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문서 참고하십시오.
각 군 참모총장 | ||||
합동참모의장 | 국방참모총장 | 육군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
1. 개요
陸軍參謀總長 | Chief of Staff of the Army (CSA)육군본부의 수장으로 육군 전체의 최선임 장교이다.
보통 육군 최고 선임 장교를 의미한다. 물론 나라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육군사령관이 최고 선임 장교인 나라도 있다. 육군참모총장의 경우에는 대체로 합동참모본부의 인원으로 국방장관에게 조언을 하는 참모이며, 육군사령부의 사령관은 지휘관이다.
육군참모총장의 경우 나라에 따라 군령권(지휘권)이 주어지는 경우도 있고, 군령권 없이 참모의 역할만 수행하는 경우도 있는데, 지휘관에서 참모로 이행하는 경향이 있다.
국방부의 역할에 따라 최선임 장교의 성격이 달라진다. 국군의 경우 미군정 시절 남조선 국방경비대의 육군사령관이었으나,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잠깐 육군총사령관 직책을 두었다가 대한민국 육군의 육군참모총장으로 바뀌었다.
2. 대한민국 육군
2.1. 역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문서 참고하십시오.
3. 미국 육군
미군 합동참모본부의 현역 대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4169e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 합동참모의장 | ||
찰스 브라운 (공군) | |||
합동참모차장 | |||
크리스토퍼 그레이디 (해군) | |||
육군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 |
랜디 조지 | 리사 프란체티 | 데이비드 올빈 | |
육군참모차장 | 해군참모차장 | 공군참모차장 | |
제임스 밍거스 | 제임스 킬비 | 제임스 슬라이프 | |
해병대사령관 | 해안경비대사령관 | 우주군참모총장 | |
에릭 스미스 | 린다 파간 | 챈스 솔츠먼 | |
해병대부사령관 | 해안경비대부사령관 | 우주군참모차장 | |
크리스토퍼 마호니 | 케빈 룬데이 | 마이클 게틀린 | |
주방위군총감 | |||
스티븐 노드하우스 (공군) | }}}}}} ※ 둘러보기: 합동참모본부 소속 대장, 통합전투사령관, 통합전투사령부 }}}}}}}}} |
현직 |
랜디 조지 |
미국육군사관학교 '88 |
현재 미국 육군참모총장은 군령권이[1] 없고, 한국군과는 달리 군정권도 없으며, 합참에 참가하는 자문에 가깝다. 웨스트포인트에서는 한국 육사와 같은 누적 기수제 대신 졸업년도로 기수를 적는다.
1787년부터 1903년까지는 육군의 최선임은 육군총사령관(Commanding General of the United States Army)이었다. 초대 사령관은 조지 워싱턴이었다. 초기엔 이런 호칭도 없어서 워싱턴은 선임장교(Senior Officer)라 불렸고 1821년에서야 총사령관(Commanding General)으로 호칭이 바뀌었다. 대륙군 시절에는 장성계급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아서 조지 워싱턴은 대륙군 시절에는 General이었지만 미 육군에서는 중장(LTG)이었다. 1903년에 육군참모총장(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rmy)으로 바뀌었다.
3.1. 역대 미국 육군참모총장
미합중국 육군참모총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새뮤얼 영 | 애드너 채피 | 존 C. 베이츠 | J. 프랭클린 벨 | 레너드 우드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윌리엄 월레스 워더스푼 | 휴 L. 스콧 | 태스커 H. 블리스 | 페이턴 C. 마치 | 존 조지프 퍼싱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존 L. 하인즈 | 찰스 펠럿 서머올 | 더글러스 맥아더 | 말린 크레이그 | 조지 C. 마셜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오마 브래들리 | J. 로턴 콜린스 | 매튜 B. 리지웨이 | 맥스웰 테일러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리먼 렘니처 | 조지 데커 | 얼 휠러 | 해럴드 K. 존슨 |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크레이튼 에이브럼스 | 프레드릭 웨이안드 | 버나드 W. 로저스 | 에드워드 마이어 | 존 위컴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
칼 E. 부오노 | 고든 R. 설리번 | 데니스 라이머 | 에릭 신세키 | 피터 슈메이커 | |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조지 케이시 | 마틴 뎀프시 | 레이먼드 오디어노 | 마크 밀리 | 제임스 매콘빌 | |
제41대 | |||||
랜디 조지 | }}}}}}}}} |
- 대륙군 선임장교
1대 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 장군: 1775-1783
- 미국 육군 선임장교
1대 헨리 녹스(Henry Knox) 소장: 1783-1784
2대 존 더티(John Doughty) 소장: 1784-1784. 소집이 해제돼서 미 육군이 80명이던 시절에 근무했다.
