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2:20:24

오노노 다카무라


파일:Onono_Takamura.jpg

小野篁
802~853

1. 개요2. 백인일수3. 미디어에서

1. 개요

일본 헤이안 시대의 관료, 학자, 시인이다.

원래 학문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으나, 사가 덴노로부터 아버지는 훌륭한 학자였는데 아들은 왜 그 모양이냐는 식의 탄식을 들은 이후로부터 학문에 열중해 822년 문장생시에 급제하여 조정에 들어갔고, 후에 황태자 쓰네사다 친왕의 동궁학사(東宮學士)[1]로 임명되었다.

견당부사에 임명되어 견당사에도 몇번 다녀왔으나, 견당대사인 후지와라노 쓰네쓰구(藤原常嗣)의 태도에 실망해 승선 자체를 거부하고 견당사와 조정을 비판하는 시 『서도요(西道謡)』를 지었다. 이로 인해 사가 상황의 노여움을 사 오키섬으로 유배당하기도 했다.

하지만 곧 사면되어 수도로 돌아가게 됐고 관위 또한 복구되었다. 그 후로도 미치야스 친왕의 동궁학사가 되는 등 꽤 잘나가다가 853년 지병으로 향년 51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무려 키가 6척 2촌(약 188cm)에 달하는 거한이었다고 한다. 참고로 헤이안 시대 성인 남성 평균 키가 159.5~163.5cm 정도니, 현대로 치환하면 200cm에 가깝다.

밤이 되면 우물을 타고 지옥으로 내려가 염라대왕의 재판을 보좌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때문에 다카무라가 등장하는 창작물에서는 이 기믹을 강조하는 편.

헤이안 시대의 여류 시인이자 절세미녀로 유명한 오노노 코마치는 그의 손녀라는 게 통설이나, 딸이나 조카딸이라는 설도 있다.

2. 백인일수

百人一首
백인일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2A33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번
제2번
제3번
제4번
제5번
제6번
제7번
제8번
제9번
제10번
제11번
제12번
제13번
제14번
제15번
제16번
제17번
제18번
제19번
제20번
제21번
제22번
제23번
제24번
제25번
제26번
제27번
제28번
제29번
제30번
제31번
제32번
제33번
제34번
제35번
제36번
제37번
제38번
제39번
제40번
제41번
제42번
제43번
제44번
제45번
제46번
제47번
제48번
제49번
제50번
제51번
제52번
제53번
제54번
제55번
제56번
제57번
제58번
제59번
제60번
제61번
제62번
제63번
제64번
제65번
제66번
제67번
제68번
제69번
제70번
제71번
제72번
제73번
제74번
제75번
제76번
제77번
제78번
제79번
제80번
제81번
제82번
제83번
제84번
제85번
제86번
제87번
제88번
제89번
제90번
제91번
제92번
제93번
제94번
제95번
제96번
제97번
제98번
제99번
제100번
}}}}}}}}}}}}
제11번 오노노 다카무라(参議篁)
わたの[ruby(原,ruby=はら)] [ruby(八十島,ruby=やそしま)]かけて こぎいでぬと [ruby(人,ruby=ひと)]にはつげよ あまのつり[ruby(舟,ruby=ぶね)]
넓은 바다 무수한 섬을 향해 나아간다고 어부의 낚싯배여 님에게 말해다오

3. 미디어에서

호오즈키의 냉철에서 진광왕의 재판관으로 나온다. 저승으로 통하는 우물에 빠져서 지옥으로 오게 되는데, 특유의 천연곱슬(...) 때문에 오니로 오해받게 되고, 이때 일을 잘해서 사후에 취직했다. 상당한 마이페이스.

Fate/Grand Order에서는 페그오 2025년 발렌타인 이벤트에서 5성 한정 캐스터로 실장된 오노노 코마치와 같이 소환된다. 특이하게도 코마치는 다카무라를 할아버지가 아니라 '아버님'이라고 부르며,[2] 다카무라는 자신을 염라대왕의 보좌관인 '악업소감 염마왕'이라 칭한다.


[1] 황태자에게 유교를 가르치는 교육관. 훗날 황태자가 덴노로 즉위하면 측근으로 활약할 수 있다.[2] 다만 작중 마테리얼에서 다카무라가 아버지인지 할아버지인지는 애매모호하다고 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