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19:57:30

연오랑과 세오녀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4A2D5B> 연오랑과 세오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등장인물 <colbgcolor=#fff,#1f2023>연오랑 · 세오녀 · 아달라 이사금
무대 호미곶
관련 장소 오랑대
}}}}}}}}} ||


1. 개요2. 내용3. 해석
3.1. 일본 신화와의 연관성

1. 개요

한국에 전해 내려오는 전설. 현재 전해지는 버전은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것이다.[1] 무대가 되는 곳은 경상북도 포항시 호미곶(영일만) 일대이며, 호미곶에 가면 연오(延烏)와 세오(細烏) 부부의 동상이 있다.

2. 내용

第八阿逹羅王即位四年丁酉東海濵有延烏郎細烏女夫婦而居. 一日延烏歸海採藻忽有一巖負歸日本. 國人見之曰 “此非常人也”, 乃立爲王.
(신라의) 8대 아달라왕 4년 정유(157)[2]연오랑, 세오녀 부부가 동해안에 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연오가 해초를 따다가 바위가 움직이더니 그를 실은 채 바다를 건너 일본으로 갔고, 일본인들은 비범한 사람이라며 왕으로 삼았다.

細烏恠夫不來歸尋之見夫脫鞋亦上其巖, 巖亦負歸如前. 其國人驚訝奏献於王, 夫婦相㑹立爲貴妃.
세오는 남편이 돌아오지 않는 것을 이상히 여기다 남편이 벗어놓은 신발을 보고 바위 위에 올랐다. 그러자 그 바위는 또다시 움직여 세오를 일본으로 데려갔고 세오는 연오와 재회해 왕비가 되었다.

是時新羅日月無光. 日者奏云 “日月之精降在我國, 今去日本故致斯怪.” 王遣使來二人, 延烏曰 “我到此國天使然也. 仐何歸乎. 雖然朕之妃有所織細綃, 以此祭天可矣.” 仍賜其綃. 使人來奏, 依其言而祭之然後日月如舊. 藏其綃於御庫爲國寳, 名其庫爲貴妃庫. 祭天所名迎日縣又都祈野.
한편, 그 때 신라에서는 해와 달이 빛을 잃었다. 신라 아달라왕이 점술가를 불러 까닭을 점치게 하자 점술가는 우리나라의 해와 달의 정기를 품은 이들이 일본으로 갔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3] 이에 신라 왕이 사람을 보내어 연오와 세오에게 돌아오도록 촉구했으나 두 사람은 돌아올 수 없다 하고 대신 세오가 직접 짠 비단을 보내었다. 왕이 그 비단으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자 비로소 해와 달이 빛을 되찾았다. 그 비단을 국보로 보관한 창고를 귀비고(貴妃庫), 비단으로 제사를 지내던 곳은 훗날 도기야(都祈野) 혹은 영일현(迎日縣)이라 불렸다.
삼국유사 기이(紀異) 제1, 연오랑 세오녀(延烏郞 細烏女) ##

전설에 따르면 신라 8대 아달라 이사금 시대에 해안가 마을에 살던 연오와 세오 부부가 살고 있었는데 하루는 남편 연오가 해초를 따기 위해 해안가에 가서 우연히 바위 하나를 보게 되었다. 해초를 따기 위해 받침대로 쓰려던 중 바위가 갑자기 어디론가 가는데 이 무렵에 일본 어느 지방 사람들이 왕을 달라 기원의식을 치르던 중 연오를 보고 "오오, 우리의 왕이시다!"라고 외치며 그를 왕으로 모시게 된다.

연오는 일본 분왕이 되었지만 아내 세오 걱정에 뜬눈과 눈물로 하루를 지새던 중 우연히 남편을 걱정하던 세오도 남편이 탔던 바위에 올라타고 남편이 있는 그 지역까지 오게 된다.

왕인 연오는 크게 기뻐하였고 일본인들은 세오를 왕비로 모시며 새로운 군주로 모시며 지내게 되었지만 신라에 큰 문제가 생겼다.