3대 조사이어 하마(Josiah Harmar) 준장: 1784-1791
4대 아서 클레어(Arthur St. Clair) 소장: 1791-1792
5대 앤서니 웨인(Anthony Wayne) 소장: 1792-1796. 재직 중 사망.
6대 제임스 윌킨슨(James Wilkinson) 준장: 1796-1798
7대 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 중장: 1798-1799. 재직 중 사망. 대통령 퇴임 후에 했다.
8대 알렉산더 해밀턴(Alexander Hamilton) 소장: 1799-1800. 그 알렉산더 해밀턴이 맞다. 워싱턴이 다시 군생활을 하면서 그의 부장 겸 군 감사관(Inspector General)으로 임명되었었다. 실질적으로는 은퇴했던 워싱턴보단 해밀턴이 업무를 일임했고 워싱턴이 죽은 뒤에는 선임장교직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9대 제임스 윌킨슨 준장: 1800-1812. 6대를 역임했다.
10대 헨리 디어본(Henry Dearborn) 소장: 1812-1815. 대륙군에서 근무한 뒤 1783년에 대령으로 전역하고 민간인 생활하다가 1812년에 장군으로 재소집됐다.
11대 제이콥 브라운(Jacob Brown) 소장: 1815-1821. 8대 선임장교였던 알렉산더 1798년부터 1799년까지 해밀턴의 부관일을 하며 군사교육을 받았지만 1807년에서야 대위로 임관했다.
- 육군총사령관
1대 제이콥 브라운 소장: 1821-1828. 마지막 선임장교였다. 재직 중 사망.
2대 알렉산더 매콤(Alexander Macomb) 소장: 1828-1841. 재직 중 사망. 1799년에 뉴욕민병대에 들어갔다가 1800년에 소위로 임관했는데 군이 해산됐다. 1801년에 재소집돼서 소위로 다시 시작했다.
3대 윈필드 스콧(Winfield Scott) 중장: 1841-1861. 1807년에 입대하여 기병대 상병으로 근무하다가 1808년에 대위로 임관했다.
4대 조지 매클렐런(George B. McClellan) 소장: 1861-1862. 육사 1846년. 임관한 지 15년 만에 사령관이 됐다.
5대 헨리 할렉(Henry Halleck) 소장: 1862-1864. 육사 1839년.
6대 율리시스 그랜트(Ulysses S. Grant) 대장: 1864-1869. 18대 미국 대통령. 육사 1843년. 성적은 39명 중 21등이었다.
7대 윌리엄 테쿰세 셔먼(William Tecumseh Sherman) 대장: 1869-1883. 육사 1840년.
8대 필립 셰리든(Philip Sheridan) 대장: 1883-1888. 재직 중 사망. 경리로 일하다가 자신의 고객인 웨스트포인트에 1848년에 입학했다. 수학을 못 해서 낙제하는 바람에 1년 늦은 1853년에 졸업했다.
9대 존 M. 스코필드(John M. Schofield) 중장: 1888-1895. 육사 1853년.
10대 넬슨 마일스(Nelson A. Miles) 중장: 1895-1903. 옷가게 점원으로 일하다가 1861년 22자원보병연대에서 소위로 임관했다.
- 육군참모총장
1대 새뮤얼 영(Samuel B. M. Young) 중장: 1903-1904. 1861년 4월에 이등병으로 입대했고 같은 해 9월에 자원병 대위로 진급했다. 남북 전쟁 당시에는 평소엔 예비군처럼 굴러가던 미군이 갑자기 커졌기 때문에 이런 일이 빈번했다.
2대 애드너 채피(Adna Chaffee) 중장: 1904-1906. 1861년에 이등병으로 입대해서 1863년에 소위로 임관했다. 미군 역사에서는 아들인 애드너 채피 주니어의 이름으로도 많이 언급되는데, 소장까지 지낸 이 아들 채피는 양차대전 전간기에 기갑부대 육성에 큰 공헌을 했고 M24 경전차에 이름이 붙었다.
3대 존 베이츠(John C. Bates) 중장: 1906-1906. 세인트루이스의 워싱턴대학을 나온 뒤에 있다가 북군 11보병연대에서 소위로 임관했다.
4대 J. 프랭클린 벨(J. Franklin Bell) 소장: 1906-1910. 육사 1878년.
5대 레너드 우드(Leonard Wood) 소장: 1910-1914. 하버드메디컬스쿨을 나온 뒤에 1885년에 군의관으로 입대했다.
