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20:35:02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U-23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인도네시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인도네시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인도네시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U-23 대표팀: }}}[[인도네시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인도네시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인도네시아 U-23 축구 국가대표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395>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2025).svg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괌 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네팔 대만 대한민국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마카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북한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필리핀 호주 홍콩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아세안축구연맹.png 아세안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호주 }}}}}}}}}
파일: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파일: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Tim nasional sepak bola Indonesia
<colbgcolor=#FF0000><colcolor=#fff> FIFA 코드 IDN
축구 협회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 (PSSI)
대륙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 연맹 아세안 축구 연맹 (AFF)
홈구장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Gelora Bung Karno Stadium / 77,193석)
별칭 Merah Putih (빨강-흰색)
Garuda (가루다)
Timnas (국가대표)
서포터즈 La Grande Indonesia #[1]
감독 공석
주장
C
제이 이즈스 (Jay Idzes)
라이벌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FIFA 랭킹 122위 (2025년 10월 17일 기준 / #)
Elo 레이팅 126위 (2025년 10월 15일 기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FF0000> A매치 최다 출전 압둘 카디르 (Abdul Kadir)
- 111경기 / 70골
A매치 최다 득점 압둘 카디르 (Abdul Kadir)
- 111경기 / 70골
첫 국제 경기 출전 [[인도네시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네덜란드령 동인도 vs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7:1
(필리핀 마닐라 / 1934년 5월 13일)
최다 점수 차 승리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인도네시아 vs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12:0
(대한민국 서울 / 1972년 9월 25일)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인도네시아 vs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13:1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2002년 12월 23일)
최다 점수 차 패배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인도네시아 vs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0:10
(바레인 리파 / 2012년 2월 29일)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0000> 세계 대회
월드컵 [진출] 1회
[최고] 15위/1라운드[2] (1938)
올림픽 [진출] 1회
[최고] 7위/8강 (1956)[3]
대륙 대회
아시안컵 [진출] 5회[4]
[최고] 16위/16강[5] (2023)
AFF컵 [진출] 12회
[최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2000, 2002, 2004, 2010, 2016, 2020)
}}}}}}}}}}}} ||
유니폼 색상 원정 서드
상의
하의 14 15 12
양말

1. 개요2. 상세
2.1. 신태용호2.2. 귀화 정책
3. 현재 선수 명단4. 코칭스태프5. 역대 감독6. 역대 전적7. 연령별 대표팀8. 국가별 전적
8.1. 대한민국과의 전적

1. 개요

인도네시아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76위(1998년 9월 16일), 최저 순위는 191위(2016년 7월 14일 ~ 9월 14일)이다.

2024년 11월 기준 FIFA 랭킹 125위의 중하위권 대표팀으로 2020년대부터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감독은 현재 공석 이며 적백색(Merah Putih)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2. 상세

1945년 독립 이전에는 인도네시아가 네덜란드 식민지였기 때문에 네덜란드령 동인도라는 국명으로 출전했다. 기록상 확인되는 최초의 국제 경기 실적 중 돋보이는 것은 1934년 제10회 극동 선수권 대회에 출전한 것이다. 이때 팀은 일본 제국을 무려 7:1로 대파했고 이 경기에서 Ludwich Jahn, Tio Hian Goan 두 선수가 동시에 해트트릭까지 기록했다. 하지만 이어서 중화민국에게 0:2로, 필리핀에게 2:3으로 졌다. 그런데도 리그제였기 때문에 1승 2패 3팀 중에서는 골득실이 앞서 종합 성적은 4팀 중 2위를 기록했다.

이후 1938년 프랑스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이것이 현재까지 유일한 인도네시아의 월드컵 본선 진출 기록이다. 지금은 아시아 지역 예선 통과와 최종 예선 진출도 벅차 보이는 실력이지만 이것으로 아시아 최초의 월드컵 16개국 본선 진출과 토너먼트 진출국의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당시 전 세계적으로 축구 정보와 환경과 이동 교통수단이 열악하여 지역 예선 참가도 어려운 시절이었고 피파가 아시아의 실력을 파악하지 못하고 타대륙과 경쟁없이 예선을 치르도록 했는데 참가팀이 인도네시아와 일본 단 두 팀에 불과했다. 막상 일본도 중일전쟁을 이유로 경기를 채 갖기도 전에 기권을 해버려서 단 한 경기도 치르지 않고 어부지리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나[6] 15강[7] 토너먼트에서 이 대회 준우승을 차지한 헝가리에게 0:6으로 참패하며 15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그 뒤로는 월드컵 본선에 단 한 번도 복귀하지 못하면서 중국, 콩고민주공화국,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함께 월드컵 본선을 경험한 국가 중 본선에서 득점을 기록한 적이 없는 팀이자 월드컵 본선 최소 경기팀이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아시아권에서도 딱히 뚜렷한 족적을 남기지 못했다. 그래도 1950년대에는 아시안 게임 동메달과 1956 올림픽에서 부전승으로 8강에 무혈 진출했으나, 소련에게 0:4로 참패하며 탈락했다. 이후로 불참 및 기권을 하여 실력이 쇠퇴했고 결국 1970년대 이후로는 동남아시아에서도 약체로 굴러떨어졌다.

과거 1960~70년대에는 한국을 이기기도 했지만 대한민국과의 전적도 2승 4무 30패로 절대 열세이며 1975년 자카르타에서 열린 경기에서 2:3으로 한국을 이긴 게 마지막 대한민국전 승리다. 2000 시드니 올림픽 지역 예선에선 한국에게 7:0 대패를 당했다. 가장 최근에 한국과 경기를 벌인 게 공동 개최로 안방에서 열린 2007 AFC 아시안컵에서 한국과 같은 조로 만나 1:0으로 한국에 패했다. 당시 6만 명이 넘는 현지 관중들의 응원 속에서 한국이 고전하긴 했다. 그리고 바레인을 2:1로 이기긴 했지만 결국 조 3위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2014 월드컵 3차 예선에서 또 바레인과 같은 조로 만났으나 이번에는 엄청나게 두들겨 맞았다. 안방에서 2:0으로 졌고 바레인 원정에선 무려 10:0 대패를 당하면서 인도네시아 축구 역사상 최다 실점패를 당했다. 참고로 바레인은 조 3위로 밀려 최종예선 진출에 실패했음에도 5년 전 패배를 화려하게 설욕했다. 그 밖에도 카타르와 이란에게도 무득점으로 패하면서 6전 전패 26실점으로 이번 예선 최다 실점패로 탈락했다. 그런데 져도 너무 크게 바레인에게 졌다고 하여 승부조작 혐의가 있다고 피파에게 조사를 받는 처지가 되었는데 별다른 혐의를 찾지 못했다. 당연히 인도네시아 자국 여론에게도 엄청나게 욕을 먹었는데 이전만 해도 바레인과 통산 전적은 2승 2무 2패로 백중세였기 때문이다. 이긴 2경기는 모두 1득점 차로 이기고 진 2경기는 2실점이었는데 난데없이 7차전에는 10실점 무득점으로 패했으니 인도네시아 언론도 온갖 말이 많았다.