신라 내 해와 달이 빛을 잃자 아달라왕은 혼란스러운 와중 일관에게 점을 쳐 보라 명하고 이에 일관이 "감히 아뢰옵니다만, 점을 쳐 본 결과 이 이변은 이 나라의 태양의 정기인 남자와 달의 정기인 여자가 신라를 떠나 왜국으로 간 걸로 보입니다."라고 결과를 알렸다.

아달라 이사금은 사신을 보내 연오와 세오를 모셔오도록 부탁하나 연오와 세오는 "이 곳의 군주가 된 것도 하늘의 뜻입니다. 하지만 나라에 위기가 닥쳤다니... 대신, 이 비단을 가지고 제사를 지내면 될 겁니다."라고 하면서 세오가 짠 비단을 전해준다.

아달라 이사금은 사신이 세오에게서 받은 비단을 제단에 올린 뒤 제사를 지냈고 태양과 달은 다시 빛을 되찾았다고 한다.

3. 해석

연오랑과 세오녀에서 랑(郞)과 녀(女)는 성별을 나타내기 위해 붙었으니 정확히는 '연오'와 '세오'라고 해야 바르며 실제로 원문에서도 그렇게 부르고 있다. 6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도 이 설화가 '연오와 세오'라는 제목으로 올라가 있다. 또 이 두 사람의 이름에 들어가는 오는 까마귀 오(烏)로 삼족오로 대표되는 '태양'을 상징하는 암시적인 글자이며, 그들이 일본에 가서 돌아오지 않았다는 것은 여러가지 의미로 해석된다고 한다.

아달라 이사금 항목에 나오듯이 당시 신라 조정에서는 여러 가지 혼란이 있었다. 정치적으로도 문제가 많이 있었고 각종 천재지변도 있었다.[4] 결국 아달라 이사금 사후에는 박혁거세계 박씨의 왕위 계승이 끝나고 석탈해의 후손인 석씨에게 왕권이 넘어가는데, 이와 연관지어 권력 투쟁에서 패한 신라 귀족이 해와 달의 정기로 상징되는 귀중한 무언가를 갖고 일본으로 망명을 한 일이 이 설화의 배경이 되지 않았나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어부 부부가 일본에서 왕과 왕비가 되었다는 부분이 현실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연오과 세오가 실제로 어부였다는 것에 대해 일본과 한국 양측 모두 대체로 부정적이다. 이 둘이 원래 한반도에서 귀족 혹은 방계 왕족과 같이 비교적 지체가 높은 사람들이었고 일본으로 건너가 당시의 일본 중앙 귀족 혹은 지역 지배 계층으로 편입된 신분 높은 사람들일 것이라는 추측이 지배적이다[5].

그 외에 특기할 만한 것으로는 한국사 문헌에 이름을 남긴 일월성신신화라는 것이 있다. 한국사에서 메이저한 사서에 등재된 일월신화는 연오와 세오가 유일하다. 궁상이와 해당금이는 민간 설화, 해님달님은 전래동화다.[6]

천랑열전연오랑이 여기서 이름을 따왔다. 그런데 연오랑은 위 이야기도 그렇지만 전형적인 신라계 이름인데 고구려인 이름으로 썼다. 포항시의 지명이자 옛 이름인 연일(延日), 영일(迎日), 오천(烏川) 등은 모두 이 설화에서 유래된 이름들이다.

고대 이후에는 고려공민왕 당시 영일현 감무로 부임한 이인부라는 사람이 이곳에 일월지사적비를 세우고 주민들은 봄, 가을 혹은 중양절에 천제단을 만들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고 전한다. 16세기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의 영일 고적(古跡) 조에는 영일현에서 동쪽으로 10리 떨어진 도기야에 있는 연못[7]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유적들은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 그리고 산업화를 거치며 폐허가 되어 잊혀졌다. 근래에는 포항시에서 이곳을 중건하고 일월사당을 새로 건립하여, 매년 10월 열리는 일월문화제에서 주민들이 다시 제사를 올린다고 한다. 도기야는 해가 돋는 들이란 뜻으로 '돋이들(도지들)'의 한자표기이다.