6대 윌리엄 월레스 워더스푼(William W. Wotherspoon) 소장: 1914-1914. 1870년에 미국 해군으로 입대하여 준사관[2]을 하다가 1873년에 육군 장교로 임관했다.
7대 휴 L. 스콧(Hugh L. Scott) 소장: 1914-1917. 육사 1876년.
8대 태스커 H. 블리스(Tasker H. Bliss) 대장: 1917-1918. 육사 1875년.
9대 페이턴 C. 마치(Peyton C. March) 대장: 1918-1921. 육사 1888년.
10대 존 J. 퍼싱(John J. Pershing) 대원수: 1921-1924. [요약1]
11대 존 L. 하인즈(John L. Hines) 소장: 1924-1926. 육사 1891년.
12대 찰스 펠럿 서머올(Charles Pelot Summerall) 대장: 1926-1930. 육사 1892년. 특이한 경우인데 교사로 일하다가 들어갔다.
13대 더글러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 원수: 1930-1935. 당시엔 대장. 육사 1903년.
14대 말린 크레이그(Malin Craig) 대장: 1935-1939. 육사 1902년.
15대 조지 C. 마셜(George C. Marshall) 원수: 1939-1945. 버지니아 군사대학(Virginia Military Institute)을 졸업한 뒤 1902년에 임관했다.
16대 드와이트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 원수: 1945-1948. [요약2]
17대 오마 브래들리(Omar Bradley) 원수: 1948-1949. 육사 1915년. 참모총장 재직 당시엔 대장이었으며 이후 합동참모의장이 되고 6.25 전쟁이 발발하자 원수로 진급한다.
18대 J. 로턴 콜린스(J. Lawton Collins) 대장: 1949-1953. 육사 1917년. 마이클 콜린스의 삼촌이다.
19대 매튜 리지웨이(Matthew B. Ridgway) 대장: 1953-1955. 원래 1912년에 웨스트포인트를 지원했다가 떨어지고 재수해서 1913년에 들어갔는데 졸업을 1년 미룬 임관유예자였다고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육사 1917년.
20대 맥스웰 테일러(Maxwell D. Taylor) 대장: 1955-1959. 육사 1922년. 밴드 오브 브라더스로 유명한 제101공수사단장을 역임했으며 종전 후 육사 교장에 올랐다가 한국전에 미8군 사령관으로 참전하기도 했다. 육군참모총장을 마치고 퇴역했다가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현역 복귀 조치가 내려지며 합동참모의장까지 지냈다.
21대 리먼 렘니처(Lyman L. Lemnitzer) 대장: 1959-1960. 육사 1920년.
22대 조지 데커(George H. Decker) 대장: 1960-1962. 라파예트 칼리지를 졸업한 뒤 1924년에 임관했는데 학사장교인지 ROTC인지는 불분명하다. 1957년 공식적으로 창설된 주한미군의 초대 사령관을 지냈다.
23대 얼 휠러(Earle G. Wheeler) 대장: 1962-1964. 육사 1932년.
24대 해럴드 K. 존슨(Harold K. Johnson) 대장: 1964-1968. 육사 1933년.
25대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William C. Westmoreland) 대장: 1968-1972. 육사 1936년. 베트남 사령관이기도 했는데 동양인의 생명은 서양인의 생명보다 가볍다란 발언으로 물의를 빚었다.
권한대행 브루스 파머 주니어(Bruce Palmer, Jr.) 대장: 1972-1972. 육사 1936년.
26대 크레이튼 에이브럼스(Creighton W. Abrams) 대장: 1972-1974. 웨스트모어랜드 대장과 마찬가지로 주월미군 사령관을 지냈다. 에이브럼스 대장의 이름을 따서 M1 에이브람스의 이름이 붙여졌다. 육사 1936년. 임기중 사망했다.
27대 프레드릭 웨이안드(Frederick C. Weyand) 대장: 1974-1976.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ROTC 1938년.
28대 버나드 W. 로저스(Bernard W. Rogers) 대장: 1976-1979. 육사 1943년[5].
29대 에드워드 마이어(Edward C. Meyer) 대장: 1979-1983. 육사 1951년.
30대 존 위컴(John A. Wickham, Jr.) 대장: 1983-1987. 육사 1950년. 12.12 군사반란과 5.18 민주화운동의 격동기에 한미연합군사령관을 지냈다.
31대 칼 E. 부오노 (Carl E. Vuono) 대장: 1987-1991. 육사 1957년.
32대 고든 R. 설리번(Gordon R. Sullivan) 대장: 1991-1995. 노르위치대 출신 학사장교 1959년.