또한 2015년 5월 30일 FIFA 집행위원회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오랫동안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에 깊이 개입한 점을 들어 인도네시아 클럽과 각급 대표팀들이 AFC 및 FIFA 주최 대회에 참가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발표를 했다. 이로서 인도네시아는 FIFA로부터 2018 러시아 월드컵, 2019 UAE 아시안컵 2차 예선 출전금지를 당함에 따라 두 대회는 일찌감치 실격패로 탈락했다.[8]

한때 FC 바르셀로나레알 마드리드에서 뚼 경력이 있는 루이스 미야를 감독으로 선임한 적이 있다.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선 우승은 한 번도 못 하고 준우승만 대회 최다인 6번[9]을 기록했는데, 그나마 2012년, 2018년 대회는 4강조차 오르지 못했다.[10]

종합하자면 90년대~2000년대에는 동남아시아에서 강호였고, 아시안컵 등 아시아 전체로 범위를 넓혀도 나름 고춧가루를 여러번 뿌렸던 녹록잖은 팀이었지만, 2010년대를 지나며 동남아시아에서도 동네북이 돼버린 팀이다.

역사적 관계 때문에 유럽에 인도네시아 혼혈 선수들이 꽤 있는 편인데, 네덜란드의 前 축구 선수 히오바니 반 브롱크호르스트로빈 반 페르시가 인도네시아 혈통이며, 벨기에 출신의 칼리아리 칼초에서 뛰고 있는 라자 나잉골란 역시 인도네시아 혈통이다. 이들은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도 국대급 선수들이라 자연스럽게 인도네시아 국대는 뛰지 않았다. 스테파노 릴리팔리 같은 케이스도 있는데, 이 선수는 인도네시아 국가대표를 선택해 뛴 선수다.

이 시기 인도네시아 태생의 대표 선수 중 그나마 한국에 알려진 선수가 있다면 인도네시아 국가대표 최다 A매치 출전 기록과 최다 골 기록을 보유한 밤방 파뭉카스인데, 2007년 아시안컵 당시 한국 언론에서 경계대상이라며 워낙 호들갑을 떨어대는 바람에 한국의 축구 팬들에게도 이름을 알려졌으며, 2014년에는 박지성이 주최한 자선경기에 인도네시아 올스타 자격으로 참가하기도 했다

1974년에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긴 적이 있다. 1974년 4월 20일 평가전에서 처음으로 경기를 가진 우루과이 1진을 2-1로 이겼던 것. 다음날 2차전은 3-2로 우루과이가 이기며 서로 1승 1패를 주고 받았다. 이후 36년 동안 경기가 없다가 2010년 10월 8일에 치른 세 번째 평가전에선 우루과이가 7:1로 인도네시아를 뭉갰다.

자국 프로리그인 리가 1의 인기가 엄청나며 한국인 선수도 여럿 활동했다. 이 중에서 유현구라는 선수는 리가 1에서 10시즌 넘게 활약하고 있으며, 아예 2021년 7월, 인도네시아 국적을 취득하여 인도네시아 대표팀에 선발될 가능성까지 생겼다. 유현구 선수는 신태용 감독이 인도네시아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 후 일종의 플레잉 코치 역할을 잠시 맡기도 했었다.

신태용 감독 부임 이후 K리그 진출 선수들도 하나 둘 생겨나고 있다. 2021년 K리그2 안산 그리너스 FC에 입단해 좋은 활약을 펼치고 2023년 전남 드래곤즈에서도 활동한 아스나위 망쿠알람 바하르가 역사상 첫 K리그 인도네시아 국적 선수로 기록되어 의미 있는 활약상을 펼쳤고, 2024년엔 수원 FC로 이적한 프라타마 아르한이 이적해 올림픽 예선 이후 수원 FC 데뷔전을 가졌다. 아스나위는 2020년에 시작된 K리그 동남아시아 쿼터 1호 선수이고 아르한은 인도네시아 최초로 K리그1에서 뛰는 선수다.

AFC 아시안컵에서 대한민국과 단골로 만났던 국가다. 1996년 12강 조별 리그에서 처음으로 만나 대한민국이 4:2로 승리했으며, 2000년 대회에서 또다시 만나 이동국의 해트트릭으로 3:0 승리, 한 대회 건너 2007년 대회에서 다시 만나 김정우의 결승골로 홈팀이었던 인도네시아를 1:0으로 제압했다. 이후 인도네시아가 아시안컵 본선에 올라오지 못하면서 자연스레 재대결은 성사되지 않고 있다.

2.1. 신태용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신태용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신태용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신태용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남아시아에서도 하위권으로 쭉쭉 내려가며 인구 대국의 자존심을 무참히 구기던 인도네시아였으나 2020년 신태용 감독을 선임하고 나서 다시 깨어나기 시작한다. 비록 부임하자마자 전세계적인 코로나 19 팬데믹이 덮쳐 A대표팀 경기를 전혀 가지지 못했지만, 이 기간 동안 인도네시아 연령별 대표 선수들을 강하게 담금질하며 세대교체부터 단행했다. 특히 정치적 문제 때문에 개최가 무산되긴 했지만 당시 인도네시아가 FIFA U-20 월드컵 차기 대회의 개최국이었기 때문에[11]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면서 신태용 감독은 세대교체 작업을 할 수 있었다. 그렇게 발굴한 선수들이 마르셀리노 페르디난, 에기 마울라나, 위탄 술라에만, 프라타마 아르한, 아스나위 망쿠알람 등으로, 이들은 현재 인도네시아 대표팀의 주축으로 발돋움했다.

이후 대만과의 2023 아시안컵 3차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홈원정 합계 5:1로 대파했으며 이로 인해 2021년 10월 FIFA 랭킹이 전월에 비해 무려 열 계단이나 상승했다! 이후로도 스즈키컵에서 베트남과 무승부를 거두는 등 신태용 감독의 부임 이후 엄청난 상승세를 보여 주고 있다. 결국 대회 준결승에서 싱가포르를 제치고 결승전에 올라 태국에 이어 준우승을 거뒀다. 이는 어린 선수들 위주의 스쿼드로 일궈 낸 성과라 현지에서는 신태용 감독의 인기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졌다.[12]

세대교체 이후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내에서 경쟁력을 확실히 회복하는 데 성공한다. AFF 챔피언십에서 토너먼트에도 못 오를 정도로 하락했던 분위기를 일소하고, 2020 AFF 챔피언십에서 결승에 올라 태국에게 1무 1패로 분패하며 준우승을 거머쥔 것이다. 젊은 선수들 위주로 낸 성과라 현지에서는 더욱 신태용 감독을 칭송하는 분위기다.

2023 AFC 아시안컵 3차 예선에서 요르단, 쿠웨이트, 네팔과 한 조에 묶이게 되었다. 쿠웨이트에서 예선이 개최되고 요르단, 쿠웨이트라는 두 중동의 중견 팀들과 맞붙게 되어 아시안컵 24강 본선 진출이 큰 도전이 될 전망이다. 신태용 매직이 아시안컵 예선에서도 발휘되며 1차전 쿠웨이트를 2-1로 적지에서 잡는 파란을 일으켰다. 이후 요르단에게 0-1로 석패했지만 마지막 네팔과의 경기를 7-0으로 가볍게 잡고, 아시안컵 24개국 본선에 진출 성공했다! 2007년 개최국 자격으로 진출한 16개국 대회 이후 16년 만의 본선 복귀이며 지역 예선을 뚫은 것은 2004년 중국 16개국 대회에 진출 이후 19년 만이다.

