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덕군/정치
, 봉화군/정치
, 울진군/정치
경상북도 제17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포항 북 | 김천 | 안동 | ||
이병석 | 이상득 | 정종복 | 임인배 | 권오을 | |
구미 갑 | 구미 을 | ||||
김성조 | 김태환 | 장윤석 | 정희수 | 이상배 | |
문경·예천 | 경산·청도 | ||||
신국환 | 최경환 | 이인기 | 김재원 | 김광원 | |
* 영천 이덕모 의원직 상실 (2005.2.19.) | |||||
◀ 제16대 제18대 ▶ | }}} }}}}}} |
경상북도 제18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포항 북 | 김천 | 안동 | ||
이병석 | 이상득 | 정수성 | 이철우 | 김광림 | |
구미 갑 | 구미 을 | [[영주시(선거구)| 영주 ]] | |||
김성조 | 김태환 | 장윤석 | 정희수 | 성윤환 | |
문경·예천 | 경산·청도 | ||||
이한성 | 최경환 | 이인기 | 정해걸 | 강석호 | |
* 경주 김일윤 의원직 상실 (2008.12.24.) | |||||
◀ 제17대 제19대 ▶ | }}} }}}}}} |
경상북도 제19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포항 북 | 경주 | 김천 | 안동 | |
이병석 | 박명재 | 정수성 | 이철우 | 김광림 | |
구미 갑 | 구미 을 | 영천 | 상주 | ||
공석 | 김태환 | 장윤석 | 정희수 | 김종태 | |
이한성 | 최경환 | 이완영 | 김재원 | 강석호 | |
* 포항 남·울릉 김형태 의원직 상실 (2013.7.25.) * 구미 갑 심학봉 사퇴 (2015.10.12.) | |||||
◀ 제18대 제20대 ▶ | }}} }}}}}} |
경상북도 제20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포항 북 | 포항 남·울릉 | 경주 | 김천 | |
김정재 | 박명재 | 김석기 | 송언석 | ||
안동 | 구미 갑 | 구미 을 | 영주·문경·예천 | ||
김광림 | 백승주 | 장석춘 | 최교일 | ||
영천·청도 | 상주·군위·의성·청송 | 경산 | 영양·영덕·봉화·울진 | ||
이만희 | 김재원 | 공석 | 강석호 | ||
고령·성주·칠곡 | |||||
공석 | |||||
* 상주·군위·의성·청송 김종태 당선무효 (2017.2.9.) * 김천 이철우 사퇴 (2018.5.14.) * 고령·성주·칠곡 이완영 당선무효 (2019.6.13.) * 경산 최경환 의원직 상실 (2019.7.11.) | |||||
◀ 제19대 제21대 ▶ | }}} }}}}}} |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142,416명 (2016) | |||||
상위 행정구역 | 경상북도 | |||||
관할 구역 | ||||||
신설연도 | 2004년 | |||||
이전 선거구 | 봉화군·울진군, 청송군·영양군·영덕군 | |||||
폐지년도 | 2020년 | |||||
이후 선거구 |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 |||||
국회의원 | [[미래통합당|]] | 강석호 |
[clearfix]
1. 개요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은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경상북도 영양군, 영덕군, 봉화군, 울진군 전역을 관할했다.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개편이 일어나면서 청송군·영양군·영덕군 선거구에 속해 있던 영양군, 영덕군과 봉화군·울진군이 하나의 선거구로 합구하며 경상북도 동북부를 관할하는 해당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개편이 일어나면서 영양군, 봉화군, 울진군은 신설되는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선거구에 편입되고 영덕군은 신설되는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며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17대 | 김광원 |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18대 | 강석호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19대 | [[새누리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2.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영양군 일원[영양], 영덕군 일원[영덕], 봉화군 일원[봉화], 울진군 일원[울진]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광원(金光元) | 39,405 | 1위 |
| 46.21% | 당선 | |
2 | 조영환(趙榮煥) | 892 | 5위 |
[[새천년민주당|]] | 1.05% | 낙선 | |
3 | 박영무(朴榮茂) | 20,490 | 3위 |
[[열린우리당|]] | 24.03% | 낙선 | |
4 | 김원욱(金源昱) | 1,552 | 4위 |
[[자유민주연합|]] | 1.82% | 낙선 | |
5 | 김중권(金重權) | 22,932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6.8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2,749 | 투표율 65.52% |
투표 수 | 86,975 | ||
무효표 수 | 1,704 |
2.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영양군 일원[영양], 영덕군 일원[영덕], 봉화군 일원[봉화], 울진군 일원[울진]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강석호(姜碩鎬) | 39,344 | 1위 |