33대 데니스 라이머(Dennis J. Reimer) 대장: 1995-1999. 육사 1962년.
34대 에릭 신세키(Eric K. Shinseki) 대장: 1999-2003. 최초의 비백인 및 아시아계 육군참모총장. 육사 1965년.
35대 피터 슈메이커(Peter J. Schoomaker) 대장: 2003-2007. 와이오밍대 ROTC 1969년. 델타 포스 연대장 출신으로 특수작전 쪽에서 배출된 보기드문 참모총장.[6] 이전의 맥스웰 테일러 장군과 마찬가지로 원래 USSOCOM 사령관을 끝으로 퇴역했다가 다시 현역으로 복귀하여 임명되었다. 동생인 에릭 슈메이커(Eric Shoomaker)도 육군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하며 육군 의무병과의 최선임인 육군 의무감(중장)까지 올랐다.
36대 조지 케이시(George W. Casey, Jr.) 대장: 2007-2011. 육사 1970년.
37대 마틴 뎀프시(Martin E. Dempsey) 대장: 2011-2011. 인선 과정에서 합참의장으로 유력시되던 제임스 카트라이트 합참차장이 낙마하며 참모총장 인선이 확정된 뒤 다시 합참의장 청문회에 끌려나왔고, 그 결과 2차대전 이래 최단기간 재임 육참총장으로 기록되었다. 육사 1974년.
38대 레이먼드 오디에어노(Raymond T. Odierno) 대장: 2011-2015. 육사 1976년. 이라크 주둔군 사령관 출신으로, 4보병사단장 시절 사담 후세인을 생포한 레드 던 작전을 지휘했다.
39대 마크 밀리(Mark A. Milley) 대장: 2015-2019. 프린스턴 대학교 ROTC 1980년. 합참의장으로 영전.
40대 제임스 매콘빌(James C. McConville) 대장: 2019-2023. 육사 1981년. 참모차장 재임 시 미래사령부 창설 주도. 육군항공 출신 최초의 참모총장.
41대 랜디 조지(Randy George) 대장: 2023-.
미군이 임관연도 같은 기수제를 까다롭게 적용하는 편은 아니지만[7] 인선에 있어 연령대 문제는 꽤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1990년대부터는 50대 중후반의 일정한 연령대에서 기존에 1~2개 대장 보직을 거친 장군들이 임명되는 편이다.
4. 육상자위대
육상자위대 육상막료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경찰예비대 중앙본부장 겸 총감 하야시 게이조 | 보안대 제1막료장 하야시 게이조 | 초대 쓰쓰이 다케오 | 제2대 스기야마 시게루 | 제3대 스기타 이치지 |
제4대 오모리 간 | 제5대 아마노 요시후사 | 제6대 요시에 세이이치 | 제7대 야마다 마사오 | 제8대 기누가사 하야오 | |
제9대 나카무라 류헤이 | 제10대 마가리 도시로 | 제11대 미요시 히데오 | 제12대 구리스 히로오미 | 제13대 다카시나 다케히코 | |
제14대 나가노 시게토 | 제15대 스즈키 도시미치 | 제16대 무라이 스미오 | 제17대 와타나베 게이타로 | 제18대 나카무라 모리오 | |
제19대 이시이 마사오 | 제20대 데라시마 다이조 | 제21대 시마 아쓰시 | 제22대 니시모토 데쓰야 | 제23대 도미자와 히카루 | |
제24대 와타나베 노부토시 | 제25대 후지나와 유지 | 제26대 이소지마 쓰네오 | 제27대 나카타니 마사히로 | 제28대 맛사키 하지메 | |
제29대 모리 쓰토무 | 제30대 오리키 료이치 | 제31대 히바코 요시후미 | 제32대 기미쓰카 에이지 | 제33대 이와타 기요후미 | |
제34대 오카베 도시야 | 제35대 야마자키 코우지 | 제36대 유아사 고로 | 제37대 요시다 요시히데 | 제38대 모리시타 야스노리 | }}}}}}}}} |
현직 |
모리시타 야스노리 (森下泰臣) |
방위대학교 32기(육군사관학교 44) |
육상막료장(陸上幕僚長). Chief of Staff, Ground Self-Defense Force.