그리고 인도네시아는 2007 아시안컵 11위 이후 16년 만에 나선 아시안컵에서 16위 안에 들고 사상 처음으로 2라운드[13]에 진출하는 역사를 쓰게 된다. 특히 24강 조별 리그에서 만난 동남아 라이벌 베트남을 꺾고 승점 3점을 획득했고 조 최강이자 피파 랭킹 17위 일본을 상대로 1:3으로 2점 차로 졌잘싸하여 24강 조 3위간 경합 끝에 16강행 막차를 탔다. 비록 16강전에서 호주를 만나 대등한 경기력을 펼치고도 월등한 피지컬의 차이를 느끼며 대패했지만 현지에서는 거의 신태용 감독을 영웅으로 여기는 수준이 되었다.

2023년 6월 20일 인도네시아에서 신태용 감독의 인도네시아가 피파 랭킹 1위 월드컵 챔피언 아르헨티나[14] 상대로 0:2로 패배하였지만, 인도네시아와 아르헨티나가 넘사벽급의 전력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굉장한 선전을 한 것이다.# 그만큼 인도네시아 대표팀이 상승세를 타고 있다는 방증이었다.

2024년에 올림픽 지역 예선까지 포함된 2024 U23 아시안컵에서 우승 후보 호주와 한국[15]을 이기며 4위를 하며 올림픽 진출에 가장 근접했을 정도로 돌풍을 일으켰고 사상 최초로 월드컵 최종 예선에 진출하는 등 최고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그리고 인도네시아 대표팀은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지역 예선 이후 40년 만에 처음으로 조별 예선을 뚫었고, 또한 사상 최초로 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경쟁자였던 태국, 베트남이 모두 2차 예선에서 탈락하며 동남아시아 유일의 최종 예선 진출팀이라는 타이틀도 가지게 되었다.[16]

그리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는 AFF 챔피언십에서 자주 만나는 베트남필리핀을 모두 따돌리고 동남아시아 대표팀으로는 태국, 베트남에 이어 세 번째이자 인도네시아 축구 역사상 첫 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 진출이라는 대업을 달성했다.

거기다 최종 예선에서 무려 사우디에 1:1 무승부 승점 1점, 호주에 0:0 무승부 승점 1점, 바레인에 2:2 무승부 승점 1점[17]을 기록하며 카타르 월드컵에 진출했던 두 팀과 중동의 다크호스 바레인을 상대로 승점을 빼앗아 왔다. 그야말로 장족의 발전이 따로 없는 수준이다.

2.2. 귀화 정책

인도네시아 대표팀이 신태용 감독 부임 이후 더 크게 두드러졌지만, 최근에 큰 발전을 이뤄낼 수 있었던 가장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는 바로 부임 직후부터 적극적으로 추진한 프로젝트인 인도네시아계 네덜란드인을 위시한 해외교포 2~3세 선수들을 귀화 정책을 펼쳐 적극적으로 대표팀에 끌어오는 것이었다. 실제로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중에는 인도네시아계 네덜란드인이 꽤 존재하며 2010년대 네덜란드의 황금기를 이끌었던 지오반니 판브롱크호스트, 욘 헤이팅아 등도 모두 인도네시아계 네덜란드인이다.[18]

영국계 엘칸 바곳을 시작으로 스페인계 조르디 아마트, 벨기에계 샌디 월시 등 그동안 취약점으로 꼽힌 피지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계 인도네시아 혈통의 선수들을 대거 대표팀에 데려오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 귀화 선수들이 곧바로 인도네시아 대표팀에 무리없이 정착하면서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24개국 본선에 진출, 2022 AFF 챔피언십 준결승 진출 등 지속적인 성과 창출을 가능하게 했다.

그리고 이는 선순환을 불러 일으키며, 과거 인도네시아를 오래 지배해 인도네시아 계통 선수들이 상당히 많은 네덜란드의 준척급 혼혈 선수들이 인도네시아로 대거 합류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울버햄튼의 아카데미 소속이었던 저스틴 허브너, 위트레흐트 유망주 이바르 제너, ADO 덴하흐[19]의 공격수로 뛴 라파엘 스트라위크 등 유망주 나이의 어린 혼혈 선수들도 인도네시아 대표팀에 합류하게 되었다.

이후에도 귀화 행렬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어느 정도 아시아에서 경쟁력이 있음을 증명한 이후부터는 유망주급을 넘어 유럽 빅리그 주전급 선수들도 인도네시아를 선택하고 있다. 스완지 시티의 미드필더 네이션 쵸어온, 에레디비시의 베테랑 미드필더 톰 헤이, 2024-25 시즌 세리에 A로 승격했던 베네치아 FC의 센터백 제이 이즈스 등 좀 더 중량감 있는 선수들도 인도네시아 대표팀 유니폼을 입기 시작했다.

월드컵 최종 예선에 들어선 이후에는 더욱 퀼리티 높은 선수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무려 네덜란드 대표팀 승선 가능성이 언급되던 FC 트벤터의 주전 센터백 메이스 힐허르스, 에레디비시에서 주전으로 뛰던 이후 MLS로 넘어가 올스타에 선정되는 등 뛰어난 기량을 자랑하는 골키퍼 마르턴 파스[20]까지 인도네시아를 선택한 것. 이어서 11월엔 당시 FC 코펜하겐의 주전 윙백이었던 케빈 딕스 역시 인도네시아 대표팀에 합류했고, 2025년 3월에는 오랜기간 귀화 소문이 무성했던 이탈리아 청대 출신 골키퍼인 에밀 아우데로의 합류를 성사시키는 등 그야말로 수비 라인은 완벽히 유럽계 선수들로 라인업을 구성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

물론 선수들의 전반적인 수준은 아시아 강국들(한/일/호/중동 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에는 다소 미흡하지만[21], 신태용의 노력은 어느 정도 결실을 맺어 현 동남아 ASEAN-5(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대표팀 중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유럽 축구 경험자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신태용 감독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신태용호 초기 본토 출신의 젊은 선수들을 주축으로 지역 선수권과 각종 청소년 대표팀 경기에서 선전을 했기 때문에 더 높은 클래스의 인도네시아계 선수들이 귀화의 문을 두드리게 되었고 이는 선순환이 되어 지금처럼 실력 있는 선수들을 끌어올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귀화한 유럽파 혼혈계 선수와 국내파 토종 선수가 잘 융합하여 인도네시아 축구 역사상 최고의 성과를 내는 것(2026 월드컵 진출)[22]이 당시 감독이자 사령탑인 신태용의 몫이었던 만큼,[23] 그의 역량이 주목을 받았었으나 이런 선수 수급 정책에 인도네시아 축협이 너무나 맛들린 나머지, 2025년 들어서는 아예 좋은 실적을 보이던 신태용을 경질해 버리고 네덜란드계로 감독, 코치진까지 다 꾸리겠다는 계획을 세운다. 피치에서는 아예 네덜란드어로 소통하는 팀을 만들어 버리고[24] 피치 밖에서는 대놓고 감독부터 선수 시절 인지도 넘사인 파트릭 클라위버르트[25]를 임명해 네덜란드계를 끌어오는 홍보 대사로 쓴다는 주객전도급의 정책을 꿋꿋이 밀어붙이며 엄청난 의구심과 조롱을 불러일으켰다.

그렇게 파트릭 클라위버르트 감독의 데뷔전은 호주에 5-1 참패를 당하면서 순식간에 월드컵 본선은 커녕 플레이오프도 아슬아슬한 상황으로 급변했다.

