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7:17:45

프리케라이 가이스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슈퍼로봇대전/오리지널 메카닉
RRR-X3
프리케라이 가이스트
フリッケライ・ガイスト
FLICKEREI GEIST
파일:프리케라이 가이스트.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제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 형식번호 RRR-X3
분류 인간형 기동병기
소속 지구연방군・강룡전대
전고 22.1m
중량 69.3t
무장 스플릿 미사일
3연 머신 캐논 x 1
리볼빙 스테이크 x 1
포스 레이 x 2
동력원 파우 케른
개발자 에릭 왕
파일럿 아리에르 오그
※ 카탈로그 스펙은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 기준
}}}}}}}}} ||

1. 개요

<nopad>
Flickerei Geist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등장 기체. 《리얼로봇 레지먼트》의 주인공기로 데뷔하였다.

2. 설정

파일:Flickerei.Geist.full.3237971.jpg
RRR-X3 FLICKEREI GEIST
'첸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된 프로토타입기. 본래는 실패작으로 폐기될 예정이었지만, 신서력 187년에 발발한 「인스펙터 사건」 중 전개된 '오퍼레이션 플랜태저넷' 종반, EG-X 소울게인에게 대파되어 뜯겨진 PTX-003C 알트아이젠의 사지나 '섀도우 미러'가 남긴 ASK-G03C 라피에사쥬의 예비 파츠 등을 이용하여 급조되었다. 이러한 기체의 탄생 경위로부터 기체명은 독일어로 '누더기 귀신(혹은, 이어붙인 유령)'을 의미하는 '프리케라이 가이스트'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 '프리케라이(Flickerei)'란 '이어붙이다'를 의미하며, 이는 여러 기체의 파츠를 사용한 본기의 사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출자의 경위와 파일럿인 아리에르 오그의 성별로부터 엑셀렌 브로우닝은 '알트의 여동생'이라고 부르고 있다. 다만 막강한 돌파력과 리볼빙 스테이크에 의한 초일격을 구사하는 알트아이젠과 달리 본기는 부스트로 빠르게 움직이면서 스테이크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테크니컬한 움직임을 메인으로 한다.

가장 큰 특징은 기체 주위의 모든 에너지를 제어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파우 케른'이라 불리는 특수한 동력원을 탑재하고 있다는 점으로, 이것에 의해 본래 상정된 수치 이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 정체는 '첸틀 프로젝트'에서 제작된 생물 병기 '예츠트 레지세이아'의 코어를 유용한 것이지만, 본기는 어디까지나 실패작이기 때문에 순수 동력원으로서의 기능밖에 하지 않는다. 다만 실전에서는 파우 케른을 탑재한 또다른 기체 RRR-X7 아레스 가이스트와 공명해 성능이 향상되는 등, 아직 불완전한 부분이 많다.

2.1. 리얼로봇 레지먼트

'프로젝트 이데아란츠'에 의해 제작된 '가이스트 시리즈' 중 1기. 개발은 엔지 오즈누 박사가 담당하였다. 드방 오그RRR-X7 아레스 가이스트를 이끌고 탈주했을 당시, 이를 쫓기 위해 당시 주로 상반신만이 완성되어 있던 코어 파트에 PTX-003C 게슈펜스트 Mk-III 등의 정크 파츠를 조립해 급조하였다. 때문에 동체 외의 사지나 특징적인 무장인 리볼빙 스테이크 모두 게슈펜스트 Mk-lll의 것으로 이루어졌다. 물론 코어 파트 자체는 본래의 사양대로이기 때문에, '가이스트 시리즈'에 본래 구비되어 있던 뛰어난 에너지 제어 기능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제어를 활용한 공간 전이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현 상태에서는 불완전하기 때문에, 그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없다. 게다가 코어 유닛은 완전히 블랙박스 상태이기 때문에 정비조차 제대로 불가능하다.[1]

이처럼 비록 불완전한 기체였지만 실전에서는 아리에르의 조종 기량이 더해져 타 기종에 비해 뒤떨어지는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이후 폰 브라운 시에서 도시의 모든 에너지를 흡수해 괴물로 변모한 아레스 가이스트를 막기 위해 돌진. 코어인 파우 케른에 리볼빙 스테이크를 관통하여 저지하지만 폭발에 휘말려 기체는 소실되고 만다.[2]