4.1. 역대 육상막료장
육상자위대 육상막료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경찰예비대 중앙본부장 겸 총감 하야시 게이조 | 보안대 제1막료장 하야시 게이조 | 초대 쓰쓰이 다케오 | 제2대 스기야마 시게루 | 제3대 스기타 이치지 |
제4대 오모리 간 | 제5대 아마노 요시후사 | 제6대 요시에 세이이치 | 제7대 야마다 마사오 | 제8대 기누가사 하야오 | |
제9대 나카무라 류헤이 | 제10대 마가리 도시로 | 제11대 미요시 히데오 | 제12대 구리스 히로오미 | 제13대 다카시나 다케히코 | |
제14대 나가노 시게토 | 제15대 스즈키 도시미치 | 제16대 무라이 스미오 | 제17대 와타나베 게이타로 | 제18대 나카무라 모리오 | |
제19대 이시이 마사오 | 제20대 데라시마 다이조 | 제21대 시마 아쓰시 | 제22대 니시모토 데쓰야 | 제23대 도미자와 히카루 | |
제24대 와타나베 노부토시 | 제25대 후지나와 유지 | 제26대 이소지마 쓰네오 | 제27대 나카타니 마사히로 | 제28대 맛사키 하지메 | |
제29대 모리 쓰토무 | 제30대 오리키 료이치 | 제31대 히바코 요시후미 | 제32대 기미쓰카 에이지 | 제33대 이와타 기요후미 | |
제34대 오카베 도시야 | 제35대 야마자키 코우지 | 제36대 유아사 고로 | 제37대 요시다 요시히데 | 제38대 모리시타 야스노리 | }}}}}}}}} |
경찰예비대중앙본부장/경찰예비대총감 | |||||
역대 | 이름 | 한자(한국식 한자음) | 임기 | 출신 | 일본군 경력 |
1 | 하야시 게이조 | 林敬三(임경삼) | 1950.10.9 - 1952.7.31 | 도쿄대학 | |
보안청 제1막료장 | |||||
역대 | 이름 | 한자 | 임기 | 출신 | 일본군 경력 |
1 | 하야시 게이조 | 林敬三(임경삼) | 1952.8.1 - 1954.6.30 | 도쿄대학 | |
육상막료장 | |||||
역대 | 이름 | 한자 | 임기 | 출신 | 일본군 경력 |
1 | 쓰쓰이 다케오 | 筒井竹雄(통정죽웅) | 1954.7.1 - 1957.8.2 | 도쿄대학 | [8] |
2 | 스기야마 시게루[9] | 杉山茂(삼산무) | 1957.8.2 - 1960.3.11 | 육사36기 | 육군 대좌 |
3 | 스기타 이치지 | 杉田一次(삼전일차) | 1960.3.11 - 1962.3.12 | 육사37기 | 육군 대좌 |
4 | 오모리 간 | 大森寛(대삼관) | 1962.3.12 - 1965.1.15 | 도쿄대학 | |
5 | 아마노 요시후사 | 天野良英(천야양영) | 1965.1.16 - 1966.4.29 | 육사43기 | 육군 중좌 |
6 | 요시에 세이이치 | 吉江誠一(길강성일) | 1966.4.30 - 1968.3.14 | 육사43기 | 육군 중좌 |
7 | 야마다 마사오 | 山田正雄(산전정웅) | 1968.3.14 - 1970.7.1 | 도쿄대학 | 없음 |
8 | 기누가사 하야오 | 衣笠駿雄(의립준웅) | 1970.7.1 - 1971.6.30 | 육사48기 | 육군 소좌 |
9 | 나카무라 류헤이 | 中村龍平(중촌용평) | 1971.7.1 - 1973.1.31 | 육사49기 | 육군 소좌 |
10 | 마가리 도시로 | 曲壽郎(곡수랑) | 1973.2.1 - 1974.7.1 | 육사50기 | 육군 소좌 |
11 | 미요시 히데오 | 三好秀男(삼호수남) | 1974.7.1 - 1976.10.15 | 육사53기 | 육군 대위 |
12 | 구리스 히로오미 | 栗栖弘臣(율서홍신) | 1976.10.15 - 1977.10.19 | 도쿄대학 | 해군 대위[10] |
13 | 다카시나 다케히코 | 高品武彦(고품무언) | 1977.10.20 - 1978.7.27 | 육사54기 | 육군 대위 |
14 | 나가노 시게토 | 永野茂門(영야무문) | 1978.7.28 - 1980.2.12 | 육사55기 | 육군 대위 |
15 | 스즈키 도시미치 | 鈴木敏通(영목민통) | 1980.2.12 - 1981.6.1 | 육사57기 | 육군 중위 |
16 | 무라이 스미오 | 村井澄夫(촌정징부) | 1981.6.1 - 1983.3.15 | 육사58기 | 육군 소위 |
17 | 와타나베 게이타로 | 渡部敬太郎(도부경태랑) | 1983.3.16 - 1984.6.30 | 육사60기 | 육군 병장[11] |