인도네시아 현지 반응은 당연히 분노 폭발한 상황으로, 감독인 클라위버르트의 경질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으며 '당장 신태용 감독과 다시 계약하라' 등 후폭풍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후에는 올레 로메니의 2경기 연속 결승골로 바레인과 중국에 2경기 연속 1-0 승리를 거두며 승점 12점을 확보 4차 예선에 진출하였으며 88년 만의 월드컵 복귀에 대한 희망을 이어가고 있었지만 4차예선에서 사우디와 이라크에게 연달아 패배하며 탈락이 확정되었다.

3. 현재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0000> 파일: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마르턴 파스
(Maarten Paes)
1998년 5월 14일 ([age(1998-05-14)]세) 8 0 파일:미국 국기.svg FC 댈러스
무하마드 리얀디
(Muhammad Riyandi)
2000년 1월 3일 ([age(2000-01-03)]세) 5 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시스 솔로
에밀 아우데로
(Emil Audero)
1997년 1월 18일 ([age(1997-01-18)]세) 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크레모네세
에르난도 아리
(Ernando Ari)
2002년 2월 27일 ([age(2002-02-27)]세) 13 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세바야 수라바야
DF 딘 제임스
(Dean james)
2000년 4월 30일 ([age(2000-04-30)]세) 2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고 어헤드 이글스
케빈 딕스
(Kevin diks)
1997년 10월 4일 ([age(1997-10-04)]세) 5 0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리즈키 리도
(Rizky Ridho)
2001년 10월 6일 ([age(1997-10-06)]세) 45 4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시자 자카르타
엘칸 바곳
(Elkan Baggott)
2002년 10월 23일 ([age(2002-10-23)]세) 22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입스위치 타운
메이스 힐허르스
(Mees Hilgers)
2001년 5월 13일 ([age(2001-05-13)]세) 4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트벤터
조르디 아마트
(Jordi Amat)
1992년 3월 21일 ([age(1992-03-21)]세) 18 1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시자 자카르타
쉐인 파티나마
(Shayne Pattynama)
1998년 8월 11일 ([age(1998-08-11)]세) 11 1 파일:태국 국기.svg 부리람 유나이티드
샌디 월시
(Sandy Walsh)
1995년 3월 14일 ([age(1995-03-14)]세) 19 2 파일:태국 국기.svg 부리람 유나이티드 FC
제이 이즈스
(Jay Idzes)
2000년 6월 2일 ([age(2000-06-02)]세) 13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사수올로 칼초
저스틴 허브너
(Justin Hubner)
2003년 9월 14일 ([age(2003-09-14)]세) 15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포르튀나 시타르트
MF 위탄 술라에만
(Witan Sulaeman)
2001년 10월 8일 ([age(2001-10-8)]세) 46 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바양카라 FC
리키 캄부아야
(Ricky Kambuaya)
1995년 2월 9일 ([age(1995-02-09)]세) 40 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데와 유나이티드 FC
엘리아노 라인더르스
(Eliano Reijnders)
2000년 10월 23일 ([age(2000-10-23)]세) 3 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시브 반둥
에기 마울라나
(Egy Maulana)
2000년 7월 7일 ([age(2000-07-07)]세) 28 8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데와 유나이티드 FC
마르크 클로크
(Marc Klok)
1993년 4월 20일 ([age(1993-04-20)]세) 19 4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시브 반둥
네이션 쵸어온
(Nathan Tjoe-A-On)
2001년 12월 22일 ([age(2001-12-22)]세) 12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빌럼 II
톰 헤이
(Thom Haye)
1995년 2월 9일 ([age(1995-02-09)]세) 13 2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시브 반둥
야콥 사유리
(Yakob Sayuri)
1997년 9월 22일 ([age(1997-09-22)]세) 26 3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말룻 유나이티드 FC
마르셀리노 페르디난
(Marselino Ferdinan)
2004년 9월 9일 ([age(2004-09-09)]세) 35 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옥스퍼드 유나이티드 FC
아담 알리스
(Adam Alis)
1993년 12월 19일 ([age(1993-12-19)]세) 7 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보르네오 FC 사마린다
조이 펠루페시
(Joey Pelupessy)
1993년 5월 15일 ([age(1993-05-15)]세) 3 0 파일:벨기에 국기.svg 로멀 SK
이바르 제너
(Ivar Jenner)
2004년 1월 10일 ([age(2004-01-10)]세) 18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위트레흐트
FW 덴디 술리스티야완
(Dendy Sulistyawan)
1996년 10월 12일 ([age(1996-10-12)]세) 16 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바양카라 FC
디마스 드라자드
(Dimas Drajad)
1997년 3월 30일 ([age(1997-03-30)]세) 11 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페르시카보 1973
라그나르 오랏망운
(Ragnar oratmangoen)
1998년 1월 21일 ([age(1998-01-21)]세) 10 2 파일:벨기에 국기.svg FCV 덴더르 EH
라파엘 스트라위크
(Rafael Struick)
2003년 3월 27일 ([age(2003-03-27)]세) 23 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데와 유나이티드 FC
올레 로메니
(Ole romeny)
2000년 6월 20일 ([age(2000-06-20)]세) 4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옥스퍼드 유나이티드
마우로 자일스트라
(Mauro Zijlstra)
2004년 11월 9일 ([age(2004-11-09)]세) 0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폴렌담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4월 20일
}}}}}}}}} ||

4. 코칭스태프

5.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0000> 파일: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1대~41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34년 ~ 2025년
1대
마스턴브룩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미상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대
추셍퀴 /
파일:싱가포르 식민지 국기(1946-1952).svg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3대
포가치니크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4대
망긴단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5대
위타르사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6대
위타르사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7대
달하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8대
아를란드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9대
쿠에르버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0대
아를란드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1대
판발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2대
야노타
파일:폴란드 국기.svg
13대
피셔
파일:독일 국기.svg
14대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5대
알리안두에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6대
바스리 / 이드리스 / 카디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7대
마툴라펠와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8대
폴로신
파일:소련 국기.svg
19대
토플락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20대
마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대행
테구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1대
다누르윈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2대
뷈렘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3대
바할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4대
슈움
파일:독일 국기.svg
25대
이스칸다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6대
돌로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7대
코레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28대
와이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대행
누르디안샤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9대
코레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30대
돌로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31대
리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32대
라이스베르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대행
산토스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33대
마이자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34대
블랑코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대행
다르마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35대
티아구
파일:브라질 국기.svg
36대
리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대행
돌로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대행
하위스트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7대
리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38대
미야
파일:스페인 국기.svg
대행
다누르윈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39대
삭티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40대
맥메너미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대행
투메나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41대
신태용
(신태용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재임했던 감독이 확인되지 않는 기간(1938년~1951년)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42대 이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0000> 파일: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5년 ~ 현재
42대
클라위버르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1대~41대)
}}}}}}}}} ||

6. 역대 전적

6.1. FIFA 월드컵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73위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네덜란드령 동인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 우루과이
불참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제3공화국 국기.svg
1938 프랑스[26]
15강[27] 15위 0 1 0 0 1 0 6
인도네시아 합중공화국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 브라질
기권[28]
※ 인도네시아 공화국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 스위스
불참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 스웨덴
기권
파일:칠레 국기.svg
1962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 잉글랜드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 서독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1861-2010).svg
1978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 스페인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1990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 한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6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 러시아
실격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 카타르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본선 진출 실패[48개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 진출 1회 0 1 0 0 1 0 6

