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0:40:19

연료전지

⚡발전 방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dd72d,#c4b32b> 연소 <colbgcolor=#fff,#2d2f34>화력 발전 (화력 발전소 · 화석연료 · 바이오매스 · e-Fuel · 열병합 발전)
원자력 핵분열 발전 · 핵융합 발전
재생에너지 수력 발전 · 조력 발전 · 파력 발전 · 태양광 발전 · 태양열 발전 · 풍력 발전(해상풍력발전) · 지열 발전
기타 인력 발전 · 연료전지 발전(SOFC) · 열전 발전 · 압전 발전 · MHD 발전 · 에너지 저장 체계
}}}}}}}}} ||

파일:external/www.kids.esdb.bg/fuelcell.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71px-Fuel_cell_NASA_p48600ac.jpg
수소 연료전지 메탄올 연료전지

1. 개요2. 종류
2.1. 구조2.2. 연료
2.2.1. 수소2.2.2. 메테인2.2.3. 에탄올2.2.4. 암모니아
3. 역사4. 효율5. 활용
5.1. 발전5.2. 교통5.3. 무기5.4. 우주
6. 여담

[clearfix]

1. 개요

국문위키
네이버 지식백과

연료전지, , Fuel Cell

말 그대로 연료를 사용해 전기를 만들어 내는 발전기의 일종이다.

2. 종류

2.1. 구조

종류 발전 온도 전해질 주 연료 기술 수준 적용 대상
고분자 전해질형 (PEMFC)[2] 상온~100°C 이온 전도성 고분자 막[3] 수소, 메탄올 상용화 단계 자동차, 열차, 선박, 비행기
알칼리형 (AFC) 상온~100°C 수산화칼륨(KOH) 수소 상용화 단계 우주분야[4]
인산형 (PAFC) 150~200°C 인산(H3PO4) 수소 상용화 단계 열병합발전
용융탄산염 (MCFC)[5] 600~700°C 용융탄산염 수소, 천연가스 개발 단계 열병합발전, 선박
고체산화물 (SOFC)[6] 700~1,000°C 고체산화물 수소, 천연가스 개발 단계 열병합발전, 선박

2.2. 연료

2.2.1. 수소

수소 문서가 다루듯, 2022년 기준 탄소를 배출하는 방식[7]이 더 싸고 대부분이지만, 배출하지 않는 방식(원자력발전소의 부생, 물 전기분해) 쪽이 비싸도 정책적으로 가는 방향이다.

수소는 밀폐된 공간에서 고농도의 산소와 반응, 즉 폭발하는 농도 범위[8]가 넓고 이동과 저장의 효율을 위해 고압으로 압축되므로 위험하다. 그러나, 실사용 환경에서는 액화석유가스도시가스보다 안전하다.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그렇지 LPG 차량과 수소연료전지 차량을 세워 놓고 연료탱크를 실탄으로 사격하는 실험도 한 적이 있는데 LPG 차량은 그대로 폭발한 반면 연료전지 차량의 경우 내부의 가스만 모두 분출되었다는 실험 결과도 있다.* 또한, 분자량이 공기보다 커서 바닥으로 가라앉는 LPG와는 달리 가장 가벼운 분자인 수소의 특성상 누출이 되더라도 순식간에 빠져 나가 버린다는 점도 안전성에 플러스 요인이다(가장 널리 쓰이는 도시가스는 LNG를 써서 공기보다 가볍다. 도시가스라 해도 LPG+Air 방식은 공기보다 무겁다.). 실제 피해를 끼치기 위해서는 폭발하기 위한 최소 농도(4%)까지 쌓여야 하는데, 이마저도 쉽지 않다는 이야기.

2.2.2. 메테인

메테인을 주 성분으로 하는 도시가스(천연가스)를 개질하거나 촉매를 써서 수소를 분리추출하는 경우가 아닌, 메테인 자체를 연료로 쓰는 경우를 되도록 서술한다.

2022년 1월, 블룸에너지는 바이오가스 중 메테인으로 1MW급 SOFC를 돌리는 시운전을 선보이기도 했다. #

2023년 12월, 성균관대학교 이원영 교수, 연세대학교 홍종섭 교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최민기 교수팀이 공동연구로 메테인을 연료로 활용하는 세라믹 연료전지를 개발했다. #

2.2.3. 에탄올

연료전지 공급 전 촉매로 수소를 분리추출하는 경우가 아닌, 에탄올 자체를 연료로 쓰는 경우를 되도록 서술한다.