해당 설화에 나오는 '세오녀'에서 '오'는 까마귀 오()이다. 세오녀가 긍정적인 인물로 나온다는 점에서 삼족오와 함께 우리 조상은 사실 까마귀길조로 여겼다는 근거 중 하나로 주장하는 이들도 존재한다.

3.1. 일본 신화와의 연관성

일본서기에 따르면 스이닌 덴노 3년 3월 신라 왕자 천일창(千日槍)이 8가지 보물을 가지고 대한해협을 건너 도래하여 다지마국에 정착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를 연오 설화와 연관짓는 의견도 있다. 물론 시기상으로는 천일창이 100여 년 정도 빠르지만 삼국사기 초반부와 일본서기 연대 기록은 신뢰도가 다소 떨어지는 터라[8] 시대차가 좀 나도 동시대 인물일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문헌 상 기록이 부정확한 부분이 있고, 이 둘을 연관 지을 수 있는 증거가 신라인이라는 것과 보물을 가지고 왔다라는 것밖에 없어 학계에서는 둘이 동일인이라는 주장에 부정적인 학자들이 많다.

세오가 길쌈한 베를 보내었다는 것과 이후에 길쌈의 신이 된다는 것에서 일본에 길쌈기술이 전해진 것으로 이해하기도 하고,[9] 연오랑은 이에 대응하여 제련기술이 전해진 것으로 본다. 역사스페셜에서는 심지어 '연오랑 세오녀 일본의 신(神)이 되었나?' 편에서 연오와 세오가 스사노오의 모티브라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링크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신화학은 소위 끼워맞추기라고 불리는 해석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때문에 연오 세오가 스사노오의 모티브라는 주장은 어디까지나 한국 내 일부의 주장이고, 고대사와 고대 신화 전문가들은 역사 스페셜에서 나온 것과 같이 당대의 문헌 및 유물/유적 증거가 뒷받침되지 않은 정황 증거만으로 신화의 원류를 추적하는 것에 대해서 대체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10]
KBS 역사 스폐셜 - 연오랑 세오녀,
일본의 신이 되었나?

그리고 원문에서는 연오랑이 타고 간 바위에 대해서 忽有一巖負歸日本(갑자기 바위 하나가 그를 싣고 일본으로 데려갔다.)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재미있는 것이 負歸이다. 연오랑은 본인이 가고 싶다고 원해서 자의적으로 바위를 타고 일본으로 건너간 것이 아니라, 일본에서 찾아온 바위가 그를 태우고 일본으로 간 것이기 때문이다.[11] 이는 세오가 건너올 때에도 巖亦負歸如前(바위는 (그녀) 또한 업고서 전과 같이 (일본으로) 갔다.)이라고 해서, 負歸를 사용하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천일창과 비교해보면 급한 쪽이 정반대로 묘사된 것이다. 일본 측 기록인 고사기에 따르면 아내가 먼저 도망가고, 남편이 아내를 찾아 일본으로 떠난 것이라고 한다. 다만 이런 분석은 앞서 언급했듯이 천일창과 연오랑이 동일인인지부터 논란이 많기 때문에 학계의 정설은 아니다.