6.2. AFC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영국령 홍콩 기(1955~1959).svg
1956년 홍콩
기권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960년 대한민국
실격[3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64년 이스라엘
기권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
1968년 이란
본선 진출 실패[5개팀]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1972년 태국
본선 진출 실패[6개팀]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
1976년 이란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80년 쿠웨이트
본선 진출 실패[10개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984년 싱가포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년 카타르
파일:일본 국기.svg
1992년 일본
본선 진출 실패[8개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년 아랍에미리트
조별 리그[39] 11위[40] 1 3 0 1 2 4 8
파일:레바논 국기.svg
2000년 레바논
조별 리그[41] 11위[42] 1 3 0 1 2 0 7
파일:중국 국기.svg
2004년 중국
조별 리그[43] 11위[44] 3 3 1 0 2 3 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7년 아세안
조별 리그[45] 11위[46] 3 3 1 0 2 3 4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1년 카타르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파일:호주 국기.svg
2015년 호주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9년 아랍에미리트
출전 금지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3년 카타르
16강[48] 16위 3 4 1 0 3 3 1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년 사우디아라비아
본선 진출 ? ? ? ? ? ? ? ?
합계 본선 진출 5회 / 16강 1회[49] 11 16 3 2 11 13 38

6.3.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1996
4강 4위 6 3 1 2 18 9 10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1998
4강 3위 5 2 1 2 15 10 7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태국 2000
준우승 2위 5 3 0 2 13 10 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인도네시아&싱가포르 2002
준우승 2위 6 3 3 0 22 7 12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말레이시아&베트남 2004
준우승 2위 8 4 1 3 24 8 13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싱가포르&태국 2007
조별 리그 5위 3 1 2 0 6 4 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인도네시아&태국 2008
4강 4위 5 2 0 3 8 5 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인도네시아&베트남 2010
준우승 2위 7 6 0 1 17 6 18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말레이시아&태국 2012
조별 리그 5위 3 1 1 1 3 4 4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싱가포르&베트남 2014
조별 리그 5위 3 1 1 1 7 7 4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미얀마&필리핀 2016
준우승 2위 7 3 2 2 12 13 11
파일:ASEAN 깃발.svg
홈&어웨이 2018
조별 리그 7위 4 1 1 2 5 6 4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020
준우승 2위 8 4 3 1 20 13 15
파일:ASEAN 깃발.svg
홈&어웨이 2022
4강 4위 6 3 2 1 12 5 11
파일:ASEAN 깃발.svg
홈&어웨이 2024
조별 리그 7위 4 1 1 2 4 5 4
합계 본선 진출 15회 / 준우승 6회 80 39 18 23 186 112 133

6.4. 올림픽 축구

1956 멜버른 올림픽: 7위

1956 올림픽에 진출했으나 16개국 중 5개국이 시작부터 기권 선언을 해 5개 팀이 부전승으로 진출, 16강은 단 3경기만 열렸다. 인도네시아 역시 상대팀인 남베트남이 기권을 해 무혈입성으로 8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독일을 2:1로 잡고 올라온 소련과의 8강 경기에서 연장전까지 치르고도 기어이 0:0 무승부를 만들어 세계를 당황하게 했으나, 재경기에서는 0:4로 참패를 당해 일찌감찌 탈락했다. 하지만 당시 소련은 축구 최상위 강국중 하나였고, 무엇보다 이 대회 금메달을 차지했다. 참고로 당시 소련의 주전 골키퍼는 레프 야신이었다. 이런 팀에 1차전을 연장전까지 치르고도 0:0으로 비겼으니 엄청나게 선전했던 셈.

7. 연령별 대표팀

7.1. U-20 대표팀

7.1.1. FIFA U-20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튀니지 국기.svg
1977년 튀니지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1979년 일본
조별 리그[50] 16위 0 3 0 0 3 0 16
파일:호주 국기.svg
1981년 호주
예선 탈락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3년 멕시코
파일:소련 국기.svg
1985년 소련
파일:칠레 국기.svg
1987년 칠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9년 사우디
기권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991년 포르투갈
예선 탈락
파일:호주 국기.svg
1993년 호주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5년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7년 말레이시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9년 나이지리아
불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1년 아르헨티나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3년 아랍에미리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5년 네덜란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7년 캐나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9년 이집트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1년 콜롬비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3년 터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5년 뉴질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대한민국
출전 금지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년 폴란드
예선 탈락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3년 아르헨티나[51]
파일:칠레 국기.svg
2025년 칠레
합계 본선 진출 1회 0 3 0 0 3 0 16

7.1.2. AFC U-20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youth championship 대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9 말레이시아
불참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0 말레이시아
4위 6 4 2 0 2 16 10
파일:태국 국기.svg
1961 태국
우승[52] 1위 9 5 2 3 0 7 4
파일:태국 국기.svg
1962 태국
3위 10 5 3 1 1 9 4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3 말레이시아
불참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64 남베트남
파일:일본 국기.svg
1965 일본
파일:필리핀 국기.svg
1966 필리핀
파일:태국 국기.svg
1967 태국
준우승 2위 13 6 4 1 1 17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 대한민국
불참
파일:태국 국기.svg
1969 태국
조별 리그 10위 2 3 0 2 1 5 6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0 필리핀
준우승 2위 15 6 5 0 1 7 4
파일:일본 국기.svg
1971 일본
조별 리그 12위 1 3 0 1 2 1 4
파일:태국 국기.svg
1972 태국
8강 6위 6 4 2 0 2 7 6
파일:이란 국기.svg
1973 이란
조별 리그 12위 3 3 1 0 2 10 5
파일:태국 국기.svg
1974 태국
불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5 쿠웨이트
조별 리그 14위 3 3 1 0 2 2 7
파일:태국 국기.svg
1976 태국
8강 7위 5 4 1 2 1 5 3
파일:이란 국기.svg
1977 이란
불참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1978 방글라데시
8강 7위 6 4 2 0 2 6 6
파일:태국 국기.svg
1980 태국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1982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5 UAE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6 사우디
조별 리그 7위 1 3 0 1 2 1 11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기권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0 인도네시아
조별 리그 8위 0 3 0 0 3 3 9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2 UAE
예선 탈락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4 인도네시아
조별 리그 6위 5 4 1 2 1 4 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대한민국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2000 이란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04 말레이시아
조별 리그 16위 0 3 0 0 3 3 12
파일:인도 국기.svg
2006 인도
예선 탈락
AFC U-19 챔피언십 대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8 사우디[53]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2010 중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 UAE
파일:미얀마 국기.svg
2014 미얀마
조별 리그 16위 0 3 0 0 3 2 8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6 바레인
실격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 인도네시아
8강 5위 6 4 2 0 2 9 9
AFC U-20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우즈베키스탄
조별 리그 10위 4 3 1 1 1 1 2
파일:중국 국기.svg
2025 중국
조별 리그 13위 1 3 0 1 2 1 6
파일:중국 국기.svg
2027 중국
? ? ? ? ? ? ? ? ?
합계 본선 진출 20회 / 우승 1회 96 76 27 15 34 116 129

