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32:01

아랍에미리트/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역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서아시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레바논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예멘 오만 요르단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카타르
쿠웨이트 키프로스 튀르키예 팔레스타인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대 중/근세 근현대

고대 이슬람
<colbgcolor=#000> 헤자즈 셈어파
아라비아인
나바테아 쿠라이시 부족 무함마드 시대 이슬람 제국
타무드
네지드 킨다 왕국

야마마
가산
왕국
라흠
왕국
걸프
B
Q
K
U
딜문 우바이드
아카드 제국
아시리아 제국
신바빌로니아 아케메네스 왕조 그리스령 틸로스 게르하 파르티아 왕조 사산 왕조
오만 마간(추정)
아라비아인
마카 사트라프 (독립)
예멘 사바 사바 왕국 아완 왕국 사바 왕국 히미아르 왕국 하시비 부족 히미아르 왕국 유대계
야타르 왕조
기독교
왕조

(악숨
속국)
킨다 왕국
마인
카타반
하드라마우트
힘야르
악숨
※ B는 바레인, Q는 카타르, U는 아랍에미리트, K는 쿠웨이트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대 중/근세 근현대

<colbgcolor=#000> 헤자즈 이슬람 제국 툴룬 왕조

이크쉬드 왕조 파티마 왕조 메디나-메카 샤리프 아이유브 왕조 맘루크 왕조 오스만 튀르크 제국
네지드 압바스 왕조 카라마트



아랍 부족들 (베두인)
바레인
쿠웨이트
카라마트 압둘 카이스 우윤
왕조
유스푸르 호르무즈 왕국 자르완 왕조 자브르 왕조 <colbgcolor=#006400> 포르투갈 포르투갈 사파비 왕조 야아리바 왕조 - 오만 제국
Q 오스만
U 이바디 운동 부와이흐 왕조 오만
이맘국
셀주크 제국 나브하니 왕조 나브하니 왕조 호르무즈 왕국 야아리바 왕조
오만



예멘

유피르 왕조 파티마 술라이히 왕조 술라이히 왕조 주라이 왕조 함단 왕조 아이유브 왕조 라술
왕조
예멘 타히르 왕조 맘루크 왕조 오스만 제국 오스만 오스만
유피르 예멘 대반란
지야드 왕조 노예 나자흐 왕조 마흐디 왕조 타히르 하심 왕조
이바디 세력
※ Q는 카타르, U는 아랍에미리트 / 연두색 : (수니파) 아랍계 왕조, 진한 초록색 : 시아파나 하심 가문 왕조, 자주색 (짙은 핑크) : 이란 계통 / 연한 빨강 : 토착 예멘계 왕조. 쿠웨이트는 오만 제국의 지배를 받지 않고 사파비, 오스만의 지배를 받음.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대 중/근세 근현대

근대 현대
헤자즈 오스만 튀르크 제국 사우드 왕조 알리 왕조 메카 샤리프 헤자즈 왕국 헤자즈
- 네지드 왕국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colbgcolor=#000> 네지드 사우드 왕조 와하비 운동 네지드 토후국 라시드 (하일)
(자발 샤마르)
바레인
쿠웨이트
나디르 샤 아부 샤흐르 칼리파 왕조 <colbgcolor=#800080> 바레인
쿠웨이트 셰흐국
오스만 영국령 걸프 쿠웨이트 왕국
바레인 왕국
카타르 할리드
우트반
오스만 카타르
UAE 토후 알 사이드 왕조 트루셜 스테이트 아랍 토후국 연합
오만 나디르 샤 알 사이드 왕가
오만 술탄국
예멘 자이디 이맘 하심 왕조 오스만 무타와킬 왕국 북 예멘 예멘 공화국 최고정치위원회
라헤즈 영국령 아덴 남아라비아 남예멘 대통령지도위원회
알루아키 술탄
※ 연두색은 아랍계 왕조, 조금 진한 초록색은 시아파나 하심 가문 왕조, 연한 빨강은 토착 예멘계 왕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20%,transparent 20%), linear-gradient(to bottom, #00732b 13%, #FFF 13%, #FFF 87%, #000 87%)"
<col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ff000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딜문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트루셜 스테이트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알나얀 왕조 · 아랍에미리트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 BRICS
경제 경제 전반 ·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국방 아랍에미리트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 아부다비 그랑프리 · 아랍에미리트/관광 · 아랍에미리트 영화 · 아랍어
인물 자이드 빈 술탄 알나얀 · 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얀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지리 아부다비 · 두바이 · 무산담 반도
민족 걸프 아랍인(방글라데시계 · 아르메니아계)
}}}}}}}}} ||


파일:리와 오아시스.jpg
알나흐얀 왕가가 유래한 리와 오아시스
파일:바스타키야 두바이 아랍 이란.jpg
두바이의 구도심
파일:이마라트 아즈만 성채.jpg
18세기에 지어진 아즈만 성채

1. 영국의 보호령2. 독립 이후

1. 영국의 보호령

그전에는 작은 토후국들이 난립하던 지역이었는데, 해적이 성행해서 영국인들은 이곳을 '해적 해안', 트루셜 해안, 오만 해안으로 불렀다.