18 | 나카무라 모리오 | 中村守雄(중촌수웅) | 1984.7.1 - 1986.3.17 | 육항사61기 | 사관생도 |
19 | 이시이 마사오 | 石井政雄(석정정웅) | 1986.3.17 - 1987.12.10 | 릿쿄대학 | |
20 | 데라시마 다이조 | 寺島泰三(사도태삼) | 1987.12.11 - 1990.3.15 | 도호쿠대학 | |
21 | 시마 아쓰시 | 志摩篤(지마독) | 1990.3.16 - 1992.3.16 | 방대 1(육사 13) | |
22 | 니시모토 데쓰야 | 西元徹也(서원철야) | 1992.3.16 - 1993.6.30 | 방대 3(육사 15) | |
23 | 도미자와 히카루 | 冨澤暉(부택휘) | 1993.7.1 - 1995.6.30 | 방대 4(육사 16) | |
24 | 와타나베 노부토시 | 渡邊信利(도변신리) | 1995.6.30 - 1997.7.1 | 방대 6(육사 18) | |
25 | 후지나와 유지 | 藤縄祐爾(등승우이) | 1997.7.1 - 1999.3.30 | 방대 8(육사 20) | |
26 | 이소지마 쓰네오 | 磯島恒夫(기도항부) | 1999.3.31 - 2001.1.11 | 방대 9(육사 21) | |
27 | 나카타니 마사히로 | 中谷正寛(중곡정관) | 2001.1.11 - 2002.12.2 | 방대 10(육사 22) | |
28 | 맛사키 하지메 | 先崎一(선기일) | 2002.12.2 - 2004.8.29 | 방대 12(육사 24) | |
29 | 모리 쓰토무 | 森勉(삼면) | 2004.8.30 - 2007.3.28 | 방대 14(육사 26) | |
30 | 오리키 료이치 | 折木良一(절목양일) | 2007.3.28 - 2009.3.23 | 방대 16(육사 28) | |
31 | 히바코 요시후미 | 火箱芳文(화상방문) | 2009.3.24 - 2011.8.5 | 방대 18(육사 30) | |
32 | 기미쓰카 에이지 | 君塚栄治(군총영치) | 2011.8.5 - 2013.8.26 | 방대 20(육사 32) | |
33 | 이와타 기요후미 | 岩田清文(암전청문) | 2013.8.27 - 2016.7.1 | 방대 23(육사 35) | |
34 | 오카베 도시야 | 岡部俊哉(강부준재) | 2016.7.1 - 2017.8.7 | 방대 25(육사 37) | |
35 | 야마자키 코우지 | 山崎幸二(산기행이) | 2016.8.8 - 2019.3.31 | 방대 27(육사 39) | |
36 | 유아사 고로 | 湯浅悟郎(탕천오랑) | 2019.4.1 - 2021.3.25 | 방대 28(육사 40) | |
37 | 요시다 요시히데 | 吉田圭秀(길전규수) | 2021.3.26 - 2023.3.29 | 도쿄대학 | 최초의 도쿄대학 육상자위대 간부후보생 출신 |
38 | 모리시타 야스노리 | 森下泰臣(삼하태신) | 2023.3.30 - | 방대 32(육사 44) |
4.1.1. 주요 출신 병과
병과를 살펴보면 보병(보통과) 출신들이 가장 많긴 하다. 역대 육상막료장 36명 가운데 경찰 관료 출신이 4명, 보병 출신이 20명, 포병(특과) 출신이 3명, 기갑 출신이 4명, 항공 출신이 1명, 통신 출신이 3명, 시설 출신이 1명이다.5.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2015년 12월까지는 합참의장에 해당하는 총참모장이 육군사령원(陆军司令员)을 겸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2016년 1월부터 총참모부가 합동지휘부대인 연합참모부로 개편됨에 따라 육군사령원과 직책이 분리되어 총참모장을 겸하지 않는 순수한 육군사령원이 생겼다. 개편으로 2016년 1월에 순수하게 육군만을 담당하는 육군사령원으로 리쭤청(李作成, 이작성) 육군상장이 취임했다.5.1. 역대 육군사령원
이전의 육군사령원은 총참모장의 겸직이므로 해당 항목으로.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사령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리쭤청 | 제2대 한웨이궈 | 제3대 류전리 | 제4대 리차오밍 | }}}}}}}}} |
- 육군사령원
6. 중화민국 육군
현직 |
중수밍 (鍾樹明) |
육군관교 75년반 |
중화민국 육군의 최선임 장교이다.
