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0:16:58

아레스 가이스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슈퍼로봇대전/오리지널 메카닉
RRR-X7
아레스 가이스트
アレス・ガイスト
ALLES GEIST
파일:아레스 가이스트.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제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 형식번호 RRR-X7
분류 인간형 기동병기
소속 가이아 세이버즈
전고 35.3m
중량 188.1t
무장 빅 라이트(+스턴 라이트) x 1

레드 혼 x 2
스톰 레이 x 2
동력원 파우 케른
개발자 엔지 오즈누
파일럿 드방 오그
※ 카탈로그 스펙은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 기준
}}}}}}}}} ||
1. 개요2. 설정
2.1. 엔트리히 가이스트
3. 설정 : 리얼로봇 레지먼트4. 무장
4.1. 아레스 가이스트
4.1.1. 무장4.1.2. 기술
4.2. 엔트리히 가이스트
4.2.1. 무장4.2.2. 기술
5. 활약6. 관련 기체7. 게임8. 기타

1. 개요

<nopad>
うつろな魂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등장 기체. 《리얼로봇 레지먼트》의 최종보스기로 데뷔하였다.

2. 설정

'프로젝트 이데아란츠'의 일환으로 엔지 오즈누 박사가 제작한 '가이스트 시리즈'에 속하는 기체. 기체명은 독일어로 '모든 망령'을 의미한다. PTX-003C 알트아이젠 등의 부품으로 급조되어 범용성을 갖춘 RRR-X3 프리케라이 가이스트와 달리 '가이스트 시리즈'가 추구하는 본래의 사양대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대형 특기에 가까운 성능을 갖게 되었다. 기체의 외형은 마치 생물과 기계가 융합한 듯한 인상을 주며, 불균형한 크기의 왼팔과, 그 왼팔 이상의 크기로 오른팔과 일체화하고 있는 복합 병장 '빅 라이트'가 특징이다. 다만 중장비·중장갑으로 인해 운동성이 낮다는 약점이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동력원인 '파우 케른'으로, 이는 '첸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아인스트의 유체를 조작해 만든 생물병기 '예츠트 레지세이아'의 코어를 유용한 것이다. 동력원으로서의 '파우 케른'은 매우 높은 출력을 자랑하는 제너레이터이기 때문에, 본기는 근접과 사격전 모두에서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있는 파워 파이터로서 완성되었다. 또한 예츠트의 산물은 '파우 케른' 뿐만 아니며, 기체의 근조직과 상피조직, 신경조직에도 그 세포가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병기의 범주를 넘어선 기술까지 투입된 이유는 아인스트의 의사체인 예츠트를 인간의 손으로 완전히 제어 가능한 반생체 병기로서 활용하는 것. 즉, 언젠가 PTX-007-UN 라인 바이스리터와 같은, 혹은 그를 능가하는 기체를 인위적으로 생산하기 위함으로, 본기는 그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실험기인 것이다. 이러한 경위로 인해 '파우 케른'도 단순히 동력원으로서의 기능으로만 한정된 프리케라이 가이스트에 채용된 것과 달리 본기에는 예츠트의 힘을 온전히 품고 있는, 이른바 완전한 상태의 것이 사용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만일 '파우 케른'이 폭주할 경우, 기체와 파일럿 모두 예츠트화 할 수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드방에게 주어진 본기는 '가이아 세이버즈' 소속 베타 세이버의 기체로서 수차례 강룡전대와 격돌한다. 그러는 한편, 드방에게는 본기를 최강으로 만들기 위한 목적과 도중에 알게 된 '이데아란츠'의 숙명에서 벗어나기 위해 최후의 아인스트인 알피미와 그녀가 탑승한 페르죈 리히카히트를 쫓아 흡수하려고 한다. '파우 케른'은 아인스트의 모조품인 예츠트의 산물이지만, 우주에서 벌어진 전투 중 그녀와 공명하여 기체의 성능이 더욱 향상된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그녀를 완전히 흡수한다면 더욱 높은 경지로 도달할 수 있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았던 것이다. 이후 목적에는 달성하지만 그 에너지를 제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고, '파불라 포레스'에서의 전투에서는 '크로스 게이트'의 에너지까지 이용하려고 하다가 그것이 독이 되어 흡수한 알피미까지 토해 버리고 만다. 그 순간, 드방과 공투하고 있던 엘데 밋테는 그가 약해진 틈을 노려 AI1의 진화의 양식으로서 흡수. 그 AI1을 아다마트론이 재차 흡수하면서 아이러니하게도 타인의 힘을 빼앗아 진화를 이룩한 본기는, 반대로 누군가의 힘의 양식이 되어 버린 것이다.