2016년 8월, 일본 닛산이 에탄올 연료전지자동차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

2020년 3월, 고려대 심준형 교수팀이 세라믹 연료전지를 이용해 에탄올을 바로 연료로 쓰는 기술들을 종합한 2019년 리뷰 논문이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었다. #

2.2.4. 암모니아

2022년 7월, 대한민국 동창생들이 미국에 설립한 아모지(Amogy)가 암모니아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연료전지를 출시했다. 이에 사우디 아람코, SK이노베이션 등이 600억원을 투자했다. #[9]

2023년 6월, 고려대 심준형 교수팀이 세라믹 연료전지로 암모니아 연료로 저온구동에 성공했다. #1

2023년 9월, 한국기계연구원이 암모니아 연료전지 기반기술을 소개했다. #

2023년 12월, 범한퓨얼셀이 선박용 암모니아 연료전지 시스템을 AIP 인증 받았다. #

3. 역사

1957년, 최초의 수소비행기인 미국 NACA의 "Martin B-57B"가 비행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논의는 2020년대부터다.

1959년, 최초의 수소자동차인 미국 앨리스차머스의 연료전지 트랙터가 운전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논의는 1990년대부터다.

1961년, 최초의 우주왕복선용 연료전지는 미국 아폴로 계획부터다.[10] 이후 1998년 국제우주정거장에도 도입되었다.

2000년, 최초의 수소선박인 독일 ZeTeK Power의 "Hydra"가 운전했다. 대한민국은 2006년 재래식 잠수함AIP 시스템에 도입했다.

2008년, 최초의 수소타운이 덴마크 베스텐코브(Vestenskov)에 지어졌다. 가정 및 도시 단위 발전용 연료전지 보급사업. # 이런 보급사업을 일본의 키타큐슈, 후쿠오카, 고베, 네덜란드 흐로닝언, 영국 리즈,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혁신도시들 등이 진행하며 '수소도시/수소타운' 등의 이름을 붙인다.

2016년, 최초의 수소 열차인 프랑스 알스톰의 "Coradia iLint"가 나왔다. 대한민국은 2020년부터 출시했다.

2019년, 대한민국 정부는 "배터리는 소형인 전동기~승용차~선박, 수소는 대형인 상용차~수소 열차~수소비행기~수소선박에 적합하다"고 정리했다.[11] 미래자동차 정책위키

4. 효율

수소산소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해내는 연료전지의 전력생산 효율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40~50% 선이다. 전력을 강조해놓은 이유는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또한 이용할 경우의 효율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효율은 80% 이상이며,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열은 을 가열해 난방이나 온수 등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SOFC, MCFC 등 고온에서 작동하는 연료전지의 경우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많으므로 이를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료를 이용하는 효율이 높아 보일러보다 투입되는 연료는 적으면서 비슷한 에너지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보일러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보일러보다는 매우 비싼 가격[12]이 발목을 잡아서 진척은 더디다.

한편 전력생산 효율 역시 사실 그렇게 낮은 효율은 아니기도 한데, 이것만 해도 어지간한 내연기관들보다는 효율이 높은 편이며, 지금까지 개발된 동력원들 중에서는 전력생산에 있어서 그럭저럭 쓸만한 효율을 가진 편에 속하기 때문이다.[13] 생물에너지 전환율과 비교해 보아도 그러한데, 인간 신체의 미토콘드리아를 통한 포도당 에너지 전환율이 약 40%인 것을 생각해봐도 그러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5. 활용

용량 고정
(발전소)
육상교통
(자동차, 열차)
수상교통
(선박)
공중교통
(비행기, 우주선)
<colbgcolor=#87CEFA> 1~3 kW 가정용 전동기 드론 우주왕복선
20~100 kW 건물용 승용차 어선 0-2인[14] 우주정거장
200~400 kW[15] 상용차 동차/트램 여객선/잠수함 3-5인[16] 달 기지
1~4 MW 단지용 기관차 크루즈선 6-20인[17]
4~10 MW 비행기
40~100 MW 소형 화물선/군함/잠수함[18]
100~1000 MW[19] 도시용 대형 화물선/군함/잠수함

5.1. 발전

연료전지가 생산한 전기를 '고정된' 가정, 건물, 단지, 도시에 사용하는 경우, 발전소의 한 종류가 된다.

5.2. 교통

별도의 분리된 문서 참고.

5.3. 무기

재래식 잠수함AIP - 기존 디젤 엔진 잠수함은 가동을 위해 수면에 접근해 스노클을 올려야 했고, 시끄러운 소음과 진동이 발생해 적군의 표적이 되어 위험천만하다. 하지만 연료전지를 이용하면 산소수소만 공급해주면 외부 공기가 필요하지 않고 발전이 가능해 수중 작전이 가능해진다. 기존 이차 전지보다 큰 전력 저장이 가능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연방전 문제도 덜하다. #. 대한민국 해군손원일급 잠수함도산안창호급 잠수함 등이 이에 해당한다.