3. 무장

4. 기술

5. 활약

파일:Super.Robot.Wars.600.3862166.jpg
「봉인 전쟁」 발발 시기, 이데아란츠의 진실과 오즈누 박사의 죽음 등, 자신들과 관계된 충격적인 진실을 알아버린 아리에르 오그는 탈출을 결심. 그때, 마치 아리에르가 행동을 벌일 것이라는 것을 눈치챈 에릭 왕은 아리에르의 탈주를 도와주면서 RRR-X3 프리케라이 가이스트를 그녀에게 넘기게 된다. 이후 프리케라이에 탑승하여 에릭의 말에 따라 테슬라 라이히 연구소로 내려간 아리에르는 그곳에서 대기하고 있던 강룡전대의 일부 멤버들과 조우하게 되며, 그들에게 투항하려 하였으나 빠르게 추적해온 드방 오그 일행과 교전하게 된다. 그러나 드방은 강룡전대와 마찬가지로 연방군 휘하에 있었기 때문에 전대의 멤버들은 교전이 불가능한 상황. 아리에르는 기억을 잃었지만 이전에는 가이아 세이버즈 소속이었음이 밝혀진 잉그 윗슈와 함께 공투한다. 이후 수수께끼의 기체인 코드 '이블'의 개입 등이 더해졌지만 가까스로 강룡전대의 협력이 더해져 상황을 타개하는 것에 성공한다.

해당 싸움이 끝난 후 모든 사정을 밝힌 아리에르는 강룡전대의 멤버로 합류. 그에 따라 프리케라이도 전대의 기체로 운용되며, 우주에서 재차 조우한 RRR-X7 아레스 가이스트와 공명해 더욱 파워업한다. 또한 'ATX 팀'의 리더인 쿄스케 난부의 애기 PTX-003C-SP1 알트아이젠 리제와도 동일한 운용 컨셉을 가지고 있어 연계 패턴도 주어지는 등, 「봉인 전쟁」을 이겨나갈 주요 전력 중 하나가 되어 활약한다. 한편 아인스트의 힘을 얻기 위해 알피미를 노리는 드방의 아레스와는 몇 번이나 부딪치지만, 실패작인 프리케라이의 힘으로 이기기에는 부족했다. 그럼에도 아리에르는 남매나 다름없는 드방의 폭주를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지만 결국 힘을 추구한 드방은 AI1에게 흡수되고, 그 AI1도 아다마트론에 흡수됨으로써 끝내 드방을 구하는 데에는 실패한다.

하지만 「봉인 전쟁」 전후, '크로스게이트 버스트'의 발생으로 아레스의 진화형인 '엔트리히 가이스트'가 모습을 드러낸다. 괴물과 같은 그 외형을 보면 콕피트 내에 드방은 존재하지 않고 기체 자체가 생물처럼 자아를 갖고 움직이는 것으로 여겨졌으나[3], 이상하게도 계속해서 아리에르의 프리케라이를 노리는 것을 보고 그녀는 드방의 의지가 남아있을 것으로 믿었다. 남매로서 그를 구하고 싶다는 마음은 여전하기 때문에, 아리에르는 그녀의 등을 받쳐주는 동료들에 힙입어 엔트리히와 두 차례 접촉하지만 드방의 의지를 깨우는 데에는 모두 실패. 하지만 퓨리와의 결전이 끝난 후 다크브레인의 제물로서 크로스게이트에 놓여진 엔트리히와 마지막으로 접촉하자 프리케라이와 엔트리히의 '파우 케른'이 공명하기 시작하면서 엔트리히의 콕피트 내에 잠들어있던 드방이 다시 각성한다.

본래 드방은 힘에 집착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엔트리히에 잠식되어 있던 와중에도 필사적으로 자신을 구하려 했던 아리에르의 헌신에 감화되어 그녀와 함께 앞으로 나아갈 것을 결심하고 엔트리히를 제어해 강룡전대에 협력. XN-L과의 결전에 참여한다. XN-L을 격퇴한 후에는 아리에르와 드방 모두 동면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리케라이는 그녀가 다시 깨어날 때까지 또다시 봉인될 것으로 보인다.

6. 관련 기체

7. 게임

7.1. 리얼로봇 레지먼트

프리케라이 가이스트의 초기 출전 작품. 아리에르 오그가 탑승하며 주인공기로 등장한다. 주인공이기 때문에 제일 많이 쓰게 될 기체고 최종 스테이지는 강제 출격이라 싫어도 익숙해져야 게임하기가 편하다.