결국 본기는 강룡전대가 아다마트론을 파괴할 때까지도 내부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기체는 소실되고 파일럿인 드방은 사망했을 것으로 여겨졌으나 시간이 흘러 '크로스게이트 버스트'가 발동하고 우주에서 임무를 수행 중이던 하가네 소속의 'PTX팀' 앞에 새롭게 진화한 그 모습을 드러낸다.

2.1. 엔트리히 가이스트

엔트리히 가이스트
エントリヒ・ガイスト
ENGLICH GEIST
파일:엔트리히가이스트.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제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 형식번호 -
분류 반인반이형 기동병기
소속 -
전고 35.3m
중량 240t
무장 빅 라이트닝 x 1
레드 혼 x 2
크라이시스 레이 x 2
동력원 파우 케른
개발자 엔지 오즈누
파일럿 드방 오그
※ 카탈로그 스펙은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 기준
}}}}}}}}} ||
「봉인 전쟁」 종반, 강룡전대와의 전투에서 패배 후 AI1을 거쳐 아다마트론에 흡수되어 소멸했으리라 여겨진 RRR-X7 아레스 가이스트가 '크로스게이트'의 경계 내에 떠돌고 있던 다량의 부념과 한계를 초월하고자 한 드방 오그의 강한 의지에 호응한 '파우 케른'의 영향으로 보다 강하게 진화한 모습. 기체명의 '엔트리히(Englich)'는 독일어로 '마지막'을 뜻하며, '마지막 망령'으로 해석되는 '엔트리히 가이스트'란, 곧 '가이스트 시리즈'의 최종형이자 진화를 거듭해온 '아레스 가이스트'의 최종 도달점을 의미한다. 본 명칭은 본기로부터 제정신을 되찾은 파일럿 '드방 오그'가 명명하였다.

활성화된 '파우 케른'의 영향으로 그 모습은 아인스트에 가까워졌다. 외형상 가장 특징적인 거대한 날개로 하여금 지금껏 이상의 기동성과 운동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날개를 포함해 왼팔이나 꼬리 등, 유기적으로 구성된 부분은 신축과 증식, 크기 확장이 가능해져, 변칙적인 공격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자신의 신체 일부나 전체에 전류를 흘릴 수도 있어, 여러 개로 증식시킨 꼬리로 상대를 꿰뚫어 구속한 후 전격을 가하는 등의 공격도 가능하다.

본기는 '크로스게이트 버스트' 당시, 라마리스와 함께 게이트에서 빠져나와 강룡전대 앞에 모습을 드러냈으며, 초기에는 파일럿인 드방이 기체에 흡수되어 있었기 때문에 무인 상태로 자립 행동하고 있었다. 자립이라고는 해도, 짐승과 같이 마치 본능에 근거한 행동만을 수행했으며, 한편으로는 아리에르 오그만 노리는 등, 그 의지의 근원에는 드방이 깊게 관여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후 다크브레인의 수하인 '크리스털 드래군'과 '스컬 나이트', '데브데다비데'는 '다크 브레인'을 부활시키기 위해 개명뇌를 대체할 새로운 빙의대로서 본기를 노획. '크로스게이트'에서 대량의 라마리스를 불러들이려고 했지만, 의도치 않게 'XN-L'과 화신함 '그랜드 레드페놋사'를 끌어들이고 말았다. 이때 튕겨져 나간 본기는 그 이전, 아리에르의 목숨을 건 필사적인 호소 끝에 제정신을 되찾은 드방이 제어권을 되찾고 아리에르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 강룡전대에 협력한다.

