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15:04:51

옥도(신안)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의 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흥군거금도 · 나로도 · 득량도 · 백일도 · 소록도 · 시산도 · 애도 · 지죽도
광양시금호도 · 태인도 · 배알도 · 백운산 추동섬
목포시고하도 · 달리도 · 율도 · 외달도 · 장좌도
순천시사기섬 · 장구도
신안군가거도 · 가란도 · 고이도 · 구리도 · 도초도 · 만재도 · 매화도 · 비금도 · 사옥도 · 상태도 · 안좌도 · 암태도 · 압해도 · 영산도 · 우이도 · 임자도 · 자은도 · 장산도 · 증도 · 팔금도 · 하의도 · 하태도 · 홍도 · 흑산도
여수시거문도 · 고도 · 개도 · 금오도 · 나발도 · 낭도 · 대경도 · 대두라도 · 대륵도 · 대부도 · 대횡간도 · 돌산도 · 둔병도 · 묘도 · 백야도 · 사도 · 상화도 · 섬달천도 · 소거문도· 소경도 · 소두라도 · 소횡간도 · 송도 · 송도 · 손죽도 · 연도 · 여자도 · 월호도 · 운두도 · 자봉도 · 적금도 · 제도 · 조발도 · 추도 · 초도 · 평도 · 하화도 · 화태도 · 안도
영암군등대섬 · 석화도
영광군안마도 · 송이도 · 상낙월도 · 하낙월도
완도군고금도 · 구도 · 금당도 · 노화도 · 당사도 · 보길도 · 생일도 · 소안도 · 신지도 · 약산도 · 완도 · 여서도 · 조약도 · 청산도 · 평일도 횡간도
진도군가사도 · 관매도 · 동거차도 · 맹골도 · 상조도 · 서거차도 · 진도 · 하조도 · 접도 · 금호도 · 모도
강진군가우도 · 호래비섬 · 외호도 · 내호도 · 대오도 · 비래도 · 죽도
보성군지주도 · 장도 · 해도 · 가지도 · 효도 · 다래도
나주시동섬
장흥군노력도 · 장재도 · 장환도 · 자라섬 · 소대구도 · 대대구도 · 탱자섬
무안군탄도 · 야광주도
해남군어불도 · 상마도 · 중마도 · 하마도}}}}}}}}}
옥도
玉島
Okdo
파일:신안 옥도.jpg



1. 개요2. 상세

1. 개요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에 딸린 섬. 동쪽으로는 목포시와 30.8km, 인근의 하의도와는 북동쪽으로 약 4km 떨어져있다.

비금도, 도초도, 안좌도, 하의도, 장산도에 둘러싸여 있다.

2. 상세

'옥도(玉島)'라는 지명은 해변에 옥돌이 많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또 다른 유래는 하늘에서 내려다 볼 때 섬의 산 능선의 모양새가 한자 옥()자처럼 생겨서 유래되었다고도 전해진다. 조선시대 때는 구슬도(球瑟島)라고 불렀다.

목포가 개항된 1897년 이전 청일전쟁 시기부터 일본이 강제로 점령하여 일본군이 주둔하였고, 러일전쟁 당시 일본해군의 요충지로 활용되었다. 때문에 당시 서남권의 중심도시였던 목포보다 먼저 일본 해군기지가 설치되었다. 국내 최초로 무선전신 시설이 생겼고, 근대적인 기상관측이 가장 먼저 시작되었다.

1904년 3월 당시 러시아와 전쟁을 준비하던 일본은 이곳에 3명의 기상요원을 배치해 매일 오전과 오후로 나눠 3회씩 모두 6차례 풍향과 풍속, 기압 등을 측정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1]

조선시대 당시 목포진의 8곳의 요망대 중 하나였다.

선박운항에 사용되는 국제 해도에는 옥도 앞바다 일대를 팔구포(PALGUPO)로 통칭하고 있다. '팔구포'라는 명칭이 붙게 된 것은 구한말 내지 일제강점기 즈음으로 추정된다.

섬의 중앙에 해발 107m의 작은 구릉지가 있다.

하의초등학교 옥도분교장[2]이 있었지만 1998년 3월에 학생 수 부족으로 폐교되었다.

목포연안여객터미널에서 배를 타고 들어갈 수 있다.
[1] 이 옥도 관측소는 개설된지 2년 만에 목포 대의동에 이어 유달산을 거쳐 지난 1997년에 현재 위치한 연산동으로 옮겨졌다. 이 옥도 관측소 자리에는 지금도 우물통과 콘크리트 바닥, 말뚝 등 당시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다.[2] 1952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