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20:08:51

아주대학교/학부/첨단바이오융합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주대학교/학부
파일:아주대학교 시그니처 화이트(가로형).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학교 정보
연혁 상징 시설 출신 인물
학부 학사 제도 대학원 특징
교원 성과 수업 홍보 대사
재학생 정보
행사(축제) 식당(매점) 교통 주변 환경
총학생회 총동문회 동아리
운동부
축구부
||<-5><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0066b3>
의료원
||
아주대학교병원 아주대학교요양병원 아주대학교 평택병원(2030년 예정) 아주대학교 파주병원(2030년 예정)
}}}}}}}}}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의 단과대학
대학
의과대학 간호대학 첨단바이오융합대학 약학대학
공과대학 첨단ICT융합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영대학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국제학부
다산학부대학

1. 개요2. 전공
2.1. 주요 교과목
3. 졸업 진로4. 연혁

1. 개요

아주대학교 첨단바이오융합대학
Advanced College of Bio-convergence Engineering
파일:아주대학교 혜강관-5.jpg
소속전공
혁신신약공학바이오첨단소재공학

아주대학교의 첨단바이오융합대학(단과대학)이다. 바이오가 강조되는 시대인만큼, 선도적인 아주대에서 가장 중요하기도 하다. 아주대학교는 의과대학, 약학대학, 공과대학자연과학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과 대학병원이 같이 자리하여 한국 유일무이 바이오융합 연구분야에 최적화된 환경을 가진다. 노화, 질병, 건강한 먹거리, 환경 친화적 소재 등 인간과 생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생물학 지식을 아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교육과 연구의 본 수업건물인 혜강관은 아주대의 실사구시 건학이념을 바탕으로 미래가 공존하는 세계 초일류 수준의 공간으로, 생명공학, 의학, 약학, 화학, 인공지능, 기계공학 등 다양한 융복합적 사고가 필수적이다.

2. 전공

치료가 어려운 질환의 치료를 목표로 바이오합성의약품 연구 및 개발의 혁신신약공학 전공과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바이오, 식품 화장품 기능성 소재 개발의 바이오첨단소재공학 전공이 있다.

2.1. 주요 교과목

물리화학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생체분자와 생명현상의 이해에 적용한다.
고기능성 생물 유래 단분자/고분자 화합물의 구조,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분석/분리 기술에 대한 기초 지식을 학습한다.
생화학 반응에 대해서 효소 및 세포 기반의 생물 전환 반응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학습한다. 생화학 반응에서의 열역학 기본 방정식과 반응 시스템에 대해 학습하고, 생물 반응의 역학적 이해를 토대로 생물 반응 속도론에 대해서 학습한다.
RNA, DNA, 아미노산, 단백질, 지방산, 당, 바이오 케미컬 등 바이오 화학에서 사용 되는 다양한 바이오 소재에 대한 화학적 개념 및 이론에 대해서 다룬다. 바이오 소재 생산 및 공정에 대한 이해, 바이오소재 활용 및 산업용 바이오 소재에 대해서 학습한다.
약물의 체내 동태와 효과에 대해서 학습,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과 관련된 생리학적 및 화학적 프로세스를 다루며, 신약 개발 및 임상 응용에 적용 가능한 원리를 습득한다.
유기화학과 고급유기화학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물질의 합성경로의 계획 및 최적화에 관련된 지식을 습득한다. 특히 컴퓨터 모델링, 분자 역학, 구조-활성 관계 연구 등을 포함한 합성신약품의 합성 과정과 분자 구조 설계에 대해 심도 있게 학습한다.
신약개발 과정에서 AI기술의 적용에 관해 배운다. 이를 위하여 분자데이터를 머신러닝 모델에 적용하고 파이썬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다루며, 이를 위해 신약개발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머신러인, 딥러닝, drug-target interaction, hit discovery와 virtual screening 등에 관해 학습한다.
생물학적 데이터의 확률분포, 통계적 추론의 개념, 회기 분석, 상관관계 분석, 통계적 실험 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데이터에 적합한 통계 분석을 선택하여 R로 실습한다.
다양한 질병의 발병원인 및 기작을 분자수준에서 학습하고 나아가 새로운 질병 치료 기술 개발을 위한 최신 연구 동향 및 방법을 학습한다.
프로그래밍의 필요성, 기본 개념, 활용 분야를 이해하고 파이썬 연습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을 키워 인공지능 전공 교과목 수강을 위한 기초지식을 배양한다.
전공 수업을 통해서 습득한 다양한 물질에 대한 이해와 분석 지식을 바탕으로 바이오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실무 능력을 함양한다.
전공수업을 통해서 습득한 의약품/바이오소재 및 공학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대한 이들의 제조 공정을 이해하고 디자인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첨단바이오(디지털바이오, 혁신신약, 바이오첨단소재) 분야 산업체 현장 전문가 겸임교수의 강의로, 실제 현재 산업체에서 어떤 연구를 수행하고, 그에 맞는 인재상은 무엇인지를 교육함으로써 학생들의 졸업 후 진로 선택을 돕는다.
변리사 겸임교수의 강의로 창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지식재산권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지식재산의 다양한 형태와 그에 따른 지식재산권 창출 및 보호전략을 학습한다.
첨단바이오분야 현장실무 능력 강화를 위해 첨단바이오 산업분야 연구개발 과정을 학습하고 첨단 연구장비 활용을 통한 의약품 및 바이오소재 개발 분석 실습을 진행한다.

3. 졸업 진로

제약회사, CDMO(위탁개발생산사업), CRO(임상시험수탁기관), KIST,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대학원 진학 등

4. 연혁

1984 학부 생물공학과
2004 공과대학 생명분자공학부
2012 공과대학 응용화학생명공학과
2024 첨단바이오융합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