3. 설정 : 리얼로봇 레지먼트

엔지 오즈누 박사에 의해 제작된 '가이스트 시리즈'에 속하는 기체. 기체명은 독일어로 '모든 망령'을 의미한다. PTX-003C 게슈펜스트 Mk-lll 등의 부품으로 급조되어 범용성을 갖춘 RRR-X3 프리케라이 가이스트와 달리 '가이스트 시리즈'가 추구하는 본래의 사양대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대형 특기에 가까운 성능을 갖게 되었다. 또한 본래 본기 단독으로는 '강력한 기동병기'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않지만, 에너지나 사건의 흐름을 관측・컨트롤할 수 있는 '드방 오그'가 탑승하게 된 것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상한은 있지만 기체 주위의 에너지를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이것의 응용으로 공간 도약 능력도 갖추고 있어, 둔한 기체임에도 불구하고 신출귀물하게 움직이고 풋워크와 같은 가벼운 행동조차 실시할 수 있다.

완성된 본기는 자기보다 더 완전한 '이데아란츠'가 제작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 드방 오그가 엔지 오즈누 박사를 살해하여 강탈. 이후 그는 '이데아란츠'가 만들어진 목적대로 인류의 지배자가 되어 자신의 운명을 바꾸고자 하였으며, 본기는 그의 계획을 실현할 힘으로서 사용되었다. 이후 최종결전에서는 자신의 능력이 불완전하다고 자각한 드방이 '불완전하다는 것은 곧 성장의 여자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 기체가 붕괴될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무리한 거대화를 실시하였다.

4. 무장

4.1. 아레스 가이스트

4.1.1. 무장

파일:캐논아레스.png}}} ||
설정화
오른팔과 일체화되어 있는 대형 복합 병장. 강력한 개논포로, 원거리에서 위력을 발휘한다.
* 스턴 라이트
'빅 라이트'에 장착되어 있는 근접전용 장비. 스턴건 타입의 장비로, 근거리에서 상대에게 전격을 가한다.
* 스톰 레이
파일:아레스포스레이.png}}} ||
설정화
양 어깨에 탑재된 레이저포. RRR-X3 프리케라이 가이스트의 '포스 레이'에 대응되는 장비이다. 사용시 다수의 붉은 빔이 마치 호밍 레이저와 같이 곡선을 그리며 상대에게로 향한다. 또한 '포스 게이'와 달리 착탄 지점에 불기둥을 일으키는 등, 더욱 높은 위력을 지니고 있다.

4.1.2. 기술

4.2. 엔트리히 가이스트

4.2.1. 무장

파일:총 설정화.png}}} ||
설정화
오른팔에 설치된 대형 복합 병장. 본기와 함께 '빅 라이트'가 진화한 무장으로, 포구는 괴물의 턱과 같은 커버로 가려져 있지만, 사용시 마치 입을 벌리듯 커버가 전개되어 모습을 노출시킨다. 발사되는 빔은 번개를 두르고 있으며, 이전보다 높은 위력을 발휘한다.
* 크라이시스 레이
양 어깨에 탑재된 레이저포. 본기와 함께 '스톰 레이'가 진화한 것으로, 무장의 메커니즘은 동일하지만 위력은 훨씬 향상되어, 본 장비에 의한 폭발 구름이 멀러시도 관측될 정도이다.

