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재계 2~4위를 오간 대기업이었다. 하지만 기업의 거대화로 인한 부실로 1970년대 중반 해체되어 각기 다른 기업으로 인수되면서 사라졌다.

대우자동차와 그의 후신인 기업들에서는 연혁 등 모두 이 회사를 공식적인 모태로 여겼으나 현재 GM 한국사업장에서는 과거 연혁을 모두 인정하지 않고 미국 본사 연혁을 따르게 되면서 신진자동차와의 연관성을 부정 중이다. 다만 여전히 GM 한국사업장의 생산공장은 과거 신진자동차의 생산공장에서 이어져오고 있다.

2. 역사

1955년, 김제원-김창원 형제가 부산 전포동에 '신진공업사'를 설립하면서 미군으로부터 불하받은 GMC CCKW 폐차 섀시를 재생한 버스를 만들면서 자동차 사업을 시작했다. 1957년 '신진자동차공업(주)'로 새로 출범하고, 1960년에는 전포동[7] 버스 공장을 완공하였으며, 1962년에 나온 신진 H-SJ 25인승 마이크로버스는 일명 노랑차[8] 혹은 마이클[9]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면서 엄청난 판매고를 자랑했다.

1963년에 미군 지프 폐차 부품을 이용해서 일본 닛산블루버드 P310 (새나라자동차) 의 외형을 모방하여 만든 '신성호'라는 세단은 신진 자동차 최초의 승용차였으나, 재생 부품을 사용하다보니 어쩔 수 없이 조악한 품질과 특유의 수작업 공정 때문에 새나라 자동차보다 비싼 가격으로 판매가 매우 부진하였다.

새나라자동차가 특혜 시비로 망한 후 새나라자동차 인천 부평 공장[10]을 1965년에 인수했다.

일본 토요타와 기술을 제휴해 코로나 (1966년), 크라운 (1967년), 퍼블리카 (1967년) 같은 승용차를 내놓았는데, 특히 코로나 승용차는 1960년대 한국의 도로사정에 잘 맞는 자동차로 국내 승용차 시장을 싹쓸이하였다.[11]
파일:신진fb100lk버스2.jpg
파일:신진DB102lc버스.jpg

1966년에 일본 토요타와 기술을 제휴해 생산한 FB100LK 가솔린 버스는 폐차 재생부품이 아닌 규격화된 신품 부품만을 사용하여 만든 국내 최초의 대량 생산 기성품 버스로 1960년대를 대표하는 시내버스로 유명했고, 1968년에 내놓은 DB102LC 디젤 버스는 본격적으로 국내에 디젤엔진 버스 시대를 개막하면서 버스 = 디젤엔진 공식을 성립시키며 1970년대 초반에 가장 흔한 버스 중에 하나였다. 버스 이외에도 토요타, 히노와의 기술 제휴로 중대형 트럭도 만드는 등 그야말로 한때나마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을 싹쓸이하던 회사였다. 비슷한 시기인 1965년 4월에 파이오니어[12] 라는 국내 최초의 리어엔진 버스를 만들었으나 이쪽은 그다지 많이 팔리지 못해서 재미를 보지 못했다.

FB100LK 가솔린 버스, 코로나 승용차, DB102/105LC 디젤 버스의 성공 덕분에 본사는 사세확장에 나섰다. 1966년 신진자동차판매를 세우고 1968년 서울 양평동에 신진자동차운전학원[13]을 세웠다. 1967년부터 1975년까지는 하동환뻐스하동환 HDH 픽업트럭을 만든 하동환자동차까지도 인수 및 업무제휴하여 계열사로 두고 있었다.[14] 그 외에 1970년대 초반까지 현대기아[15], 신원개발[16], 한국카이사알미늄[17], 대원안전유리공업[18], 대원강철공업, 코리아스파이서공업[19] 등을 잇따라 세워 그룹을 형성시켰다.

