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12:00:09

알리 자심

알리 자심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 ||
파일:GTQxoxCWcAAcaHc.jpg
알메러 시티 FC No.
알리 자심
علي جاسم | Ali Jasim
<colbgcolor=#e3001b><colcolor=#ffffff> 본명 알리 자심 엘라이비 알탐미미
Ali Jasim El-Aibi Al-Tameemi
출생 2004년 1월 20일 ([age(2004-01-20)]세)
이라크 바그다드
국적
[[이라크|]][[틀:국기|]][[틀:국기|]]
신체 178cm / 체중 74kg
포지션 윙어[1], 공격형 미드필더
소속 <colbgcolor=#e3001b><colcolor=#ffffff> 유스 알 나스르 SC ( ~2018)
선수 알 카르크 SC (2018~2020)
알 쇼르타 SC (2020~2021)
알 카심 SC (2021 / 임대)
알 카흐라바 SC (2021~2022 / 임대)
알 카흐라바 SC (2022~2023)
안탈리아스포르 (2023)
알 카흐라바 SC (2023~2024)
알 쿠와 알 자위야 (2023~2024 / 임대)
코모 1907 (2024~ )
알메러 시티 FC (2025~ / 임대)
국가대표 12경기 2골[2] (이라크 / 2023~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자심에 대한 언사7. 여담8.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이라크 국적의 알메러 시티 FC 소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알리 자심/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아시아 진출권인 걸린 2023 AFC U-20 아시안컵 대회 8강전 이란과의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 극적인 결승골을 기록하면서 자국 이라크를 10년 만에 U-20 월드컵 진출을 시켰다.

이어 준결승 일본전에서도 전반 12분 코너킥 찬스에서 이스마엘 아흐메드의 크로스를 받아 헤더로 선제골을 넣었고, 연장 103분 일본의 수비진을 드리블로 무너트리면서 모하메드 자밀의 골을 어시스트 하는 등 1골 1어시로 팀을 승부차기까지 끌고나와 직접 키커로도 나와 성공시키면서 결승진출에도 혁혁한 공을 세웠다. 다만 결승전에서는 개최국 우즈벡을 만나 0대1로 석패하면서 아쉽게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D조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47분경에 올린 코너킥 크로스를 올려서 레빈 술라카의 헤딩골을 어시스트 하였다. 그리고 73분에 수비를 따돌리고 자유로운 상태에서 또 한번 크로스를 올려 아이만 후세인의 헤딩골을 어시스트하며 2개의 크로스를 성공시켰다.


시무룩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16강전에서 67분경에 올린 코너킥 크로스를 올려서 사드 나티크의 동점골을 어시스트 하였으며 이는 대회가 끝나고 아크람 아피프, 사르다르 아즈문과 더불어 대회 공동 최다 어시스트 기록이 되었다. 하지만 아이만 후세인의 잔디 먹방 세레머니의 나비효과로 인하여 팀은 패배하여 아이만 후세인에 못지 않게 분전하였으나 빛이 바래서 아쉬운 경기였다.

이후 같은 해 열린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3위 결정전에서 연장전 96분에 결승골을 넣으며 대회 총합 4골로 득점왕에도 오르는 등 자국의 8년 만에 올림픽 진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2024년 6월 6일, 인도네시아와의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F조 5차전에서 후반 교체 투입되어 88분에 골키퍼의 실수를 캐치하여 쐐기골이자 본인의 A대표팀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경기는 2-0 이라크의 승리로 끝났다.

2024년 6월 6일, 베트남과 AFC 아시안컵 카타르 16강전에서 67분경에 올린 코너킥 크로스를 올려서 사드 나티크의 골을 어시스트 하였다.

이후 같은 해 열린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3위 결정전에서 연장전 96분에 결승골을 넣으며 대회 총합 4골로 득점왕에도 오르는 등 자국의 8년 만에 올림픽 진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2024년 6월 6일, 인도네시아와의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F조 5차전에서 후반 교체 투입되어 88분에 골키퍼의 실수를 캐치하여 쐐기골이자 본인의 A대표팀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경기는 2-0 이라크의 승리로 끝났다.

이어서 2024년 6월 11일, 베트남과의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F조 최종전에서 70분 무렵에 중거리 골을 넣었다.



한국과의 4차전 원정 경기에서 교체투입 되었으며 팀은 2:3으로 패했으나 드리블로 종횡무진 휘저으며 한국의 문전을 위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준희 해설 위원은 경기중에 아예 알리 자심을 이라크의 이강인으로 여러번 언급을 할 정도였다.