1819년에 영국은 이 트루셜 해안 일대의 실권자이던 카와심 가문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1820년 영국의 보호로 이어지게 된다. 영국은 트루셜 해안 일대를 식민지화하지 않고 스스로 통치하도록 만들었다. 영국 입장에서는 전략적 거점으로만 삼아 활용할 계획이었기 때문이다.

파일:Al_Falayah_Fort.jpg
18세기에 세워져, 1820년 영국과 걸프의 아랍 토후국들 (아부다비, 샤르자, 아즈만, 움 알쿠와인, 라스 알카이마) 간의 보호 협정이 체결되어 아랍에미리트의 전신인 협정 국가들 체제가 시작된 라스 알카이마의 알 팔라야 성채.

1820년 트루셜 스테이트 성립[1] 이후에도 1819년 전쟁을 했던 카와심 가문이 다시 공격을 감행을 하였고, 영국은 방어에 성공한다. 결국 영국의 인적, 물적 피해가 커지자 이런 해적 행위를 조정하기 위해 영국 정부는 1820년부터 각 토후국들과 여러 조약(truce)을 맺고 지역민의 해적 행위를 종결시켰다. 이 지역은 그래서 트루셜 스테이트 또는 트루셜 오만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1892년부터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이 지역은 1873년부터 1947년까지는 영국령 인도 당국에서 관리하다가 인도의 독립 이후에는 영국 외무부에서 관리했다. 1952년에 푸자이라가 영국으로부터 승인받아 마지막으로 트루셜 오만에 가맹했다.

이 지역은 딱히 경제적으로 성장하기 힘든 토양 탓으로 매우 빈곤한 지역이었으며, 주력 산업이었던 진주 산업 또한 1920년대 일본의 진주 양식 성공을 기점으로 완전히 쇠락한다.

1930년대에는 대공황 여파까지 겹쳐서 돈 대신 대추야자를 화폐 대용으로 삼을 정도로 극악한 경제난에 빠진다. 이러한 고난은 1962년 아부다비에서 석유 생산에 성공하기 전까지 계속되었다. 1952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 지역 일부의 소유권을 주장했는데, 다시 영국이 보호 조약에 따라 빼앗긴 지역을 되찾게 된다.

파일:아랍에미리트 구성 토론.jpg
1968년 개최된 페르시아만 토후국들의 연합을 결성하기 위한 회담. 이 회담에는 지금의 아랍에미리트를 구성하는 토후국들과 바레인카타르가 참여했다. 이후 바레인과 카타르, 라스 알카이마 토후국은 내정간섭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연합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한다.[2]

2. 독립 이후

1968년에는 앞으로 영국군의 주둔이 끝나고 독립적인 나라를 세울 것을 트루셜 스테이트에 알렸으며, 이후 성공적으로 그 과정이 성사되었다.

1971년 7월 9개 토후국들의 연합 국가가 임시 출범했으나, 바레인과 카타르, 라스 알카이마가 논의에서 빠지면서 그해 12월 2일 6개 토후국으로 정식 출범했다. 이때 가맹하지 않았던 라스 알카이마는 이란의 연안 섬들 점거로 위협을 느껴 이듬해인 1972년 2월 10일에 뒤늦게 가입했다. UAE 출범 이전에는 각 토후국마다 우표도 따로 발행했는데 옛날 우표들을 보면 이런 토후국 명의로 나온 우표도 보인다.

파일:jumeirah-archaeological-site-EMIRATES1021-f97ba2fe538146b8a0e51d9a61d2d8ec.jpg
중세 도시 유적과 두바이 스카이라인

2022년 1월 17일 아부다비 국제공항과 석유 시설에 공습이 발생해 3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당했다.

2024년 4월 16일(현지시간) 두바이 전역에 폭우가 발생했다.

[1] 아랍에미리트는 공식적으로 1820년의 조약을 국가 성립의 기초로 본다.[2] 후술하겠지만 라스 알카이마는 이후 뒤늦게 아랍에미리트에 가입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78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