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1D252E><colcolor=#fff> 요시다 에리카 吉田恵里香| Erika Yoshida | |
출생 | 1987년 11월 21일 ([age(1987-11-21)]세) |
가나가와현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각본가, 소설가 |
학력 | 니혼대학 (문예학과 / 학사) |
소속사 | Queen-B |
가족 | 부모님, 오빠, 배우자, 아들 |
링크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각본가, 소설가.2. 활동
어릴 시절에는 만화가가 되는 꿈을 갖고 있었으며, 고등학교 시절부터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다만, 글을 사용하는 직업을 목표로 삼았지만 각본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하지만 학창 시절에 지인에게 작가 사무소 'Queen-B[1]'를 소개받은 것을 계기로 각본가가 되었다. 대학교 2학년 무렵부터 소속사의 일을 돕기 시작했으며, 일과 학업을 양립했다. 이 시기에 요코하마 FM 방송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드라마를 집필했다. 이후에도 라디오 드라마 대회에 참여하게 되었고, 점차 각본 활동이 늘어났다.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연극, 소설, 만화 원작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작 작가다. 드라마계에서 대표작으로는 〈꽃보다 맑음 ~꽃남 넥스트 시즌~〉, 〈30살까지 동정이면 마법사가 될 수 있대〉, 〈사랑할 수 없는 두 사람〉, 〈호랑이에게 날개〉 등이 있고, 애니메이션계에서 대표작으로는 〈TIGER & BUNNY[2]〉, 〈신의 탑〉, 〈봇치 더 록!〉 등이 있다. 2021년 〈사랑할 수 없는 두 사람〉으로 무코다 쿠니코상[3]을 수상했으며, 2022년에는 〈봇치 더 록!〉으로 Anime of the Year 최우수 각색상을 수상했다.
영화계에서는 주로 순정만화를 실사화한 로맨틱 코미디물의 각본을 집필했다. 대표작으로는 〈히로인 실격〉, 〈철벽선생〉이 있다. 두 작품 모두 박스오피스에서 좋은 흥행 성적을 거두었다. 이외에도 극작가 활동도 종종 하고 있으며, 센고쿠 시대를 무대로 새로운 시각으로 다테 마사무네를 그리는 낭독극 〈나와 그 녀석의 세키가하라〉, 〈나와 너의 여름의 진〉, 이코마 리나가 주연으로 출연한 1인극 〈나와 메리벨의 7322개의 사랑〉 등을 집필했다.
각본가로서의 목표에 대해 "요즘 시대는 OTT 서비스가 침투하여 과거의 작품도 볼 수 있고, 인터넷 구독만 있는 작품도 있는 등 사람들이 접할 수 있는 콘텐츠의 양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작품을 지금 만드는 의미 등은 굉장히 생각하고, 지금 해서 다행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고 싶습니다. 게다가 요즘 드라마는 성적 소수자 등 사회적으로 목소리를 높이기 어려운 사람들이 생략되어 그려지기 쉽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저는 그게 아니라 그런 사람들을 없는 것으로 취급하지 않고, 당연하게 그리는 것을 유념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
2024년에는 NHK 연속 TV 소설[4] 〈호랑이에게 날개〉의 각본을 집필해 호평을 받았다. 지금까지 드라마는 현대극의 각본을 썼지만, 이 작품은 쇼와 시대를 그린 시대극 각본이었다. 방영 내내 준수한 시청률과 화제성을 기록했고, 작품성 면에서도 평론가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아 그 해에 활약을 한 크리에이터들에게 수여하는 Pen CREATOR AWARDS와 갤럭시상 월간상을 수상했다. 또 〈제75회 NHK 홍백가합전〉에서 게스트 심사위원으로 초청받았다.
3. 작품 목록
3.1. 드라마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비고 |
2010 | | 괴물군 怪物くん | 플롯[A] |
2011 | 요괴인간 벰 妖怪人間ベム | 플롯 협력[A] | |
2012 | | MONSTERS モンスターズ | 각본 협력 |
2013 | | 사랑하는 이브 恋するイヴ | |
2017 | 남수! 男水! | ||
2018 | | 꽃보다 맑음 ~꽃남 넥스트 시즌~ 花のち晴れ〜花男 Next Season〜 | |
| 요괴! 백귀야 고등학교 妖怪! 百鬼夜高等学 | ||
2019 | | Heaven? 헤븐 Heaven? 〜ご苦楽レストラン〜 | 스핀 오프 드라마도 집필 |
| 아오자쿠라 방위대학교 이야기 あおざくら 防衛大学校物語 | 제1화, 제2화, 제5화 | |
| 팔로우되면 끝 フォローされたら終わり | ||
1페이지의 사랑 1ページの恋 | 각본 감수 | ||
| 패러렐 스쿨 DAYS パラレルスクールDAYS | ||
2020 | | DASADA ダサダ | |
| 30살까지 동정이면 마법사가 될 수 있대 30歳まで童貞だと魔法使いになれるらしい | 제1~4화, 제7화, 제8화, 제11화, 최종화 | |
2021 | | 코에하루! 声春っ! | |