| 50.40% | 당선 | |
6 | 이귀영(李貴永) | 5,631 | 3위 |
[[미래희망연대|]] | 7.21% | 낙선 | |
7 | 김영화(金榮華) | 1,227 | 5위 |
[[평화통일가정당|]] | 1.57% | 낙선 | |
8 | 김교찬(金敎瓚) | 1,488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1% | 낙선 | |
9 | 김중권(金重權) | 30,365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8.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5,789 | 투표율 63.21% |
투표 수 | 79,507 | ||
무효표 수 | 1,452 |
2.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영양군 일원[영양], 영덕군 일원[영덕], 봉화군 일원[봉화], 울진군 일원[울진]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석호(姜碩鎬) | 43,060 | 1위 |
[[새누리당|]] | 55.00% | 당선 | |
2 | 정일순(鄭一淳) | 3,508 | 3위 |
[[민주통합당|]] | 4.48% | 낙선 | |
3 | 장갑호(張甲鎬) | 586 | 6위 |
[[자유선진당|]] | 0.74% | 낙선 | |
6 | 남선모(南善模) | 655 | 5위 |
[[국민생각|]] | 0.83% | 낙선 | |
7 | 박혜령(朴蕙鈴) | 2,300 | 4위 |
[[녹색당(대한민국)|]] | 2.93% | 낙선 | |
8 | 김중권(金重權) | 28,171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5.9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3,425 | 투표율 64.46% |
투표 수 | 79,565 | ||
무효표 수 | 1,285 |
2.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영양군 일원[영양], 영덕군 일원[영덕], 봉화군 일원[봉화], 울진군 일원[울진]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석호(姜碩鎬) | 49,545 | 1위 |
[[새누리당|]] | 67.58% | 당선 | |
5 | 이귀영(李貴永) | 7,877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74% | 낙선 | |
6 | 홍성태(洪性泰) | 15,884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1.6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3,843 | 투표율 61.11% |
투표 수 | 75,675 | ||
무효표 수 | 2,369 |
3. 폐지
여야 안에 따르면 이 선거구가 하한선을 밑돌아 1개군을 편입해야 하는데 울릉군을 편입하는 것이 제안되어 울릉군에서는 이에 반발하고 청송군의 편입을 요구했다. 청송군보다 울릉군 편입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지자 울릉군은 이에 대해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공직선거법을 원칙적으로 적용하면 울릉도와 후포 사이에 뱃길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 원칙적으로 울릉군을 포항시의 일부와 합구하면 공직선거법에 위배되는 특례가 된다. 물론 울릉군의 생활권 사정상 포항과 대단히 밀접한 것도 사실이다. 자유한국당 내에서도 싸움이 났는데, 박명재 의원은 현 선거구 존치, 김재원 의원은 울릉군 분리는 당연하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한다.결국 영양군, 봉화군, 울진군은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으로, 영덕군은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선거구로 개편되었고, 포항시 남구·울릉군 선거구는 존치되었다.
[영양] 영양읍, 입암면, 청기면, 일월면, 수비면, 석보면[영덕] 영덕읍, 강구면, 남정면, 달산면,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봉화] 봉화읍, 물야면, 봉성면, 법전면, 춘양면, 소천면, 석포면, 재산면, 명호면, 상운면[울진] 울진읍, 평해읍, 북면, 죽변면, 후포면, 근남면, 매화면, 기성면, 온정면, 금강송면[영양] 영양읍, 입암면, 청기면, 일월면, 수비면, 석보면[영덕] 영덕읍, 강구면, 남정면, 달산면,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봉화] 봉화읍, 물야면, 봉성면, 법전면, 춘양면, 소천면, 석포면, 재산면, 명호면, 상운면[울진] 울진읍, 평해읍, 북면, 죽변면, 후포면, 근남면, 매화면, 기성면, 온정면, 금강송면[영양] 영양읍, 입암면, 청기면, 일월면, 수비면, 석보면[영덕] 영덕읍, 강구면, 남정면, 달산면,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봉화] 봉화읍, 물야면, 봉성면, 법전면, 춘양면, 소천면, 석포면, 재산면, 명호면, 상운면[울진] 울진읍, 평해읍, 북면, 죽변면, 후포면, 근남면, 매화면, 기성면, 온정면, 금강송면[영양] 영양읍, 입암면, 청기면, 일월면, 수비면, 석보면[영덕] 영덕읍, 강구면, 남정면, 달산면,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봉화] 봉화읍, 물야면, 봉성면, 법전면, 춘양면, 소천면, 석포면, 재산면, 명호면, 상운면[울진] 울진읍, 평해읍, 북면, 죽변면, 후포면, 근남면, 매화면, 기성면, 온정면, 금강송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