7.2. U-17 대표팀

7.2.1. FIFA U-17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중국 국기.svg
1985 중국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1987 캐나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989 스코틀랜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1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1993 일본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995 에콰도르
파일:이집트 국기.svg
1997 이집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1999 뉴질랜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2001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핀란드 국기.svg
2003 핀란드
파일:페루 국기.svg
2005 페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대한민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9 나이지리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1 멕시코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3 UAE
파일:칠레 국기.svg
2015 칠레
파일:인도 국기.svg
2017 인도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9 브라질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23 인도네시아
조별 리그[54] 18위 2 3 0 2 1 3 5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5 카타르
본선 진출 ? ? ? ? ? ? ? ?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6 카타르
? ? ? ? ? ? ? ? ?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7 카타르
? ? ? ? ? ? ? ? ?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8 카타르
? ? ? ? ? ? ? ? ?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9 카타르
? ? ? ? ? ? ? ? ?
합계 본선 진출 1회 2 3 0 2 1 3 5

7.2.2. AFC U-17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U-16 Championship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5 카타르
기권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6 카타르
조별 리그 8위 0 3 0 0 3 2 8
파일:태국 국기.svg
1988 태국
조별 리그 10위 1 4 0 1 3 3 1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0 아랍에미리트
4강 4위 2 4 0 2 2 1 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92 사우디아라비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4 카타르
파일:태국 국기.svg
1996 태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8 카타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0 베트남
AFC U-17 Championship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2 아랍에미리트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2004 일본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06 싱가포르
AFC U-16 Championship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08 우즈베키스탄
조별 리그 13위 0 3 0 0 3 1 12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0 우즈베키스탄
조별 리그 11위 3 3 1 0 2 4 5
파일:이란 국기.svg
2012 이란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2014 태국
파일:인도 국기.svg
2016 인도
실격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 말레이시아
8강 6위 5 4 1 2 1 5 4
AFC U-17 아시안컵
파일:태국 국기.svg
2023 태국
예선 탈락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5 사우디아라비아
8강 5위 9 4 3 0 1 7 7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6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8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9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 진출 7회 / 4위 1회 20 25 5 5 15 23 59

8. 국가별 전적

8.1. 대한민국과의 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국가별 상대전적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2025).svg 동남아시아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아세안축구연맹.png 아세안 축구 연맹(AFF)
<colcolor=#fff> 대표팀 국가 최다득점 최근 전적
<colcolor=#fff>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colcolor=#fff> + <colcolor=#fff> - <colcolor=#fff> ±
<rowcolor=#fff> 파일: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A매치 전적없음
<rowcolor=#fff> 파일:Laos_FA.png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손흥민(5) 5:0 승 (2015)
5 5 0 0 28 0 +28
<rowcolor=#fff>
파일: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차범근(9) 3:3 무 (2024)
47 26 13 8 81 45 +36
<rowcolor=#fff> 파일:Myanmar_national_football_team_2024.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차범근(6) 4:0 승 (2015)
27 15 7 5 42 15 +27
<rowcolor=#fff>
파일: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조윤옥(7) 6:0 승 (2023)
25 17 6 2 66 21 +45
<rowcolor=#fff>
파일:Brunei_FA_logo.pn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정해원 등 3명(1) 3:0 승 (1980)
1 1 0 0 3 0 +3
<rowcolor=#fff>
파일:attachment/singapore.pn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이영무 등 3명(5) 7:0 승 (2024)
28 23 3 2 97 19 +78
<rowcolor=#fff> 파일: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차범근(6) 1:0 승 (2007)
36 30 4 2 84 19 +65
<rowcolor=#fff>
파일: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김진국 등 3명(4) 2:1 승 (1974)
7 6 0 1 22 4 +18
<rowcolor=#fff>
파일: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김재한(9) 3:0 승 (2024)
47 31 8 8 90 37 +53
<rowcolor=#fff>
파일: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신현호(4) 1:0 승 (2019)
8 8 0 0 37 0 +37
<rowcolor=#fff> 파일: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손흥민 등 5명(2) 2:1 승 (2024)
29 9 11 9 30 29 +1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 EAFF | ASEAN | SAFF | WAFF | CAFA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CFA |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OFC |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UEFA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CONCACAF |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CONMEBOL
}}}}}}}}}}}}}}} ||
파일: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IDN A매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nopad> 36 [🏟️]
<colbgcolor=#000><colcolor=#fff> 2 <nopad> 4 <colbgcolor=#000><colcolor=#fff> 30
19 득점 (-65) <nopa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우세
84 득점 (+65)
<rowcolor=#fff> 압둘 카디르(5) 최다득점자 차범근(6)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56]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선수 기록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57]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nopad> 최근경기: 대한민국 승 (2007)

인도네시아의 한국전 전적은 36전 2승 4무 30패. 거의 대부분의 전적이 20세기 기록으로 2000년 이후의 기록은 단 2경기에 불과하다. 물론 2경기 모두 한국에 패했다.

1950-60년대 동남아시아에 아시아 축구 헤게모니가 있던 시절, 압둘 카디르라는 걸출한 스타를 배출하여 나름 동남아시아에서 복병으로 활약했지만 대한민국에게는 절대적인 열세의 모습을 보였다. 특히 라이벌 말레이시아가 중요한 길목에서 한국을 상대로 선전했던 것과는 달리 인도네시아가 거둔 2승은 친선대회에서 성적이었고 거의 대부분 완패를 당하고 말았다.

1980년대 이후 동남아시아 축구가 몰락함과 동시에 인도네시아도 아시아 축구계에서 그 영향력을 상실했고 약체팀으로 전락하여 한국과 맞대결만 펼치면 무득점으로 완패하는 경우가 잦았다. 반면 한국이 월드컵에 진출하고 세계적인 팀으로 성장하면서 양 팀의 맞대결은 현저하게 줄었고 오늘날에는 거의 맞붙지 못하고 있다.

1996년 아시안컵에 인도네시아가 처음 본선에 진출한 이후 총 4번의 아시안컵에 연속 출전하였는데, 이 중 3번을 한국과 같은 조에 편성되어 맞붙게 되었다.

가장 최근 전적은 인도네시아가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과 공동개최하였던 2007년 아시안컵으로 대한민국이 인도네시아 조에 속하게 되면서 맞대결을 펼쳤는데 의외로 당시 한국이 바레인 쇼크를 당하며 탈락 위기에 놓인 상태에서 반드시 승리해야하는 상황이었고 간신히 김정우의 데뷔골로 힘겨운 승리를 거두며 8강에 진출할 수 있었다.

연령별 대표팀에서는 신태용 감독이 이끌던 시절인 2024년 4월, 파리 올림픽 본선 티켓이 걸려있던 U-23 아시안컵 대회 8강전에서 황선홍 감독이 이끌고 있던 한국 대표팀을 상대로 2-2 무승부 후 승부차기 끝에 한국을 탈락시키며 이변을 일으킨 바 있다.
<nopad> 2007-07-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nopad> 0:1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7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2007 AFC 아시안컵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로고.svg 2007 AFC 아시안컵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16강 조별 리그 D조 3차전
일시: 2007년 7월 18일 17:20[UTC+7] 장소: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주심: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쉴드 경기장: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000066> 엘리 아이보이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 0:1
(0:1)
<colbgcolor=#fff><colcolor=#000066> 김정우 파일:득점 아이콘.svg 33’[이천수][De]
차리스 율리안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47’
샴술 차루딘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9’
김치우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80’
감독: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이반 콜레프[61] 감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핌 베어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MBC]