한때 대한민국 최초의 자동차 재벌로서 1970년대 초반 까지만 해도 국내 최대이자 최고의 자동차 그룹이었고 재계 2~3위를 다툴 정도로 그 위세가 대단했다고 한다. 하지만 당시 독과점의 폐해와 그로 인한 폭리를 제대로 보여주기도 했다. 그 외에 1969년 경향신문을 인수하여 산하에 두었고, 1968년 학교법인 신진학원을 세워 1970년 신진자동차공업고등학교를 세웠고, 1969년 신진장학회를 세워 사회공헌에도 힘썼다. 최전성기 시절 대한민국 내에서 신진자동차그룹의 위상은 지금의 현대자동차그룹 정도의 위상이었다.

하지만 1969년에 적자투성이 업체 한국기계공업을 인수하면서 망조가 슬슬 보이기 시작하더니, 결국 저우언라이 중국 총리가 "저우 4원칙"을 발표하면서 토요타는 중국 진출을 노리기 위해 배신을 감행하며 철수하였고, 결국 1971년 미국 제너럴 모터스와 손잡고 부평공장을 지엠코리아로 분사시켰으나, 경영악화로 1976년에 한국기계와 세트로 한국산업은행 관리로 넘어갔고, 신진알미늄 역시 율산무역으로 넘어갔다.

반면 모기업 신진자동차공업은 1970년 미국 AMC와 기술 제휴를 하여 지프만 만들다가 1974년 지프사업부를 신진지프자동차공업주식회사#로 분사시켰다. 1976년 현대기아와 신원개발을 합병한 후 건설업으로 전환하며 신원개발로 사명을 변경해 자동차와 거리가 먼 회사가 됐다. 이후 신진지프, 신원개발, 코리아스파이서, 신진학원까지 4개 정도만 남아서 불과 수년만에 재계 2~3위를 다투던 신진자동차그룹은 기업 규모가 순식간에 크게 쪼그라들어버린 초라한 상태가 되어버렸고#, 1978년 모기업 신원개발이 삼성그룹에 팔렸고[20], 마지막으로 남은 자동차 관련 계열사 (주)거화와 코리아스파이서마저도 경영권 분쟁[21]과 김창원 자신의 해외 도박 파문 등으로 흑자도산하면서 현재는 1개 소규모 학교법인 규모(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법인 신진학원)에 불과한 신세가 되었다. 훗날 재단도 장남 김준식이 아닌 막내 김용식 에렉스(구 동전개발-에렉스에프앤비) 창업주가 이어받아야 했다.

1980년대에는 군용 차량도 여럿 양산했다. #

거화는 1984년 11월 20일 동아자동차에 인수됨과 동시에 29년만에 창립자 일가와 결별하게 되었으나 동아자동차도 거화를 무리하게 인수합병한 것이 화가 되어서 쌍용그룹에 인수되어 쌍용자동차 SUV부문이 되었다. 현재도 남아있는 코란도라는 자동차 브랜드가 이 회사의 마지막 유산중에 하나인 셈이다. [22] 코리아스파이서는 1985년 성신지주로 넘어간 후 1998년 '코리아정공'으로 바꿨으나, 2000년 위아에 매각된 후 2002년 한국DTS(현 현대트랜시스)에 합병됐다.