3.1. 2024 파리 올림픽


1차전 우크라이나와의 경기에서 낮게 깔리는 중거리 역전골을 넣어 팀의 2 - 1 승리에 기여했는데 수비수 여럿을 사이에 두고 개인의 능력으로 만들어낸 골이었다. 마침 코모로 이적을 완료시킨 와중에 홀가분한 기분으로 골맛을 본터라 의미가 남달랐으며 코모 공식 계정에서도 축하를 하였다. 또한 알리 자심의 결승골로 이라크는 20년 만에 올림픽에서 승리를 맛보는 기쁨을 누렸다.#

2차전 아르헨티나와 경기에서 분전했으나 86분에 교체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특기인 드리블을 활용하여 측면을 휘젓는 플레이를 많이 하며 돌파를 해서 틈이 생기면 팀원 들에게 찬스를 제공하는데 대체로 낮은 패스나 낮게 깔리는 크로스를 선호하며 둘다 준수하다. 필요하다면 본인이 직접 해결하거나 2대1 패스를 활용한 플레이도 곧잘 즐기는 측면 플레이메이커 에 가까운 유형으로 좌우측면 가리지 않고 소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국가대표와 올림픽에서도 중거리슛을 꽃아넣을 정도로 슛거리도 제법 길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자심에 대한 언사

나는 이라크 문제에 관심이 있고 선수들을 보기 위해 이라크 리그를 팔로우한다. 가장 눈길을 끈 선수는 이번 올림픽 우크라이나와 경기에서 흐름을 바꾼 알리 자심이었다.
미겔 앙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스카우터#
2024 파리 남자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 첫날 이라크와 우크라이나의 경기가 끝난 후, 유럽의 모든 사람들은 이라크 신동의 재능을 높이 평가할 수 있었다.
FIFA #
우리는 자심이 여기 코모에서 우리와 함께 빠르게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믿는다. 그는 이미 국가대표팀과 아시아 챔피언스리그에서 큰 인상을 남겼고, 이것이 다가오는 시즌에 가능한 한 빨리 이탈리아에서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바란다.
세스크 파브레가스 #

7. 여담

8.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코모 1907 2024-25 시즌 스쿼드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에밀 아우데로 Emil Audero
2 파일:독일 국기.svg DF 마르크올리버 켐프 Marc-Oliver Kempf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마르코 살라 Marco Sala
4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MF 벤 코네 Ben Konei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에도아르도 골다니가 Edoardo Goldaniga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알레시오 이오비네 Alessio Iovine
7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가브리엘 스트레페자 Gabriel Strefezza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다니엘레 바젤리 Daniele Baselli
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알레산드로 가브리엘로니 Alessandro Gabrielloni 주장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파트리크 쿠트로네 Patrick Cutrone
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안드레아 벨로티 Andrea Belotti
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피에르 볼키니 Pierre Bolchini
1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알베르토 도세나 Alberto Dossena
14 파일:이라크 국기.svg MF 알리 자심 Ali Jasim
15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펠리피 잭 Fellipe Jack [1]
16 파일:감비아 국기.svg FW 알리우 파데라 Alieu Fadera
1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알베르토 체리 Alberto Cerri
18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알베르토 모레노 Alberto Moreno
20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세르지 로베르토 Sergi Roberto
2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마우로 비고리토 Mauro Vigorito
2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MF 막시모 페로네 Maximo Perrone [2]
25 파일:스페인 국기.svg GK 페페 레이나 Pepe Reina
26 파일:독일 국기.svg MF 야니크 엥겔하르트 Yannik Engelhardt
2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F 마티아스 브라우뇌더 Matthias Braunöder
30 파일:프랑스 국기.svg GK 장 뷔테즈 Jean Butez
33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뤼카 다쿠냐 Lucas Da Cunha
3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루카 마치텔리 Luca Mazzitelli [3]
38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아산 디아오 Assane Diao
77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이그나스 판데르브렘트 Ignace Van Der Brempt [4]
79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MF 니코 파스 Nico Paz
80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막상스 카케레 Maxence Caqueret
9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시모네 베르디 Simone Verdi
9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페데리코 바르바 Federico Barba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MF 델레 알리 Dele Alli
-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알렉스 바예 Álex Valle [5]
<colbgcolor=#002f6c> 구단 정보
구단주: 자럼 그룹 / 감독: 세스크 파브레가스 / 구장: 스타디오 주세페 시니갈리아
출처: 공식 웹사이트,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1월 30일

[1] SE 파우메이라스에서 임대[2] 맨체스터 시티 FC에서 임대[3] 프로시노네 칼초에서 임대[4] FC 레드불 잘츠부르크에서 임대[5] FC 바르셀로나에서 임대

