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30 22:53:51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파일:보건복지부 MI_좌우_White.svg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민연금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한적십자사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복지인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의료분쟁
조정중재원
한국한의약진흥원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공공조직은행
국가생명윤리정책원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장애인개발원 아동권리보장원
한국보건의료정보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 한국장기조직기증원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colcolor=#ffffff>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KBIO Health
파일: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로고 (2025).png
정식 명칭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영문 명칭 KBIO Health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2010년 12월 15일
설립근거 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1조(목적)
• 의료연구개발 활성화 및 연구성과 상품화 촉진
• 세계적 의료연구개발 중심지 육성 및 국내 의료산업 발전에 이바지
기관장 이명수
주무기관 보건복지부
기업 분류 기타공공기관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임직원 수 현원 약 400명(2024년 12월 31일 기준)
미션 K-의료산업 도약과 인류 건강에 기여
비전 K-의료산업 생태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
핵심가치 기술경쟁력, 상생·협력, 소통·혁신, 책임·신뢰, 전문성·역량
전략목표 • 글로벌 수준의 첨단 의료산업 지원역량 강화
• 제품화서비스 고도화 및 활성화
• 첨단의료산업 생태계 활성화 지원
• 혁신·미래지향·지속 가능 경영환경 구축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로 123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블로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페이스북
전화번호 043-200-9100
파일:KBIO 사옥.png
▲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4개 센터들의 사옥

1. 개요2. 서비스3. 정체성4. 역대 이사장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에 관한 특별법시행 2024.07.10 법률 제 19959호, 2024.01.09, 타법개정

제1조(목적)
이 법은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육성을 통하여 기업, 대학, 연구기관, 의료기관 등의 상호 협력에 의한 의료연구개발의 활성화 및 연구 성과의 상품화를 촉진함으로써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세계적인 의료연구개발의 중심지로 육성하고 국내 의료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1조(재단의 설립 및 지원)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와 의료연구개발기관 및 출연기관은 공동으로 출연하여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하 “재단”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보건복지부 산하 기타공공기관 으로 바이오 의약품의 연구, 개발, 생산을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된 재단이다. 이명박 정부에서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와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가 공동 유치되었고 그 결과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함께 설립되었다. 두 재단은 다루는 의약품의 종류, 설립된 지역에만 차이가 있고 그외의 조직 구성 체계, 역할, 목적은 동일하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바이오 의약품을 담당하고 있고,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화학 의약품 (합성 의약품, Small Molecule)을 맡고 있다.

재단은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1개의 중앙 본부[1]와 연구/개발/생산을 담당하는 4개의 센터[2]로 구성되어 있다.

오송생명과학단지내의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에 위치하고 있다.

바이오헬스 기업들이 입주할 수 있는 이노랩스를 개소하였다.

2. 서비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아래의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3. 정체성

바이오의약품, 의료기기의 연구/개발/생산을 지원하는 공공기관이다.CRDMO가 곧 정체성

4. 역대 이사장

{{{#!wiki style="margin: -10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로고 (2025).png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역대 원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윤여표
2대
선경
3대
박구선
4대
차상훈
5대
이명수
}}}}}}}}} ||

5. 여담

6. 관련 문서


[1] 경영지원본부[2]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비임상지원센터, 바이오의약생산센터[3] 전 식품의약품안전청장[4] 전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이사장[5] 전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전략기획본부장[6] 전 국가신약개발재단 이사장[7] 전 국회의원(제18-21대)[8] 케뮤니케이션 센터& 벤처연구센터[9] 바이오 의약품이 아닌 케미컬(Small Molecule) 의약품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