사실 본래 신진자동차는 토요타가 아닌 미쓰비시 자동차와 1965년에 기술제휴를 하려고 했었으나, 이 과정에서 들여왔던 100대의 콜트 1500이 특혜 논란에 폭리 논란이 있었다. 명목상으로 기술검토용으로 도입했었으나 기술검토용으로 도입하기에는 100대라는 댓수는 너무 과했고 정부에서도 당시 파격적으로 면세 혜택을 주는 바람에 정경유착 의혹이 번질 수 밖에 없었다. # 그리고 신진자동차도 이 콜트를 당시 돈으로 대당 35만원(1,300달러)에 도입해서 대당 84만원에 되팔이 하는 폭리까지도 취하였고 폭리로 취한 돈이 정치자금으로 흘러들어갔다는 의혹이 번지는 바람에 일명 콜트 파동이라고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면서 결국 신진자동차와 미쓰비시 자동차의 기술제휴는 취소되고, 그 와중에 토요타가 잽싸게 신진자동차를 꼬드기면서 기술제휴를 체결했다가 나중에 뒤통수 쳐버린 것이었다. 물론 기술제휴 계약을 체결할 당시에는 토요타가 미쓰비시 자동차보다 당연히 기업 규모도 큰데다가 토요타 코로나가 미쓰비시 콜트 1500보다 상품성도 훨씬 좋고 훨씬 잘팔리는 차종이니 신진자동차 입장에서는 혹할 만도 했겠지만 그나마 미쓰비시 자동차가 국내 업체와 기술제휴했던 외국 자동차 제조사 중에서는 갑질이 가장 적었던 편에 속했다.[23] 토요타는 예고도 없이 일방적으로 철수하여 뒤통수를 쳐버렸고, GM이나 AMC의 경우는 지분의 절반을 가져가다보니 갑질이 많았으며 심지어 GM은 경영권을 가지고 다툴 정도였었다. 콜트 파동만 아니었다면 신진자동차가 미쓰비시 자동차와 기술제휴를 체결하여 상황이 달랐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하지만 훗날 미쓰비시 자동차도 현대자동차가 자체 엔진 개발과 기술 자립을 추진하자, 이를 저지하기 위해 현대자동차의 대주주 지위를 이용하여 이현순 박사를 해임하는 등 회유와 압박을 가했다. # 결국 미쓰비시나 다른 기업들이나 철저히 기업의 이익에 맞게 행동한 것은 다르지 않다. 신진자동차가 미쓰비시와 기술제휴를 체결했더라도, 기술자립을 시도했을 때 미쓰비시가 갑질을 안 했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이후의 역사는 새한자동차, 거화[24][25] 문서 참고.

3. 차종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신진자동차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016F> 차급 단종 차량
소형차 코로나 · 신진 퍼블리카
중형차 크라운
트럭 중형트럭 · 에이스 · 랜드 크루저 픽업
버스 마이크로버스 · RC420TP · FB
}}}}}}}}} ||


