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고양 | 과천 | 광명 | 광주 | 구리 |
이동환 | 신계용 | 박승원 | 방세환 | 백경현 | |
군포 | 김포 | 남양주 | 동두천 | 부천 | |
하은호 | 김병수 | 주광덕 | 박형덕 | 조용익 | |
성남 | 수원 | 시흥 | 안산 | 안성 | |
신상진 | 이재준 | 임병택 | 이민근 | 김보라 | |
안양 | 양주 | 여주 | 오산 | 용인 | |
최대호 | 강수현 | 이충우 | 이권재 | 이상일 | |
의왕 | 의정부 | 이천 | 파주 | 평택 | |
김성제 | 김동근 | 김경희 | 김경일 | 정장선 | |
포천 | 하남 | 화성 | 가평 | 양평 | |
백영현 | 이현재 | 정명근 | 서태원 | 전진선 | |
연천 | |||||
김덕현 |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 |
경기도 오산시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이승철 | 제2대 최순식 | 제3대 이성환 | 제4대 이영민 | 제5대 유태형 |
제6-7대 유관진 | 제8대 박신원 | 제9대 이기하 | 제10-12대 곽상욱 | 제13대 이권재 | |
| }}}}}}}}} |
<colcolor=#ffffff> '''경기도 오산시장 京畿道 烏山市長 Mayor of Osan City ''' | |
현직 | <colbgcolor=#ffffff,#1f2023>이권재 / 제13대 (민선 8기) |
취임일 | 2022년 7월 1일 |
정당 |
1. 개요2. 역대 오산시장3. 역대 선거 결과
3.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3.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3.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3.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3.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3.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3.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4. 관련 문서[clearfix]
1. 개요
경기도 오산시장은 경기도 오산시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경기도 오산시 성호대로 141 (오산동)에 있는 오산시청이다.2. 역대 오산시장
<rowcolor=#fff>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정부 및 당적[1] | 비고 | |
관선 (임명직) 경기도 오산시장 | |||||
초대 | 이승철 | 1989년 1월 1일 ~ 1991년 12월 30일 | 노태우 정부 | ||
2대 | 최순식 | 1991년 12월 31일 ~ 1993년 1월 17일 | |||
3대 | 이성환 | 1993년 1월 18일 ~ 1994년 5월 8일 | 김영삼 정부 | ||
4대 | 이영민 | 1994년 5월 9일 ~ 1995년 6월 30일 | |||
민선 (선출직) 경기도 오산시장 | |||||
5대 | 유태형 | 1995년 7월 1일 ~ 1996년 9월 17일 | | [2] | |
6대 | 유관진 | 1996년 11월 8일 ~ 1998년 6월 30일 | [[자유민주연합| | ||
7대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8대 | 박신원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9대 | 이기하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
10대 | 곽상욱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주당(2008년)| | ||
11대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새정치민주연합| | |||
12대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
13대 | 이권재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3. 역대 선거 결과
| ||||||
1995 | 1996 | 1998 | 2002 | 2006 | ||
민주당 | 자유민주연합 | 한나라당 | ||||
유태형 | 유관진 | 박신원 | 이기하 | |||
2010 | 2014 | 2018 | 2022 |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
곽상욱 | 이권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1995년 | 1위: 유태형 43.71%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박신원 35.93%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공호식 12.09%4위: [[자유민주연합| | |||||
1998년 | 1위: [[자유민주연합|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정기철 35.04%3위: 이윤종 8.59% | |||||
2002년 | 1위: [[자유민주연합| 2위: 이춘성 28.16% 3위: [[새천년민주당|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임명재 10.16%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종무 3.66% | |||||
2006년 | 1위: 이기하 33.6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박신원 23.11%3위: [[열린우리당| 4위: [[국민중심당|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이춘성 8.47%6위: [[민주당(2005년)| 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조윤장 1.15% | |||||
2010년 | 1위: [[민주당(2008년)| 2위: 이춘성 33.34% 3위: [[자유선진당| | |||||
2014년 | 1위: [[새정치민주연합| 2위: [[새누리당|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최인혜 6.11% | |||||