한국 남부 해안 및 동부 해안과 인접한 규슈주고쿠 지방은 고대부터 삼한, 백제, 가야, 신라 등 한반도 고대 국가들과의 교류가 많았고, 때문에 고대 한반도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명들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이즈모 서쪽에 위치한 오다시 현지 바닷가, 산인 본선 이소타케역 인근에 가라카미시라기(韓神新羅, 한신 신라) 신사라는 신사가 있고, 여기서 구로라는 이름으로 마츠리 비슷한 행사를 한다. 현지 주민들도 정확히 왜 신라라는 이름이 붙었는지, 구로가 뭔지 정확히 모르고, 현재에 와서는 유적/유물 증거도 문헌 증거도 없기 때문에 연원을 추적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12] 다만 신라라는 이름 자체는 한반도의 고대 국가인 신라와 관련이 있는 게 확실하다는 인식이 강하고, 때문에 가라카미시라기 신사에 가면 일본어 안내판에서 한국과 관련된 이름일 가능성과 한일관계에 대해 써 있다. 거기서 머지 않은 곳 마을 앞바다에 가라시마(韓島)라는 작은 섬도 있고, 그 섬에 가라시마 신사도 있다. 이처럼 규슈와 주고쿠에는 고대 한반도 지역과 교류한 흔적들이 남아있고, 이 때문에 연오와 세오 이야기를 일본 고대사 혹은 고대 신화와 연관지어 생각하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1] 삼국유사를 쓴 일연수이전이라는 신라 말 혹은 고려 초의 책에 쓴 책을 보고 인용해 쓴 것이다. 수이전은 설화 모음집 같은 책으로 일연 때(고려 시대)는 남아 있었지만 지금은 세월이 흐르면서 없어졌다.[2] 실제로는 아달라 이사금이 아니라 한 갑자 빠른 파사 이사금 시절(97년)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연오랑과 동일인물로 보이는 천일창이 신라왕의 형으로 나오기 때문. 특히 일본서기에서 천일창의 등장시점이 기원전 27년, 이주갑인상을 고려했을 때 기원후 93년이라는 점도 작용한다.[3] 당시에는 일본이라는 국호가 없었지만 삼국유사에는 일본(日本)이라는 국호를 언급하는 것으로 나온다.[4] 설화에서 해가 빛을 잃었다고 하며 언급되는 일식도 아달라왕 때 실제로 있었다.[5] 다만 진짜 어부라고 해도 딱히 이상할 것은 없는게, 냉동 기술이 없었던 옛날에는 어부도 엄연한 고소득 직종이라서, 부유층이나 지배 계층이 어업에 종사한 경우도 꽤 드물지 않았다. 그리스 로마 신화페르세우스 설화에 등장하는 세리포스 섬의 왕제인 딕티스나,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12제자들 중 한 명인 베드로가 신화 속 고위층 어부의 대표적인 사례다.[6] 물론 햇님달님도 오랜 세월 전승되면서 원형을 잃고 너프(?)되어 전래동화 급으로 전락한 것이지, 거의 모든 인류문명에서 태양신은 절대적인 신으로 숭배되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매우 신화적인 원형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7] 이 연못을 일월지라고 한다.[8] 일본서기의 연대기에 오류가 있다는 건 확실한 정설이다.(이주갑인상 문서 참조) 삼국사기 초반부의 연대 오류도 한국 학자들 중 일부는 부정하나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역사학계의 전반적 정설은 오류가 있다는 것이다.[9] 길쌈 관련 기록은 이것 말고도 추석 명절이 최초로 언급된 유리 이사금 기록 등 신라 초기부터 여러 번 나온다.[10] 서양 신화학에서도 정황 증거를 통해 이집트 신화에서 따 온 것이란 통설이 있었던 유럽과 근동 지역 신화들의 요소들 중 일부가 정밀한 연구를 통해 이집트 신화가 아니라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라거나 심지어는 지역 내에서 자연 발생한 것이라고 수정되는 등의 사례가 있었다.[11] 負는 이 행동의 주체가 연오랑이 아니라 바위라는 것을 의미하고, 歸는 바위가 원래 일본에 있다가 이 때 연오랑 근처로 찾아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12] 굴직현(屈直縣)=기량현(祈梁縣) 굴지(屈支)=기양(祈陽) 굴 주(呪) 옛말 빌다는 뜻의 굴과 연관이 있지 않을까 하는 추측도 있지만 이 역시 정확한 증거가 없어 가설의 단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