4.2.2. 기술

5. 활약

파일:붙잡힌잉그.png
어느 날 밤, 조직을 탈주하려는 목적 불명의 탈주자를 쫓아 부대를 이끌고 그의 앞길을 막는다. 원래는 곧바로 탈주자가 탑승한 캐니스를 파괴할 생각이었지만, 아리에르의 만류로 3분의 유예를 주며 사태를 관망. 그러나 그가 라인을 넘어섰을 때, 고속으로 돌격하여 오른팔의 캐논으로 그의 기체를 포착해 끝장을 내려고 하지만, 그는 망설임 없이 자폭을 시도한다. 결국 탈주자의 추적 임무는 싱거운 결말과 너무나도 망설임 없이 자폭을 행동에 옮긴 그의 결단에 대한 의아함만을 남기고 종결된다. 한편 함께 추적에 나섰던 아리에르 오그는 이 임무에서 자신의 소속인 '가이아 세이버즈'에 수상함을 느끼고 자신들의 아버지와 같은 엔지 오즈누 박사의 죽음에 대한 진상을 조사하게 된다.

시간이 흘러 아리에르는 3년 밖에 살 수 없다는 이데아란츠의 수명에 관한 문제와 오즈누 박사가 누군가에게 살해 당한 것이라는 진실을 알게 되고 에릭 왕의 도움을 받아 RRR-X3 프리케라이 가이스트를 이끌고 탈주. 드방은 아레스에 탑승해 그녀를 추적한다. 도달한 곳은 테슬라 라이히 연구소. 그곳에서 우연히 이전의 탈주자. 즉, 잉그 윗슈강룡전대의 멤버로서 살아있다는 것을 알게 된 드방은 덤벼오는 잉그와 아리에르를 동시에 상대하게 되지만, 그들의 저항과 코드 '이블'의 등장으로 인해 퇴각한다.

이후의 재회는 우주. '헤븐즈 게이트'로 향하던 하가네와 조우하던 중, '파우 케른'이 알피미와 공명하여 파워업하는 것을 보고, 그녀를 손에 넣으면 분명 이전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강해질 거라고 확신하여 그 뒤를 끈질기게 쫓는다. 게다가 「봉인 전쟁」 중반, 엘데 밋테로부터 '이데아란츠'의 수명이 3년 뿐이라는 것을 듣게 된 드방은 더욱 조바심에 생겨 '가이아 세이버즈'로부터 탈주. 이제 막 회복한 알피미를 추적해 흡수하는 데에 성공한다. 그러나 알피미를 손에 넣는 순간, 그녀의 힘이 저하되어 흡수를 해도 파워 제어에 어려움을 겪고 쿠스토스의 공격으로 인해 간신히 도망쳐 잠적한다.

이후 강룡전대가 페르펙티오를 쓰러뜨린 후 파불라 포레스에 침입해 모습을 드러낸다. 여기에서 '크로스게이트'의'에너지를 흡수하지만, 그 방대한 에너지양을 견디지 못한 본기가 알피미를 뱉어내면서 강룡전대에게 패배. 기체는 AI1에 흡수되어 진화의 양식이 되고, 그 AI1은 아다마트론에게 흡수되어 최종적으로 소멸했을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종전 후 발생한 '크로스게이트 버스트' 당시. 라마리스와 함께 게이트에서 탈출해 다시금 출현. 보다 진화한 '엔트리히 가이스트'로서 강룡전대를 공격한다.[1] 마치 기체 그 자체가 의지를 갖고 행동하는 듯 했으며, 염동력자들이 느낀 바로도 기체 내에 파일럿인 드방의 의지는 없었다. 다만 이상하리 만큼 아리에르만을 노렸기 때문에, 그녀는 아직 드방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가능성이 있을 거라 믿고 행동하게 된다. 한편 본기에 주목한 다크 브레인 군단은 다크 브레인 부활의 제물로서 본기를 포획한다.