3.1. 소형차

3.2. 중형차

3.3. 트럭

3.4. 버스

4. 역대 임원

4.1. 구 신진자동차



[1] 1955~1978까지는 CI로도 쓰였다.[2] 설립 당시 명칭은 신진공업.[3] 실질적으로 신진자동차의 정체성이 사라진 시점으로, 이때 자동차 사업을 처분한 뒤 (구)신원개발을 흡수하며 신진자동차는 신원개발로 사명을 변경하고 건설업체가 된다. 이후 삼성이 신원개발을 인수하고 (구)삼성종합건설을 흡수해 (신)삼성종합건설로 사명을 변경했으나 구포역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 이후 삼성건설로 변경해도 모자라 아예 삼성물산 건설부문으로 편입되면서 현재는 법인 자체도 사라졌다.[4] 원래 신진자동차의 자회사인 지엠코리아로 설립되었으나 신진자동차가 자동차 사업을 접고 신원개발과 역합병한 뒤 건설업에 올인하면서 자동차 부문은 지엠코리아가 넘겨받고 한국산업은행에 매각되어 새한자동차가 된다.[5] 새한자동차한국산업은행으로 넘긴 이후 사실상 과거 신진자동차의 자동차 제조사로써의 정체성을 가진 마지막 후신으로, 광고에서도 이땅의 자동차 산업을 이끌어온 선두주자 같은 어휘를 사용하여 과거 신진자동차의 후신임을 강조하였다.[6] 자동차 사업부문으로만 본다면 새한자동차로 이어졌지만, 이후 자동차 부문을 처분한 신진자동차는 (구)신원개발을 흡수합병하며 사명을 신원개발로 변경하고 건설업체가 되어버렸으며 삼성그룹이 이를 인수하여 계열사로 편입한 뒤 구 삼성종합건설을 역합병해 삼성종합건설삼성건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7] 2008년까지 자일대우버스의 부산 공장으로 남아있었으며 사무실 건물은 1960년부터 쓰던 건물을 철거 직전까지 계속 사용하였다. 하지만 자일대우버스 부산공장이 울산으로 이전하면서 해당 부지는 기존의 공장 시설이 모두 철거되었다.[8] 상당수의 마이크로버스가 노란색 도색으로 출고되었기 때문이다.[9] KBS스펀지 프로그램에 따르면 현재도 밀양시에서는 버스를 마이클이라고 부른다고 한다.[10] 지금의 GM 한국사업장 인천 부평 공장.[11] 다만 이 와중에도 캬라반 같은 경우처럼 거의 안팔린 차종도 있었다.[12] 토요타 DR10/15형을 기반으로 한것으로 추정된다. 초기형은 원형 2등식 헤드램프로 출시되었으나 1967년 경에 원형 4등식 헤드램프로 페이스리프트 되었다. #[13] 서울 양평동 본원을 비롯해 녹번동, 번동에 학원을 두었고 부산과 대구에도 학원이 있었다. 양평동 본원 자리에는 양평동현대6차아파트가 들어섰고, 녹번동 분원 자리에는 서울은명초등학교가, 번동 분원 자리에는 서울수송초등학교(종로구 수송동에 있다가 폐교한 수송국민학교를 계승)와 수송중학교가 개교했다.[14] 이 경우는 상공부 시책 때문이었다.[15] '기어'의 옛말. 1976년 신원개발에 합병되었다.[16] 건설회사. 이후 삼성그룹에 매각되어 삼성종합건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가 삼성물산에 흡수되었다. 여의도 동양방송 신사옥(현 KBS 별관)을 지은 회사가 바로 이곳이다.[17] 미국 카이사, 동방강건 등과 합작해 세운 기업. 경기도 광주군 서부면(현 하남시)에 소재했다. 당시 알루미늄 샤시를 생산했으며 1974년에 국내 최초로 국산 칼라 알루미늄 샷시를 생산하기도 하였다. 이후 신진알미늄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나 신진의 경영악화로 율산그룹을 거쳐 효성그룹에 인수되어 '효성알미늄'이 됐으나, 1988년 효성금속에 합병되었다.[18] 일본 우치다(內田)안전유리와의 합작사. 1970년 신진자동차에 인수되었다가 이후 경영악화로 한국유리에 인수되었다. 현 한국세큐리트.[19] 미국 데이나(DANA) 사와의 합작사. 인천 부평에 소재했다. 거화의 도산 이후 성신양회에 매각되었다가 현대자동차그룹으로 넘어갔다.[20] 이후 삼성종합건설로 바뀌었으나, 1993년 구포 참사가 일어나서 이미지 쇄신 차원에서 삼성건설로 바뀌었고 1995년 3월에 삼성물산에 흡수되어 삼성물산 건설부문으로 존속하고 있다.[21] 무려 부자 간의 경영권 분쟁이었다. 김창원 회장과 그 아들인 김준식 간의 경영권 분쟁이 원인이 되었다고 한다.[22] 그 외에 거화 시절부터 개발되어 시제품까지도 공개된 코란도 훼미리가 있었으나 거화의 흑자도산으로 주인이 여러번 바뀌면서 실제 출시는 쌍용그룹에 인수된 쌍용자동차 시절에서야 이루어졌다.