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주(kraj) | 헌장 도시(Statutární město) | ||
프라하 | ||||
중앙보헤미아주 | | |||
남보헤미아주 | | |||
플젠주 | | |||
카를로비 바리주 | | |||
우스티주 | | |||
리베레츠주 | | |||
흐라데츠 크랄로베주 | | |||
파르두비체주 | | |||
비소치나주 | | |||
남모라바주 | | |||
올로모우츠주 | | |||
즐린주 | | |||
모라바슬레스코주 | | |||
* 주도 | }}}}}}}}} |
오파바 Opava | |||||
| | ||||
<rowcolor=#ffffff> 주기 | 문장 | ||||
<colbgcolor=#DC143C> 국가 | <colbgcolor=#fff,#191919>
| ||||
행정 구역 | 모라바슬레스코주 오파바구 | ||||
시장 | Tomáš Navrátil | ||||
면적 | 90.57㎢ | ||||
인구 | 55,600명[A] | ||||
인구 밀도 | 610명/㎢[A] | ||||
시간대 | UTC+1 | ||||
1. 개요
체코 북부 모라바슬레스코주에 위치한 도시로, 체코 실레시아의 역사적 수도이다.2. 언어별 표기
체코어 | Opava[3] |
폴란드어 | Opawa(오파바) |
독일어 | Troppau(트로파우) |
라틴어 | Oppavia(오파비아) |
3. 역사
고대 켈트어인 물(opa)에서 유래한 이 도시는 켈트족이 살았던 지역이다. 그러나 역사에서는 1195년 문헌에 처음 등장했다. 1224년 자치권을 부여받은 이래 실롱스크 공국의 수도가 되었고 1526년 보헤미아 왕국이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가문에게로 넘어가면서 합스부르크 제국에 편입되었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으로 슐레지엔이 프로이센 왕국으로 넘어갈 때 합스부르크 제국에 잔류했으며 이후 오스트리아령 상하 슐레지엔 공국으로 편입되었다. 1820년 트로파우 회의가 이 곳에서 열렸다.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의 도시 인구는 30,762명(이 가운데 29,587명은 상주 인구였음)이었으며 전체 인구 가운데 92%(27,240명)는 독일어가 모국어였다.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 성립된 체코슬로바키아에 귀속되었지만 1938년 나치 독일에 점령되기도 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체코슬로바키아에 귀속되었고 독일계 주민들은 강제 추방되었다.
4. 관광
- 성모 승천 교회 (Konkatedrála Nanebevzetí Panny Marie) : 13세기 초에 지어진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가 있던 자리에 세워진 고딕 양식의 성당.
- 흘리스카 타워 (Věž Hláska) : 오파바를 상징하는 탑으로 탑 위에서 시내를 전망할 수 있다.
- 실레시아 지방 박물관 (Slezské zemské muzeum) : 체코에서 가장 오래된 박물관이자 3번째로 큰 박물관으로 2,400,000개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5. 기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절 창단된 프로축구 구단인 SFC 오파바가 이 곳에 있다.원래 리히텐슈타인 공의 소유의 영지였으나 공식영토가 아닌 단순 부동산으로 취급되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되고 보헤미아 왕국이 독립하면서 체코슬로바키아가 통치하였고, 이후에도 부동산 자체의 소유권은 계속 공가가 갖고 있었지만 체코슬로바키아가 공산화되면서 독일계 주민들을 강제 추방할 때 리히텐슈타인 공가 소유의 부동산도 함께 몰수해서 리히텐슈타인은 반환을 요구하며 오랫동안 체코와 단교한 상태로 외교관계가 없었다. 이후 수교를 하긴 했지만 결국 유럽인권재판소에 제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