6.1. 역대 중국육군총사령
대만 육군사령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허잉친 | |||||
육군총사령 | |||||
제1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구주퉁 | 위한머우 | 장파쿠이 | 구주퉁 | 관린정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구주퉁 | 쑨리런 | 황제 | 펑멍지 | 뤄례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류안치 | 가오쿠이위안 | 첸다칭 | 위하오장 | 마안란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하오보춘 | 장쭝령 | 황싱창 | 첸띵총 | 리전린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탕야오밍 | 첸전샹 | 훠셔우예 | 주카이성 | ||
육군사령 | |||||
제1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후전부 | 자오시장 | 량텐샤오 | 리샹저우 | 옌더파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추궈정 | 왕신룽 | 천바오위 | 쉬옌푸 | 중수밍 | }}}}}}}}}}}}}}} |
역대 | 이름 | 한국음 | 한자 | 재임기간 | 계급 |
1대 | 허잉친 | 하응흠 | 何應欽 | 1944년 12월 25일 - 1946년 5월 31일 | 육군1급상장 |
역대 | 이름 | 한국음 | 한자 | 재임기간 | 계급 |
1대 | 구주퉁 | 고축동 | 顧祝同 | 1946년 6월 1일 - 1948년 5월 13일 | 육군상장[12] |
2대 | 위한머우 | 여한모 | 余漢謀 | 1948년 5월 13일 - 1949년 2월 9일 | 육군상장 |
3대 | 장파쿠이 | 장발규 | 張發奎 | 1949년 2월 9일 - 1949년 6월 26일 | 육군상장 |
4대 | 구주퉁 | 고축동 | 顧祝同 | 1949년 6월 26일 - 1949년 8월 25일 | 육군상장 |
5대 | 관린정 | 관인정 | 關麟征 | 1949년 8월 25일 - 12월 | 육군상장 |
6대 | 구주퉁 | 고축동 | 顧祝同 | 1949년 12월 - 1950년 3월 | 육군상장 |
7대 | 쑨리런 | 손입인 | 孫立人 | 1950년 3월 - 1954년 6월 | 육군상장 |
8대 | 황제 | 황걸 | 黃杰 | 1954년 6월 - 1957년 7월 | 육군상장 |
9대 | 펑멍지 | 팽맹집 | 彭孟緝 | 1957년 7월 - 1959년 6월 | 육군상장 |
10대 | 뤄례 | 나열 | 羅列 | 1959년 6월 - 1961년 8월 | 육군상장 |
11대 | 류안치 | 유안기 | 劉安祺 | 1961년 8월 - 1965년 8월 | 육군상장 |
12대 | 가오쿠이위안 | 고괴원 | 高魁元 | 1965년 8월 - 1967년 6월 | 육군상장 |
13대 | 첸다칭 | 진대경 | 陳大慶 | 1967년 7월 - 1969년 6월 | 육군상장 |
14대 | 위하오장 | 우호장 | 于豪章 | 1969년 7월 - 1975년 3월 | 육군상장 |
15대 | 마안란 | 마안란 | 馬安瀾 | 1975년 3월 - 1978년 3월 | 육군상장 |
16대 | 하오보춘 | 학백촌 | 郝柏村 | 1978년 3월 - 1981년 11월 | 육군상장 |
17대 | 장쭝령 | 장중령 | 蔣仲苓 | 1981년 11월 - 1988년 6월 | 육군상장 |
18대 | 황싱창 | 황행강 | 黃幸強 | 1988년 6월 - 1991년 7월 | 육군상장 |
19대 | 첸띵총 | 진정총 | 陳廷寵 | 1991년 7월 - 1993년 7월 | 육군상장 |
20대 | 리전린 | 이정림 | 李禎林 | 1993년 7월 - 1996년 7월 | 육군상장 |
21대 | 탕야오밍 | 탕요명 | 湯曜明 | 1996년 7월 - 1999년 1월 | 육군상장 |
22대 | 첸전샹 | 진진상 | 陳鎭湘 | 1999년 2월 1일 - 2002년 1월 31일 | 육군상장 |
23대 | 훠셔우예 | 곽수업 | 霍守業 | 2002년 2월 1일 - 2004년 5월 31일 | 육군상장 |
24대 | 주카이성 | 주개생 | 朱凱生 | 2004년 5월 20일 - 2006년 2월 15일 | 육군상장 |
역대 | 이름 | 한국음 | 한자 | 재임기간 | 계급 |
1대 | 후전부 | 호진포 | 胡鎭埔 | 2006년 2월 16일 - 2007년 1월 13일 | 육군상장 |