[23] 당시 다른 일본 자동차 회사는 자동차 회사가 중심이 된 그룹을 이루고 있었고 중추 기업이라는 프라이드가 강했는데 미쓰비시 자동차는 오랜 시간 미쓰비시 중공업의 한 사업부문였고, 전전이나 전후나 여기는 조선, 항공 등 대규모 장치산업이 중심이여서 임원들의 발언권도 컸고 자동차는 미쓰비시 중공업 내부에서 변방이나 다름 없었다. 나중에 미쓰비시 자동차로 독립한 이후에도 중공업의 자회사에, 미국 크라이슬러와 합작으로 탄생하다 보니 자신부터가 모 회사의 갑질을 당하는 입장이였다. 이런 점이 이유일 듯. 여담으로 당시 일본과 기술제휴 한 모든 산업군 중에서 가장 갑질이 심한 산업이 자동차 산업이였는데 임원이나 엔지니어나 2차대전 시기의 군수기업 출신들이 대다수(일부는 아예 회사가 군수기업의 후신)라 그렇다. 막상 제휴를 해도 기술 이전에 가장 인색해서 최대한 핵심은 안 주려고 했다. 가장 갑질이 덜 한 미쓰비시조차 현대차가 엔진을 자체 개발 하려 할 때 별별 수를 다 써서 막은 것은 유명한 이야기.[24] 신진그룹의 마지막 후신이라 할 수 있는 거화가 동아자동차에 흡수된 후, 쌍용그룹으로 넘어갔다. 그리고 신진자동차의 직계 후신이라 할 수 있는 대우자동차의 승용차사업부는 지금은 GM에 완전히 인수되어 GM대우, 한국GM, 이후 GM 한국사업장이 되면서 신진자동차 시절의 색채는 아예 사라졌고 쉐보레 브랜드가 되어버리면서 신진자동차는 물론이고 대우자동차 시절의 연혁조차도 사실상 아예 흑역사가 된 상황이고(쉐보레 브랜드로 통폐합 되면서 자사 최초의 SUV를 1935년의 쉐보레 서버번이라고 홍보하고 있으며, 신진자동차나 대우자동차 시절 연혁을 그냥 흑역사로 여기고 있는데 제너럴 모터스 입장에선 자사 SUV 홍보가 최선이긴 하다.), 또 다른 직계후신이자 한때는 적통으로 여겨졌던 자일대우버스(구.대우자동차 버스부문)는 이미 신진자동차 시절의 색채가 거의 다빠진데다가 국내 법인을 2022년 7월 12일부로 폐업 하는 바람에 신진자동차의 적통이라고는 더 이상 볼수 없을 지경이 되어버렸으나, KG모빌리티의 경우는 비록 신진자동차 시절의 연혁을 전부 승계하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승계한 연혁(1974년~1981년)에 대해서는 최대한 존중해주고 있으며(KG모빌리티 기업 연혁만 봐도 신진자동차(거화) 시절의 연혁이나 헤리티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은 최대한 포함하고 있으며 KG모빌리티 홈페이지의 역사관 에도 신진지프자동차, 신진자동차, 거화 시절 자료들도 고스란히 있다.) 최초 창업자인 김창원 회장 시절에 명명된 신진자동차의 마지막 유산인 코란도라는 브랜드를 지켜내고 있는데다가, 김창원 회장 시절에 착수한 신진자동차의 마지막 프로젝트인 KR-600은 이후 코란도 훼미리로 출시되어 그 후신들인 무쏘(대우 무쏘, 뉴 무쏘)-렉스턴(뉴 렉스턴, 렉스턴 II, 렉스턴 II 유로, 슈퍼렉스턴, 렉스턴W)-G4 렉스턴(올 뉴 렉스턴)으로 현재도 5도어 스테이션 웨건 형식의 프레임바디 SUV 계보가 이어지고 있으며, 신진자동차 시절 이후 다시 픽업트럭을 만드는 등 비록 사명은 여러차례 변경되었어도 과거 신진자동차의 색채가 어느 정도 남아 있다.[25] 더군다나 2022년에 출시한 신차인 토레스의 경우도 KR-600의 디자인 헤리티지도 어느정도 이어 받았으며, 출시 예정인 차기 코란도(KR10) 또한 과거 신진지프에서 부터 내려오는 디자인 헤리티지를 계승하기로 했다. 오히려 2022년 현재 기준으로 보면 KG모빌리티가 신진자동차의 적통에 가장 가까울 정도다. 대우자동차 후신 중에서는 타타대우모빌리티가 신진자동차의 적통에 가장 가까울 정도이며, 신진 에이스새한/대우 엘프를 거쳐 타타대우 더쎈으로 계승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타타대우모빌리티의 경우는 공식적으로는 군산 상용차 공장이 완공된 1995년을 창립연도로 치고 있기 때문에 연혁에서 1995년 군산 상용차 공장 완공 이후만 포함하고 있으며, 그 이전의 신진자동차, GM코리아, 새한자동차, 군산 상용차 공장 완공 이전의 대우자동차는 연혁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대우자동차 시절부터 생산한 한국GM의 차량인 다마스라보가 2021년, 쉐보레 스파크가 2023년에 단종된 반면, 또다른 대우자동차 시절부터 생산한 차량인 차세대트럭타타대우 노부스로 페이스리프트하여 생산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