}}}}}}}}} ||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29D79>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 1 파하드 탈립
(Fahad Talib)
1994.10.21 ([age(1994-10-21)]세) 19 0 파일:이란 국기.svg 사나트 나프트 아바단 FC
12 잘랄 하산
(Jalal Hassan)
1991.05.18 ([age(1991-05-18)]세) 75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자우라 SC
22 아흐메드 바실
(Ahmed Basil)
1996.08.19 ([age(1996-08-19)]세) 4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 SC
DF 2 레빈 술라카
(Rebin Sulaka)
1992.04.12 ([age(1992-04-12)]세) 34 0 파일:스위스 국기.svg FC 샤프하우젠
3 후세인 알리
(Hussein Ali)
2002.03.01 ([age(2002-03-01)]세) 4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SC 헤이렌베인
4 사드 나티크
(Saad Natiq)
1994.03.19 ([age(1994-03-19)]세) 33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압하 FC
5 프란스 푸트로스
(Frans Putros)
1993.07.14 ([age(1993-07-14)]세) 14 0 파일:태국 국기.svg 포트 FC
6 알리 아드난
(Ali Adnan)
1993.12.19 ([age(1993-12-19)]세) 90 7 파일:이란 국기.svg 메스 라프산잔 FC
15 알란 모히딘
(Allan Mohideen)
1993.11.11 ([age(1993-11-11)]세) 2 0 파일:스웨덴 국기.svg 우트시크텐스 BK
23 메르차스 도스키
(Merchas Doski)
1999.12.07 ([age(1999-12-07)]세) 9 0 파일:체코 국기.svg 1. FC 슬로바츠코
24 자히드 타흐신
(Zaid Tahseen)
2001.01.29 ([age(2001-01-29)]세) 4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탈라바 SC
25 아흐메드 야히아
(Ahmed Yahya)
1997.05.27 ([age(1995-05-27)]세) 3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 SC
MF 7 유세프 아민
(Youssef Amyn)
2003.08.21 ([age(2003-08-21)]세) 2 1 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8 이브라힘 바예시
(Ibrahim Bayesh)
2000.05.01 ([age(2000-05-01)]세) 46 6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11 지단 이크발
(Zidane Iqbal)
2003.04.27 ([age(2003-04-27)]세) 4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위트레흐트
13 바샤르 레산
(Bashar Resan)
1996.12.22 ([age(1996-12-22)]세) 59 4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14 아캄 하심
(Akam Hashim)
1998.08.14 ([age(1998-08-14)]세) 0 0 파일:이라크 국기.svg 아르빌 SC
16 아미르 알암마리
(Amir Al-Ammari)
1997.07.27 ([age(1997-07-27)]세) 23 1 파일:스웨덴 국기.svg 할름스타드 BK
17 알리 자심
(Ali Jasim)
2004.01.20 ([age(2004-01-20)]세) 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코모 1907
19 다닐로 알사에드
(Danilo Al-Saed)
1999.02.24 ([age(1999-02-24)]세) 2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SC 헤이렌베인
20 오사마 라시드
(Osama Rashid)
1992.01.17 ([age(1992-01-17)]세) 29 1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비젤라
21 아흐마드 알레이
(Ahmad Allée)
1996.04.29 ([age(1996-04-29)]세) 3 0 파일:프랑스 국기.svg FC 루앙
26 몬타데르 마지드
(Montader Madjed)
2005.04.14 ([age(2005-04-14)]세) 2 0 파일:스웨덴 국기.svg 함마르뷔 IF
FW 9 알리 알하마디
(Ali Al-Hamadi)
2002.03.01 ([age(2002-03-01)]세) 11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입스위치 타운 FC
10 모하나드 알리
(Mohanad Ali)
2000.06.20 ([age(2000-06-20)]세) 40 18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쇼르타 SC
18 아이만 후세인
(Aymen Hussein)
1996.03.22 ([age(1996-03-22)]세) 68 17 파일:이라크 국기.svg 알 쿠와 알 자위야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월 30일
}}}}}}}}} ||

1 탈립 · 2 술라카 · 3 알리 · 4 나티크 · 5 푸트로스 · 6 아드난 · 7 아민 · 8 바예시 · 9 알하마디
10 알리 · 11 이크발 · 12 하산 · 13 레산 · 14 하심 · 15 모히딘 · 16 알암마리 · 17 자심 · 18 후세인
19 알사에드 · 20 라시드 · 21 알레이 · 22 바실 · 23 도스키 · 24 타흐신 · 25 야히아 · 26 마지드

1 하산 · 2 알이맘 · 3 알리 · 4 나티크 · 5 마큰지 · 6 타신 · 7 자심 · 8 바예시 · 9 압둘라
10 아민 · 11 모하메드 · 12 알레카베 · 13 사드 · 14 모하메드 · 15 모하메드 · 16 압둘아미르 · 17 사둔 · 18 후세인
19 하산 · 20 오자이미 · 21 파딜 · 22 아바스



[1] 주로 좌측[2] 2024년 6월 11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