5.4. 우주

우주왕복선 - 1969년, 인류가 처음 지구 외의 천체에 발을 디딘 아폴로 11호에 들어간 연료전지가 2.3kW다. 이는 2020년대 일반적인 수소드론 용량 정도다. 이후 1972년~2011년[20], 미국 우주왕복선 오비터(본체)에는 96셀의 수소연료전지가 들어갔다. 셀 하나가 7,000~12,000와트의 전력을 15분간 발전할 수 있었다. 사실 이렇게 전력이 많이 필요하지는 않았으며 대개 한 번의 미션에서 완전히 방전되는 셀은 한 개 정도였다고 한다.

우주정거장 - 1998년 발사된 국제우주정거장은 총 100kW의 연료전지를 갖췄으나, 30kW는 연구용이다.

월면차 - JAXA토요타가 공동 개발하는 월면차루나 크루저 등은 연료전지를 이용할 예정이다. 1만 km 이상 주행을 목표한다. 상세 내용은 루나 크루저아르테미스 계획 등 참조.

6. 여담

2024년 6월, 부산 지하철 승강장에 누가 "소금물 연료전지 시계"를 두고 가, 이를 폭발물로 오인해 운행이 중단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


[1] 일반적으로 1차/2차는 Primary/Secondary 의미로서 2차OO는 1차OO를 이용한OO란 의미가 크다. (예를 들면, 1차산업 생산물을 가공하는 2차산업 /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1차조사, 1차조사된 자료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2차조사 / 자연물로부터 전기를 얻는 1차전지, 발전기 없던 시절에 1차전지로부터 전기를 충전하며 재사용하는 2차전지 등.) 본 문단의 문맥상으로는 1세대/2세대/3세대 기술발전단계를 거친 전지란 의미로 1차/2차/3차란 단어를 사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올바른 용법으로 사용되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2]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폴리머 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3] Proton Exchane Membrane 혹은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이 막이 '젖어' 있어야 해서 겨울철 냉시동도, 가동하며 80도가 넘어가도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물 없이도 작동가능케 하는 연구가 2020년대 이어진다. 2022년 예시[4] 다른 연료전지들과는 달리 이산화탄소에도 쉽게 피독되어 지상에서 사용이 어렵다[5] Molten Carbonate Fuel Cell. 용융 탄산염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주로 대규모 발전용으로 개발된다.[6] Solid Oxide Fuel Cell. 세라믹과 같은 고체 산화물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전해질이 고체이므로 이온을 통과시키기 위해 고온에서 작동시킨다.[7] 석유화학공장의 부생, 탄화수소의 개질[8] 4~75%[9] 이후 2023년 3월 SK이노베이션이 600억원을 추가 투자했다. #[10] 연료전지 시스템의 액체산소 탱크가 폭발한 것이 아폴로 13호의 사고 원인이었다.[11] 2000-2010년대 소형 교통수단, 휴대용 전자기기 분야도 연료전지를 시도하며 얻은 결론. 2006년엔 삼성전자가 연료전지로 작동하는 노트북을 만들기도 했다.[12] 1kW급 연료전지가 약 3천만 원 수준[13] 사실 내연기관 기술은 거의 완성 단계임에도 카르노 효율 문제와 더불어 평균효율이 3~40%이고 이론상 최대 효율이 60% 정도 밖에 미치지 못하는 데 비해, 연료전지는 개발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어지간한 내연기관보다는 효율이 뛰어나며, 카르노 효율 문제를 적용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거의 없어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14] 화물드론, 경비행기, PAV[15] 1MW 이하의 추진시스템은 수소와 이차 전지가 경제성을 경쟁한다.[16] 소형 UAM[17] 대형 UAM, RAM, 헬리콥터[18] 2019년 독일 MAN이 85MW급 암모니아추진선 연구 시작.[19] 100MW 이상의 추진시스템은 수소와 SMR이 경제성을 경쟁한다.[20] NASA는 의외로 최첨단 기술을 굉장히 꺼리며 어떤 기술이 일단 확실히 입증되면 그걸 계속 쓰려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허나 연료전지는 수소 때문에 상당히 위험한 물건으로 화재에 대비해 전부 석면으로 포장되어 있었는데, 석면 자체도 건강에 매우 위험한 물질이라… 이래저래 꺼림직한 물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