D조 타팀 결과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KSA 4:0 BHR 파일:바레인 국기.svg
조별 리그 3차전 종료 후 D조 최종 순위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KSA • 1 7 3 2 1 0 7 2 +5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파일:상승 아이콘.svg 2 4 3 1 1 1 3 3 0
<rowcolor=#fff>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IDN 파일:하강 아이콘.svg 3 3 3 1 0 2 3 4 -1
<rowcolor=#fff> 파일:바레인 국기.svg BHR 파일:하강 아이콘.svg 4 3 3 1 0 2 3 7 -4
}}}}}}}}} ||
<nopad> 2000-10-19
<nopad> 3:0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0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로고.svg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12강 조별 리그 B조 3차전
일시: 2000년 10월 19일 19:30[UTC+2] 장소: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베이루트
주심: 파일:일본 국기.svg 토루 카미카와 경기장: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000066> 이동국 파일:득점 아이콘.svg 30’[박지성] 3:0
(1:0)
<colbgcolor=#fff><colcolor=#000066> 쿠르니아완 드위 율리안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33’
강철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50’
이동국 파일:득점 아이콘.svg 76’[설기현], 90+1’[설기현][3G]
산토소 아지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60’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정무 감독: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이스칸다르 난다르[6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

B조 타팀 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CHN 0:0 KUW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조별 리그 3차전 종료 후 B조 최종 순위[71]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중국 국기.svg CHN • 1 5 3 1 2 0 6 2 +4
<rowcolor=#fff>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KUW • 2 5 3 1 2 0 1 0 +1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 3 4 3 1 1 1 5 3 +2
<rowcolor=#fff>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IDN • 3 1 3 0 1 2 0 7 -7
}}}}}}}}} ||
<nopad> 1996-12-07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nopad> 4:2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6 아시안컵 본선 경기 상세 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로고.svg 1996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12강 조별 리그 A조 2차전
일시: 1996년 12월 7일 19:00[UTC+4] 장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아부다비
주심: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샴술 마이딘 경기장: 셰이크 자예드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000066> 김도훈 파일:득점 아이콘.svg 5’[황선홍]
황선홍 파일:득점 아이콘.svg 7’[노상래], 15’[노상래][2G]
4:2
(3:0)
<colbgcolor=#fff><colcolor=#000066> -
고정운 파일:득점 아이콘.svg 55’[김판근] 로니 와비아 파일:득점 아이콘.svg 58’[78]
위도도 카효노 푸트로 파일:득점 아이콘.svg 65’[수디르만]
예옌 투메나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아웅 세트야부디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박종환 감독: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다누르윈도[8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F][Xports]

A조 타팀 결과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3:2 KUW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조별 리그 2차전 종료 후 A조 순위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파일:상승 아이콘.svg 1 4 2 1 1 0 5 3 +2
<rowcolor=#fff>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파일:상승 아이콘.svg 2 4 2 1 1 0 4 3 +1
<rowcolor=#fff>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KUW 파일:하강 아이콘.svg 3 1 2 0 1 1 4 5 -1
<rowcolor=#fff>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IDN 파일:하강 아이콘.svg 4 1 2 0 1 1 4 6 -2
}}}}}}}}} ||