이후 골라이큰르와 가디소드, 퓨리가 강룡전대에서 패배한 시점, 마침내 다크 브레인 군단은 행동을 일으켜 본기와 라마리스를 크로스 게이트 위에 올려 부활의 의식을 시작한다. 이를 마지막 기회라고 여긴 아리에르는 크로스 게이트 중앙의 본기를 공격해 필사적으로 드방을 부르며, 마침내 드방의 정신을 일깨운다. 하지만 이후 의식이 시작되고 본기는 드방과 함께 제물이 되는 듯했으나, 라마리스와 함께 크로스게이트로부터 튕겨져 나간다. 그리고 그 자리에는 XN-L이 강림한다. 이에 정신을 차린 드방은 자신을 구해준 아리에르와 보답하고 그녀와 함께 살기 위해[2] 본기를 제어하는 데에 성공. 강룡전대에 협력해 최종결전에서 활약한다.

종전 후 기체는 연방에 의해 회수되어 해석 작업이 진행된다.

5.1. 리얼로봇 레지먼트

저산보다 뛰어난 '이데아란츠'가 만들어지면 안된다고 생각한 드방 오그가 엔지 이즈누 박사를 살해한 뒤, '가이스트 시리즈' 중 1기로서 개발된 본기를 이끌고 탈주. 달의 연구 시설을 파괴하는 만행을 저지른다. 이에 남매라고 할 수 있는 아리에르 오그는 RRR-X3 프리케라이 가이스트를 몰고 그를 막기 위해 추적을 개시하지만, 불완전한 기체인 프리케라이로는 완전한 '파우 케른'을 가진 본기에 대항하기에는 역부족이었기 때문에 아 바오아 쿠의 전투에서 프리케라이를 반파시킨다. 그러나 뒤이어 쫓아온 단쿠가겟타 드래곤, 컴배틀러 V의 공격에 열세에 몰려 프리케라이에게 끝장을 내지 못하고 퇴각한다.
아레스 가이스트의 진화
달의 애너하임에서 벌어진 최종 결전에서는 끝내 아리에르에게 패배하게 되지만, 자신이 미완성이라면 더욱 진화할 성장할 여지가 있다'고 말하면서 '파우 케른'의 능력을 개방해 기체를 대형화. 동시에 모습은 괴물의 형상으로 바뀐다. 하지만 이마저도 격파되었고 결국 최후의 발악으로 달 상공에서 거대 빔 포격으로 아리에르 일행을 없애려하지만, 프리케라이의 리볼빙 스테이크에 코어가 꿰뚫려 파괴 당하고 만다.

6. 관련 기체

7. 게임

7.1. 리얼로봇 레지먼트

1스테이지(아 바오아 쿠)와 최종 스테이지(월면 애너하임)의 보스로 등장. 1스테이지에선 보스방이 좁아 공격을 피하기 힘들고 공격 하나하나가 강력하지만, 체력이 낮아 기력을 모아 필살기로 집중 공격을 가하면 쉽게 클리어할 수 있다. 최종 스테이지에서는 한 번 격파될시 변신해서 다시 싸우게 되는데, 공격 패턴은 변신 전의 것을 강화한 것 뿐이지만, 어깨에서 거대 레이저를 긁듯이 발사하는 공격과 보디 프레스 공격이 추가된다.

7.2.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

무장 연출집

보스 캐릭터가 많은 본작에서 프롤로그에서부터 등장해 총반부까지 살아남는다. 다만 숙련도를 어느 정도 모아야 개방되는 하드 루트를 통해서만 결착을 낼 수 있다. 특수능력으로는 'HP/EN회복(小)'를 겸비.

기력이 쌓이면 배리어 관통 공격, 거리를 벌리면 ALL 공격을 해오기 때문에 사각은 없는 데다, 파일럿인 드방 오그가 파일럿 스킬로 반격시 1.2배의 데미지를 주는 '리벤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겉으로 보이는 수치 이상의 격렬한 저항을 해오는 강적이다. 또한 본기와 결착을 낼 수 있는 '라스트 크라이' 에피소드에서는 필살기인 CUN이 주는 데미지가 높기 때문에, 꽤 위협적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해당 에피소드의 진정한 보스인 'AI1'의 통과점에 불과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엄청 높은 수준까지는 아니다. 한편으로는 회복 능력도 낮고, 배리어도 블록이 없지만, 넘쳐나는 HP와 2200 이상의 장갑으로 보충하기 때문에 단기 결전을 위해서는 정신기를 쓰는 게 좋다.