2대 | 자오시장 | 조세장 | 趙世璋 | 2007년 2월 1일 - 2009년 2월 4일 | 육군상장 |
3대 | 량텐샤오 | 양천소 | 楊天嘯 | 2009년 2월 5일 - 2011년 8월 15일 | 육군상장 |
4대 | 리샹저우 | 이상주 | 李翔宙 | 2011년 8월 16일 - 2013년 1월 15일 | 육군상장 |
5대 | 옌더파 | 엄덕발 | 嚴德發 | 2013년 1월 16일 - 2015년 1월 29일 | 육군상장 |
6대 | 추궈정 | 구국정 | 邱國正 | 2015년 1월 31일 - 2016년 11월 30일 | 육군상장 |
7대 | 왕신룽 | 왕신룡 | 王信龍 | 2015년 12월 1일 - 2019년 3월 31일 | 육군상장 |
8대 | 천바오위 | 진보여 | 陳寶餘 | 2019년 4월 1일 - 2021년 6월 30일 | 육군상장 |
9대 | 쉬옌푸 | 서연박 | 徐衍璞 | 2021년 7월 1일 - 2023년 4월 30일 | 육군상장 |
10대 | 중수밍 | 종수명 | 鍾樹明 | 2023년 5월 1일 - 현직 | 육군상장 |
7. 싱가포르 육군
싱가포르 육군총장8. 호주 육군
9. 영국 육군
육군참모총장(Chief of the General Staff (United Kingdom)))라고 부르며 약칭은 CGS이다.10. 관련 문서
[1] 통합군사령관들이 갖고 있다.[2] 당시에는 mate라 불렸다.[요약1] 당시에는 대장이었고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면서 군에 복귀하여 원수로 진급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에 미국 흑인을 가르치는 교사로 일하다가 노스미주리노르만스쿨(現 트루먼 주립대학)에 들어갔다가 2년 뒤에 육사로 진학해 육사 1886년. 흑인을 가르친 경력 때문인지 당시 미군의 정책인 '분리하되 평등하게.'를 따르긴 했지만 미군 내의 흑인들을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시켰다. 본래 흑인부대는 참전이 허용되지 않았지만 퍼싱은 흑인 부사관들을 투입시켰다. 여담으로 맥아더랑 사이가 안 좋았는데 맥아더의 말을 씹어서 그렇다고 한다. 퍼싱은 야전군 지휘관들을 그닥 신뢰하지 않았다고 하며 공화당원이었지만 민주당 정권에서 일한 이미지가 너무 커서 공화당에서 별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요약2] 삼수생 출신이다. 1909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버터 공장에서 일하며 수험준비를 하다가 1911년에 웨스트포인트에 입학했다. 육사 1915년. 오마 브래들리와 동기인데 육사 1915년 졸업생들은 이른바 별들의 기수(The class the stars fell on)라 불린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장성급 장교로 진급할 때라서 동기 164명 가운데 59명의 장성을 낳았다. 원수 둘에 대장 둘, 중장 일곱, 소장 24명과 준장 24명을 배출했다. 졸업성적은 원수였던 브래들리가 44등이었고 아이젠하워는 61등이었다. 1등이었던 윌리엄 코벨(William E. R. Covell)은 소장까지 진급했다. 2, 3, 4등은 장성까지 진급도 못 했다. 147등인 조지 스트레이트메이어(George E. Stratemeyer)도 중장까지 진급했고 151등인 리로이 왓슨(Leroy H. Watson)은 소장, 158등인 아서 화이트(Arthur A. White)도 소장까지 진급했다. 159등인 존 켈리어(John Keliher)도 준장까지 진급했다.[5] 전시라서 6개월 빨리 임관했다.[6] 특전사령관을 일반 보병사단장 출신 장성들도 많이 맡는 국군과 달리 미군은 특수부대 쪽에서 전문성을 키우다보면 다른 보직을 거칠 여유가 적은 편이다. 게다가 장성 티오도 특수전 쪽에서는 의외로 적은 편이다. SOCOM 출신으로 합참에 진출하는 것은 보기 드문 사례며, 목소리가 작은 해군과 공군에서 SOCOM 사령관이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업적 수준이다.[7] 임기 자체가 길기도 하고 이래저래 참전 경력이나 인사청문회도 고려되다보니 널뛰기를 반복한다.[8] 조선총독부에서 근무했으며, 황해도지사 출신이다.[9] 도조 히데키의 사위였다.[10] 법무장교 출신[11] 졸업하지 못하고 병으로 참전했다.[12] 구주퉁부터는 전원이 2급상장이다. 2급은 생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