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09:15:56

예브게니야 시시코바 / 바딤 나우모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러시아빙상연맹.png
러시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회(1993년) ~ 50회(2023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0회 1993 체랴빈스크 예브게니야 시시코바 / 바딤 나우모프
21회 1994 상트페테르부르크 예카테리나 고르데예바 / 세르게이 그린코프 22회 1995 모스크바 마리나 엘초바 / 안드레이 부슈코프
23회 1996 사마라 예브게니야 시시코바 / 바딤 나우모프 24회 1997 모스크바 마리나 엘초바 / 안드레이 부슈코프
25회 1998 모스크바 마리나 엘초바 / 안드레이 부슈코프 26회 1999 모스크바 옐레나 베레즈나야 / 안톤 시하룰리제
27회 2000 모스크바 옐레나 베레즈나야 / 안톤 시하룰리제 28회 2001 모스크바 옐레나 베레즈나야 / 안톤 시하룰리제
29회 2002 모스크바 옐레나 베레즈나야 / 안톤 시하룰리제 30회 2003 카잔 타티야나 토티먀니나 / 막심 마리닌
31회 2004 상트페테르부르크 타티야나 토티먀니나 / 막심 마리닌 32회 2005 상트페테르부르크 타티야나 토티먀니나 / 막심 마리닌
33회 2006 카잔 마리야 페트로바 / 알렉세이 티호노프 34회 2007 미티시 마리야 무호르토바 / 막심 트란코프
35회 2008 상트페테르부르크 유코 카바구티 / 알렉산더 스미르노프 36회 2009 카잔 유코 카바구티 / 알렉산더 스미르노프
37회 2010 상트페테르부르크 유코 카바구티 / 알렉산더 스미르노프 38회 2011 사란스크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39회 2012 사란스크 베라 바자로바 / 유리 라리오노프 40회 2013 소치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41회 2014 소치 크세니야 스톨보바 / 표도르 클리모프 42회 2015 소치 크세니야 스톨보바 / 표도르 클리모프
43회 2016 예카테린부르크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44회 2017 첼랴빈스크 크세니야 스톨보바 / 표도르 클리모프
45회 2018 상트페테르부르크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46회 2019 사란스크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47회 2020 크라스노야르스크 알렉산드라 보이코바 / 드미트리 코즐로브스키 48회 2021 첼랴빈스크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49회 2022 상트페테르부르크 아나스타샤 미시나 / 알렉산드르 갈리아모프 50회 2023 크라스노야르스크 알렉산드라 보이코바 / 드미트리 코즐로브스키 }}}}}}}}}
51회(2024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1회 2024 첼랴빈스크 아나스타샤 미시나 / 알렉산드르 갈리아모프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2회 2025 옴스크 아나스타샤 미시나 / 알렉산드르 갈리아모프 }}}}}}}}}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이름 예브게니야 바실리예브나 시시코바
Evgenia Vasilievna Shishkova
Евгения Васильевна Шишкова
바딤 블라디미로비치 나우모프
Vadim Vladimirovich Naumov
Вадим Владимирович Наумов
출생 1972년 12월 18일 1969년 4월 7일
소비에트 연방 레닌그라드
(現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소비에트 연방 레닌그라드
(現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사망 2025년 1월 29일
(향년 52세)
2025년 1월 29일
(향년 55세)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
신체 156cmISU 프로필 177cmISU 프로필
자녀 슬하 1남(막심 나우모프)
국적
[[소련|]][[틀:국기|]][[틀:국기|]] (~1991)

[[러시아|]][[틀:국기|]][[틀:국기|]] (1992~)

[[소련|]][[틀:국기|]][[틀:국기|]] (~1991)

[[러시아|]][[틀:국기|]][[틀:국기|]] (1992~)
종목 피겨 스케이팅(페어)
은퇴 1998년
1. 개요2. 생애3. 프로그램4. 기록5. 경기 집계

[clearfix]

1. 개요

러시아의 前 피겨 스케이팅 페어 팀.

2. 생애

예브게니야 시시코바와 바딤 나우모프는 스케이팅 파트너로 만나 1995년에 부부의 연을 맺었다. 2001년에는 둘 사이에 아들 막심을 얻었으며, 아들은 훗날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데뷔하게 된다.[1]

2025년 1월 29일 포토맥강 상공 공중 충돌 사고로 사망했다. 이들은 아들이 출전한 2025 피겨 스케이팅 전미선수권 대회 관전하였다. 대회는 1월 26일에 마무리되었지만 즉시 복귀 하지 않고 보스턴 스케이팅 클럽의 유소년 캠프 인솔자로서 대회 개최 도시에 며칠 더 머물렀다가 복귀하는 길에 사고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3. 프로그램

<colcolor=#ffffff><rowcolor=#ffffff> 시즌 쇼트 프리 갈라
<colbgcolor=#000000>
1990-91
I Dub U
(by Freeez)
1991-92
Take Five
(연주: 데이브 브루벡 쿼텟)
La Festa Degli Angeli
(작곡: 제임스 라스트)
1992-93
보기 대령 행진곡
(작곡: F. J. 리케츠)
오페레타 "박쥐"
(작곡: 요한 슈트라우스 2세)
Slap That Bass
1993-94
서주와 론도 카프리치오소
(작곡: 카미유 생상스)
Take Five
(연주: 데이브 브루벡 쿼텟)
1994-95
미완성 교향곡
(작곡: 프란츠 슈베르트)
1995-96
아베 마리아
(작곡: 샤를 구노,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돈 키호테
(작곡: 루드비히 민쿠스)
'세빌리아의 이발사' 제 1막 2번 카바티나: "Largo Al Factotum"(나는 거리의 만물박사)
(작곡: 조아키노 로시니)
1996-97
명상곡(from 오페라 "타이스")
(작곡: 쥘 마스네)
1997-98
돈 키호테
(작곡: 루드비히 민쿠스)

4. 기록

5. 경기 집계

주요 대회 메달 집계
대회
세계선수권 1 1 1
유럽선수권 0 1 4
챔피언 시리즈 파이널 1 0 0
합계 2 2 5

주요 대회 수상 기록
러시아 대표로 참가한 대회
세계선수권
동메달 199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페어
금메달 199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페어
은메달 199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페어
유럽선수권
동메달 1993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페어
은메달 1994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페어
동메달 1995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페어
챔피언 시리즈 파이널
금메달 1995-96 피겨 스케이팅 챔피언 시리즈 파이널 페어
독립국가연합 대표로 참가한 대회
유럽선수권
동메달 1992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페어
소련 대표로 참가한 대회
유럽선수권
동메달 1991 피겨 스케이팅 유럽선수권 대회 페어

출전한 대회의 순위 기록
국제 대회
대회 90–91 91–92 92-93 93–94 94-95 95-96 96-97 97-98
올림픽 5th 4th
세계선수권 5th 5th 3rd 1st 2nd 4th
유럽선수권 3rd 3rd 3rd 2nd 3rd 5th
챔피언 시리즈 파이널 1st 5th
NHK 트로피 1st 1st 1st 2nd
컵 오브 러시아 2nd
스케이트 아메리카 3rd 1st 2nd 2nd
스케이트 캐나다 2nd 1st
인터네셔널 드 파리 1st
국내 대회
대회 90–91 91–92 92-93 93–94 94-95 95-96 96-97 97-98
러시아 선수권 대회 1st 3rd 1st 3rd
소비에트 선수권 대회 1st 2nd


[1] 부부가 미국에 정착하여 아들을 낳았기 때문에 아들이 미국 국적을 가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