본작에서는 원작에 있던 최종 형태는 등장하지 않는다.

7.3. 슈퍼로봇대전 OG THE MOON DWELLERS

무장 연출집

신규 참전. 전작인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는 끝내 《리얼로봇 레지먼트》에서 등장했던 아레스 가이스트의 최종형태가 등장하지 못한 채, 그대로 퇴장하고 말았지만 본작에서 신규 설정과 함께 아레스의 최종형태가 참전하게 되었다. 《리얼로봇 레지먼트》에서는 이 최종형태에 명칭은 따로 부여되지 않았지만, 본작에서는 '엔트리히 가이스트'라는 명칭이 명명되었다. 특수능력으로는 'HP/EN회복(小)'에 이어 '풀 블록'이 추가되었다.

초중반에 등장하는 이벤트용 보스로, 철수 HP가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뭘 해도 쓰러뜨릴 수 없다. 피를 조금만 깎아도 금방 퇴각하기 때문에 딱히 위협적이라는 느낌은 없는 편.

조건 충족시에는 최종화 한정으로 동료로 영입시킬 수도 있다. 프리케라이 가이스트에 탑승한 아리에르 오그가 본기와 전투하는 것이 조건이며, 제34화에서 3턴 이내로 3회 전투, 최종화에서 10턴 이내(혹은, 라마리스 이다를 모두 격퇴하기 전까지)로 2회 전투를 실시하면, 'XN-L' 등장 후 1턴째에 제정신을 찾은 드방이 본기를 제어해 참전한다. 다만 주의할 부분은 최종화에서 프리케라이로 본기에게 1회째의 공격을 건 후 '파우 케른'이 공명하는 이벤트 영상이 나오는데, 이때 이벤트 영상이 나왔으니 아군화 플래그를 모두 채웠다고 생각해 프리케라이를 철수시키는 것은 금물이다. 해당 이벤트가 발생한 후, 재차 1회의 전투를 성립시켜야만 플래그가 완전히 성립되는 것이다. 또한 2회의 전투를 성립시켰어도 본기가 아군으로 합류하기 전에 프리케라이가 파괴되면 안된다.

아군으로 참전한 본기는 파일럿인 드방의 에이스 보너스나 어빌리티인 풀 블록도 달려있어 'XN-L'의 맵병기에 의한 정신기 금지 디버프를 방어할 수 있다. 다만 최종화 가입 특성상 개조나 강화파츠를 달아주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아무리 기반이 좋아도 왠만한 아군만 못하다. 특히 난이도 하드에서는 딜도 별로 안나온다.

덧붙여, 드방이 아군으로 합류하더라도 격추된다면 엔딩은 드방이 아군화되지 않았을 때와 같은 엔딩으로 진행되니 주의가 필요하다.[3]

8. 기타



[1] 참고로 '엔트리히 가이스트'라는 명칭은 최종화에서 의지를 되찾은 드방이 명명한 것이며, 강룡전대는 진화 전과 마찬가지로 '아레스'라고 호칭한다.[2] 연애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남매로서의 의미다.[3] 드방이 아군화되지 않았을 경우의 엔딩 : 아리에르 홀로 동면에 들게 되며 동료들에게 드방의 수색을 부탁함. / 드방 아군화 엔딩 : 아리에르를 통해 엔트리히 가이스트는 군에서 해석 작업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자신은 드방과 함께 동면할 예정임을 밝힘. 만약 드방이 아군화되어도 격추된다면 엔딩이 전자의 것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