[1] 인도네시아 국가대표팀의 대표적인 서포터즈다. 홈이든 원정이든 항상 응원을 다닌다고 한다.[2] 15강 토너먼트[3] 1956 올림픽에서 부전승으로 무혈입성으로 8강에 진출했으나 소련에게 0:4로 참패 탈락했다.[4] 1996, 2000, 2004, 2007, 2023[5] 그 전에 1996~2007 아시안컵 연속 진출하여 아시안컵 연속 11위를 기록했다.
1996~2000 아시안컵 11위(12강 조별 리그)
2004~2007 아시안컵 11위(16강 조별 리그)
2023 아시안컵은 16위로 사상 첫 2라운드(16강) 진출을 기록했다.
2019 아시안컵부터 지역 예선에서 본선 아시안컵에 들어갈 자리가 16자리에서 24자리로 확대되고 2라운드가 8자리에서 16자리로 확대되어서 인도네시아가 처음으로 아시안컵 2라운드에 진출하게 되었다.
[6] 물론 당시 전세계적으로 축구 정보와 환경과 이동 교통수단이 열악하여 지역 예선 참가도 어려운 시절이라서 쿠바처럼 5개 나라가 싹다 기권을 해서 날먹 수준으로 진출한 나라도 있었지만 쿠바는 1938 월드컵에서 8강 8위를 기록했다.[7] 오스트리아도 원래 16개국 본선에 진출 성공했지만 오스트리아 병합으로 나라가 사라져서 15강 토너먼트가 되었다.[8] 그나마 AFF 주최 대회는 적당히 눈감아줬다.[9] 2000, 2002, 2004, 2010, 2016, 2020[10] 2012년은 8개국, 2020년은 10개국[11] 하지만, 2023 FIFA U-20 월드컵 인도네시아에서 이스라엘이 진출한 것을 정치적으로 반대하다가 대회가 취소되었고 이후 피파에게 징계를 받을 게 뻔해졌다. 이후 징계는 무기한 FIFA 배당금 지급 중지로 결정났고 인도네시아 축구계는 싸게 막은 게 다행이다라는 평.[12] 특히 2026년 월드컵 아시아 2차 지역예선 조별 경기에서 베트남을 3-0으로 제압하고 최종 예선 진출 가능성을 높이자 ‘신태용 감독을 붙들어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13] 그 전에 1996~2007 아시안컵에 연속 진출하여 아시안컵 연속 11위를 기록했다.
1996~2000 아시안컵 11위(12강 조별 리그)
2004~2007 아시안컵 11위(16강 조별 리그)
2023 아시안컵은 16위로 사상 첫 2라운드(16강) 진출을 기록했다.
[14] 이날 메시는 휴가를 받아서 출전하지 않았다.[15] 아시안 게임 축구 3회 연속 우승국[16] 호주는 동남아시아에 들어가긴 하지만 실제로는 오세아니아에 있기 때문에 무의미하다.[17] 동남아시아 최초의 월드컵 최종 예선 승리가 눈앞에 다가왔지만 오만 주심의 잘못된 추가 시간 적용으로 인해 억울한 무승부였다.[18] 인도네시아는 본래부터 다민족 국가라서 순혈이나 토종 선수라는 개념이 희미했고 일부 종목에서는 선수가 부족해서 본토 선수들만으로는 대표팀을 꾸릴 수 없는 지경까지 간 적도 있었던 터라, 축구뿐만 아니라 타 종목에서도 198~90년대부터 이렇게 인도네시아 혈통을 지닌 선수를 대표팀에 끌어들이는 일이 생각보다 흔했다고 한다. 그 정도로 인도네시아는 과거부터 귀화 선수의 수요가 상당했기 때문에 축구 대표팀도 이렇게 소집된 귀화 선수를 딱히 거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는데, 이는 인도네시아가 원래부터 이렇게 선수를 수급하는 전통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19] 이후 2024년 여름 이적 시장을 통해 호주의 브리즈번 로어 FC로 이적했다.[20] 인도네시아계 혈통은 없다. 그러나 할머니가 과거 네덜란드령 동인도시절 자바에서 살던 네덜란드계 정착민이고 이 신분은 인도네시아 국법으로 몇가지 절차만 거치면 자국민으로도 인정하기 때문에 귀화가 가능했다. 홍콩 영주권을 보유하고 있는 영국계 선수들이 꽤 포함된 홍콩과 유사한 케이스.[21] 귀화 선수들의 대부분이 식민 모국 네덜란드계에 국한되어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인지해야 한다. 중국처럼 돈이 많은 것도 아니고 국가/민족 정체성을 감안하더라도 전도유망한 축구 선수가 유럽을 두고 굳이 동남아 국가대표를 선택하는 사례는 앞서 설명했듯 현실적으로 많지 않다. 그러나 네덜란드 국대의 벽 또한 너무나 높고, 애초에 앞서 언급된 유럽 상위 리그 팀 수준은 아닌 재능들도 자국 리그나 인프라가 열악한 인도네시아의 전력에는 큰 보탬이 된다. 이런 특성상,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강호들은 몰라도 자주 만나고 격한 라이벌 관계에 있는 타 동남아 국가들에 비해 전력을 급상승시킬 기회가 항상 열려 있다.[22] 현실적으로 볼 때, 인도네시아가 2026 월드컵 진출에 성공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속한 C조에서 일본을 제외한 팀 간의 2위 호주부터 최하위 중국까지 승점 1점 차이가 나고, 남은 4경기의 결과에 따라 조 2위까지 노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걸 생각하면 월드컵 본선 진출이 허상은 아니다.[23] 사실 중국도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귀화 정책을 펴서 브라질 등지에서 선수들을 수입해 국가대표로 써먹었던 전적이 있었지만 2022 월드컵 진출에 실패했다.[24] 신태용 감독 시절에는 주로 영어와 인도네시아어가 많이 쓰였다. 영어는 대부분 유럽 출신 선수들이 쓸 줄 알고 인도네시아어는 마크 클록, 샌디 월시, 마르셀리노 페르디난 등 일부 선수들이 혼혈파-본토파 소통을 담당했다.[25] 지도자 경력만 봐도 알 수 있듯 감독은 고사하고 코치, 단장 등 어느 한 자리에서 진득히 머무르지 못했고, 거의 대부분에서 실패했다. 심지어 현역 시절 인연이 있던 팀들을 제외하면 빅클럽은커녕 빅리그나 국대 강팀 근처도 못 갔고, 그나마 인맥으로 얻은 자리도 그다지 존재감이 없는 등 애초에 성인팀 감독 경력 자체가 적은 편이다.[26] 아시아 최초의 월드컵 본선 진출국이으나 당시 식민지였으며 아시아 월드컵 두 번째 본선 진출국이자 독립국 최초는 대한민국이다.[27] 당시 진출국 오스트리아가 독일에 합병으로 사라져서 모든 경기가 전체 15강 토너먼트였다. 지금으로 치면 지역 예선 탈락 본선 진출 실패. 인도네시아는 15강 토너먼트에서 단 한 경기 치르고 탈락했는데, 그 후로 월드컵에 나오질 못해 역대 월드컵 최소경기 국가로 남아 있다. 인도네시아가 어떻게 38월드컵 15개국 본선에 진출할 수 있었나 하면, 당시 피파가 아시아 수준을 파악 못하고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예선에서 일본하고만 맞붙기로 하였으나, 일본이 중일전쟁으로 기권하는 바람에 무혈입성으로 월드컵 15개국 본선에 진출하였고, 그 결과 1라운드 15강전에서 헝가리에게 0:6 참패 탈락하였다. 그 후로 피파가 38월드컵 인도네시아 무혈입성 참패 탈락과 더불어 그 후 한국도 아시아 예선에서 일본만 이기고 54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하였으나 16강 조별 리그에서 헝가리에 0:9, 터키에 0:7 참패 탈락하자 그 후 피파는 아시아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인지하여 1978 월드컵까지 아시아는 16개국 본선에 진출하기 위해서 유럽 또는 아프리카 또는 오세아니아와 경쟁을 치러야 16개국 본선에 진출할 수 있게 바뀌어서 한국도 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으며, 1982 월드컵부터 24개국 본선으로 확대 되었고 아시아+오세아니아 2장으로 확대되고 1986 월드컵 24개국 본선부터 아시아가 단독 2장으로 바뀌어 한국이 진출하였고 이 1986월드컵부터 2라운드가 16강으로 바뀌었다.[28] 인도네시아가 독립하면서 FIFA 회원이었던 네덜란드령 동인도 축구 연맹(NIVU)은 해체됐으며,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 (PSSI)는 1952에야 FIFA에 가입할 수 있었다. PSSI는 1937부터 NIVU와 협력 관계였기 때문에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기록을 승계할 수 있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48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4] 지역 예선 참가를 거부 당했다.[5개팀] (5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6개팀] (6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0개팀] (10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8개팀] (8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39] 12강 조별 리그 진출 대회[40] 1996 아시안컵 11위(12강 조별 리그)[41] 12강 조별 리그 진출 대회[42] 2000 아시안컵 11위(12강 조별 리그)[43] 16강 조별 리그 진출 대회[44] 2004 아시안컵 11위(16강 조별 리그)[45] 16강 조별 리그 진출 대회[46] 2007 아시안컵 11위(16강 조별 리그)[16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48] 인도네시아 대표팀 역사상 최초의 아시안컵 토너먼트 및 2라운드 진출
2019 아시안컵부터 지역 예선에서 본선 아시안컵에 들어갈 자리가 16자리에서 24자리로 확대되고 2라운드가 8자리에서 16자리로 확대되어서 인도네시아가 처음으로 아시안컵 2라운드에 진출하게 되었다.
[49] 1996~2000 아시안컵 11위(12강 조별 리그)와
2004~2007 아시안컵 11위(16강 조별 리그) 진출까지 포함 시 16강 이상 총 5회
[50] 16강 조별 리그[51] 2021년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되었고 이어진 2023년 대회의 개최권을 얻었지만 본선 티켓을 얻은 이스라엘과 연관된 문제로 국내 정치적, 치안 등의 문제로 개최권을 박탈 당했다. 이 대회의 예선 대회에도 출전하였지만 탈락해버려 2023년 대회는 진출이 좌절되었다.[52] 미얀마와 공동우승[53] 이 대회부터 3.4위전 폐지[54] 24강 조별 리그[🏟️] 중립 경기: 22
IDN 홈경기: 4
KOR 홈경기: 10
[56]
5골, 압둘 카디르
[57]
6골, 차범근
[UTC+7] [이천수] 이천수 도움[De] 국가대표팀 A매치 데뷔골[61] Ivan Venkov Kolev[F] [MBC] [UTC+2] [박지성] 박지성 도움[설기현] 설기현 도움[설기현] 설기현 도움[3G] [69] Nandar Iskandar[H] [71] 2차전 이후 중국 쿠웨이트가 무승부를 거두는 경우 한국 인도네시아전과 관계없이 두 팀이 조 1, 2위로 토너먼트에 오르는 것이 확정인 상황에서 두 팀은 그대로 0-0 무승부를 만들어 8강 토너먼트에 오른다. 한편 마지막 경기를 승리한 한국은 조 3위로 밀렸지만 8강에 합류한다. 인도네시아는 굴욕적이게도 이번 대회를 무득점으로 마감했다.[UTC+4] [황선홍] 황선홍 도움[노상래] 노상래 도움[노상래] 노상래 도움[2G] [김판근] 김판근 도움[78] 코너킥으로 직접 득점했다. 니어포스트에 있던 하석주와 골키퍼 김병지의 실책[수디르만] 수디르만 도움[80] Muhammad Danurwindo[F] [Xports] 엑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