2018년 | 1위: 곽상욱 72.29% 2위: [[자유한국당| 3위: [[바른미래당| | |||||
2022년 | 1위: 이권재 49.59% 2위: 장인수 47.45%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최인혜 2.08%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백승철 0.86% | }}}}}}}}} |
3.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태형(兪泰亨) | 13,415 | 1위 |
| 43.71% | 당선 | |
2 | 최원빈(崔源彬) | 2,534 | 4위 |
[[자유민주연합| | 8.25% | 낙선 | |
3 | 공호식(孔鎬植) | 3,710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09% | 낙선 | |
4 | 박신원(朴信遠) | 11,027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5.9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4,398 | 투표율 70.4% |
투표 수 | 31,263 | ||
무효표 수 | 577 |
3.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윤종(李允鐘) | 2,490 | 3위 |
| 8.59% | 낙선 | |
2 | 유관진(兪官鎭) | 16,318 | 1위 |
[[자유민주연합| | 56.35% | 당선 | |
3 | 정기철(鄭基哲) | 10.146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5.0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0,233 | 투표율 58.6% |
투표 수 | 29,437 | ||
무효표 수 | 483 |
3.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춘성(李春成) | 10,294 | 2위 |
| 28.16% | 낙선 | |
2 | 유관진(兪官鎭) | 9,946 | 3위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7.21% | 낙선 | |
3 | 박신원(朴信遠) | 11,257 | 1위 |
[[자유민주연합| | 30.79% | 당선 | |
4 | 이종무(李種茂) | 1,338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66% | 낙선 | |
5 | 임명재(任明宰) | 3,717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1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77,816 | 투표율 47.6% |
투표 수 | 37,010 | ||
무효표 수 | 458 |
3.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곽상욱(郭相旭) | 8,226 | 3위 |
[[열린우리당| | 18.13% | 낙선 | |
2 | 이기하(李奇夏) | 15,284 | 1위 |
| 33.69% | 당선 | |
3 | 임명재(任明宰) | 2,835 | 6위 |
[[민주당(2005년)| | 6.25% | 낙선 | |
5 | 신건호(辛建鎬) | 4,158 | 4위 |
[[국민중심당| | 9.16% | 낙선 | |
6 | 박신원(朴信遠) | 10,485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3.11% | 낙선 | |
7 | 이춘성(李春成) | 3,843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47% | 낙선 | |
8 | 조윤장(趙潤章) | 526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94,380 | 투표율 48.6% |
투표 수 | 45,888 | ||
무효표 수 | 531 |
3.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춘성(李春成) | 19,802 | 2위 |
| 33.34% | 낙선 | |
2 | 곽상욱(郭相旭) | 28,367 | 1위 |
[[민주당(2008년)| | 47.76% | 당선 | |
3 | 박신원(朴信遠) | 11,218 | 3위 |
[[자유선진당| | 18.8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2,466 | 투표율 49.0% |
투표 수 | 60,043 | ||
무효표 수 | 656 |
3.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권재(李權宰) | 25,708 | 2위 |
[[새누리당| | 34.49% | 낙선 | |
2 | 곽상욱(郭相旭) | 44,261 | 1위 |
[[새정치민주연합| | 59.38% | 당선 | |
3 | 최인혜(崔仁惠) | 4,55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6.1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5,953 | 투표율 48.4% |
투표 수 | 75,405 | ||
무효표 수 | 877 |
3.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곽상욱(郭相旭) | 64,340 | 1위 |
| 72.29% | 당선 | |
2 | 이권재(李權宰) | 19,028 | 2위 |
[[자유한국당| | 21.37% | 낙선 | |
3 | 이춘성(李春成) | 5,633 | 3위 |
[[바른미래당| | 6.3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9,638 | 투표율 53.1% |
투표 수 | 90,091 | ||
무효표 수 | 1,090 |
3.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장인수(張認洙) | 38,968 | 2위 |
| 47.45% | 낙선 | |
2 | 이권재(李權宰) | 40,723 | 1위 |
| 49.59% | 당선 | |
4 | 백승철(白承哲) | 709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86% | 낙선 | |
5 | 최인혜(崔仁惠) | 1,711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0,375 | 투표율 43.7% |
투표 수 | 83,196 | ||
무효표 수 | 1,0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