게임 내에선 첫 스테이지이자 튜토리얼 스테이지인 아 바오아 쿠를 클리어 한 후부터 사용 가능. 무기 성능도 나쁘지 않고 긴급회피도 빠른 데다 HP와 방어력도 좋고 필살기 게이지도 잘 차는 편이라 전체적으로 쓰기 편한 성능을 지녔다. 이처럼 우수한 기체지만 무기 구성상 피탄하기 쉽다는 점은 주의할 부분. 이는 사거리가 짧은 데다 긴 공격 시간을 갖는 리볼빙 스테이크의 문제점에 의한 것으로, 1 VS 다수의 상황에서 스테이크를 쓰려고 하면 거의 반드시 인터럽트가 들어간다. 다만 이 게임은 공격해도 기력이 오르기 때문에, 아무도 없는 허공에 스테이크를 쏘아 순식간이 기력 150까지 끌어올리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 스테이지인 폰 브라운 시에서 도시의 에너지를 모조리 흡수해 변이한 아레스 가이스트의 공격을 막기 위해 코어에 스테이크를 찔러넣으며 폭발. 두 기체 다 흔적도 없이 사라졌지만 코어 유닛은 긴급 전이로 기아나 고지로 떨어진 듯하다.

7.2.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

무장 연출집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에 첫 참전. 중반부에 합류한다. 무장은 원작인 《리얼로봇 레지먼트》 때와 동일하며, 해당 게임에서 어느 정도 필살기 게이지가 모였을 때 쓸 수 있었던 '매그넘 스테이크'가 별도의 무기로 독립되었다.

설정대로, 기체 성능 자체는 딱히 특출나지는 않지만, 쿄스케의 알트아이젠 리제와의 초가성비의 합체 공격 'E.D.N'을 가지고 있는 데다가 데미지도 '램페이지 고스트'보다도 좋다. 더욱이 무장 구성도 알트와 맞고 아리에르에는 가속도 달려있어서 엑셀렌을 제치고 훌륭한 트윈 파트너로서 자리메김하였다. 다만 이동 적성이나 단독 최강 무기의 사정 등이 어긋나 있어서 이동 적성을 맞추는 등 어느 정도 손을 보긴 해야한다.

7.3. 슈퍼로봇대전 OG 문 드웰러즈

초반부 참전. 전작인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 때와 큰 변화는 없지만, 첫 참전 보정이 끝나 'E.D.N'의 공격력이 하향되어 '렘페이지 고스트' 밑으로 떨어졌다. 그 외에는 무난하지만 본작에서는 라마리스와 관련해 도시맵들이 주구장창 나오기 때문에 공중 커맨드가 없는 프리케라이는 굴리기가 힘들다. 출격을 한다 해도 발이 느려서 적군들이 모여있는 곳으로 갈 때 쯤이면 이미 아군기들이 전부 적들을 종결시킨 상황. 물론 아리에르에는 가속이 있고 본작은 어빌리티 시스템의 편의성도 좋아져서 키우려면 키울 수는 있다. 테슬라 드라이브를 장착하는 방법도 쓸 수 있고 말이다.[4]

가장 큰 문제는 본작은 초반부부터 합류하는 캐릭터들은 많은데 초중반부는 출격 부대수가 너무 적다는 것. 번갈아가면서 키우는 방법도 있지만 인기 많은 유닛들이나 성능 좋은 유닛들이 앞에 포진해 있어서 수수한 프리케라이는 뒷전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본작에서 엔트리히 가이스트를 최종화에서 아군으로 영입시키기 위해서는 프리케라이와 몇번 교전을 해줘야 하는 조건이 있다. 또한 아리에르 합류 후 엔트리히 가이스트 등장 에피소드에서는 보통 강제 출격이기 때문에 조금은 키워두는 것이 좋다.

8. 여담


[1] 정비가 가능한 건 오로지 Mk-lll에서 유용한 사지 뿐이다.[2] 코어 유닛은 긴급 전이로 기아나 고지로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3] 염동력자들도 기체 내에 드방을 감지하지 못했다.[4] 물론 테슬라 드라이브는 마지막화에 이르기까지 3개 밖에 안들어온다.[5] 라피에사쥬 팬텀은 프랑스어로 '이어붙인 유령'이란 뜻이다.[6] 사실 애니메이션 '디 인스펙터'에서는 본가에 등장할 일부 요소들이 선행 등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울게인의 현무금강탄이나 엑스바인 등이 대표적인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