| 블랙 신데렐라 ブラックシンデレラ | 졸업편도 집필 | |
| 악마와 러브송 悪魔とラブソング | 제1화, 제2화 | |
2022 | | 사랑할 수 없는 두 사람 恋せぬふたり | |
| 더블 ダブル | ||
| 너의 꽃이 될래 君の花になる | ||
| 전력! 클리너즈 全力!クリーナーズ | 제1화, 제3화, 제5화, 제6화~최종화 | |
2023 | | 생리 아저씨와 그 딸 生理のおじさんとその娘 | |
2024 | 호랑이에게 날개 虎に翼 |
3.2. 영화
개봉 연도 | 제목 | 비고 |
2015 | 뇌장작렬 걸 脳漿炸裂ガール | |
히로인 실격 ヒロイン失格 | ||
2017 | 사랑과 거짓말 恋と嘘 | |
리벤지 걸 リベンジgirl | 원작, 각본 감수 | |
2018 | 레온 レオン | |
EVEN〜너에게 보내는 노래〜 EVEN〜君に贈る歌〜 | ||
철벽선생 センセイ君主 | ||
오즈랜드: 웃는 얼굴의 마법을 알려드립니다 オズランド 笑顔の魔法おしえます。 | ||
2022 | 홀릭 xxxHOLiC ホリック xxxHOLiC | |
2023 | 어른 소꿉친구 おとななじみ |
3.3. 애니메이션
3.3.1. TV/WEB 애니메이션
방영 연도 | 제목 | 비고 |
2011 | TIGER & BUNNY タイガー・アンド・バニー | 제15화, 제23화 공동 집필 |
2015 | 루팡 3세 PART 4 ルパン三世 PART IV | 제5화, 제11화, 제21화, 제24화 |
2016 | TRICKSTER -에도가와 란포 「소년 탐정단」에서- TRICKSTER -江戸川乱歩「少年探偵団」より- | 시리즈 구성 |
도검난무 하나마루 刀剣乱舞-花丸- | 제10화 | |
2018 | 더블데커! 더그&키릴 DOUBLE DECKER! ダグ&キリル | |
2019 | 나무아미타불: 연대 UTENA なむあみだ仏っ!-蓮台 UTENA- | 시리즈 구성 |
2020 | 신의 탑 神之塔 -Tower of God- | 시리즈 구성, 전화 각본 |
2021 | Artiswitch アーティスウィッチ | 시리즈 구성 웹 애니메이션 |
2022 | 봇치 더 록! ぼっち・ざ・ろっく! | 시리즈 구성, 전화 각본 |
타이거 앤 버니 2 TIGER & BUNNY 2 | ||
2024 | 신의 탑 2기 神之塔 -Tower of God- 第2期 | 시리즈 구성 |
2025 | 마에바시 위치스 前橋ウィッチーズ | 시리즈 구성 |
미정 | 봇치 더 록! 2기 ぼっち・ざ・ろっく!第2期 | 시리즈 구성 |
3.3.2. 극장 애니메이션
개봉 연도 | 제목 | 비고 |
2020 | 사랑하고 사랑받고, 차고 차이고 思い、思われ、ふり、ふられ | |
2024 | 극장총집편 봇치 더 록! 劇場総集編ぼっち・ざ・ろっく! | 시리즈 구성 |
3.4. 예능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비고 |
2010 | | 샤킹! シャキーン! | 어린이 프로그램 레귤러 구성 |
2023~현재 | | 시나몬과 야스다 켄의 유루도키☆쿠킹 シナモンと安田顕のゆるドキ☆クッキング | 요리 프로그램 시리즈 구성, 각본 |
3.5. 소설
출판 연도 | 제목 | 비고 |
2012 | 실험 형사 토토리 実験刑事トトリ | |
2013 | 뇌장작렬 걸 脳漿炸裂ガール | 국내 정발 |
2014 | 나와 그 녀석의 세키가하라 僕とあいつの関ヶ原 | |
나와 너의 여름의 진 마사무네와 코쥬로와 코쥬로 俺とおまえの夏の陣 政宗と小十郎と小十郎 | ||
2016 | 24살의 눈동자 にじゅうよんのひとみ | |
2022 | 사랑할 수 없는 두 사람 恋せぬふたり | 국내 정발 |
4. 여담
- 아버지는 자영업을 하며, 어머니는 전업 주부를 거쳐 영어 회화 학원을 운영했다. 또 10살 연상의 오빠가 있다. 1살부터 어머니가 책을 읽어주었던 것이 이야기를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한다. #
- 취미는 영화감상 및 전철안에서의 독서이다. 또한 국어 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
- 동경하는 각본가는 오카다 요시카즈, 사카모토 유지, 와타나베 아야다. 이들이 쓴 영화나 드라마는 정말 좋아하고, 각본가로서도 존경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무카타 쿠니코, 소설가 가와카미 히로미의 작품도 애독하고 있다. #
- 〈올모스트 페이머스〉,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를 자신의 인생을 바꾼 영화로 꼽았다. #
- 진보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무성애자들의 이야기를 그린 〈사랑할 수 없는 두 사람〉을 집필한 바 있고, 〈호랑이에게 날개〉에서는 성소수자 문제, 조선인 차별 문제, 원폭재판 등을 다뤄 화제가 됐다. 인터뷰에서 "엔터테인먼트 안에서, 사회가 아닌 것으로 여겨지기 쉬운 사람들에게 빛을 비춰 나가고 싶다"라고 말했다. 또 "가장 중요한 것은, 삶이 힘들거나 괴롭다고 느끼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다가갈 수 있는 무언가가 작품 속에 있으면 좋겠다는 점입니다. 그것은 항상 마음에 두고 있습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요시다 에리카 "외국 드라마에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등장했고, 인종도 다양했습니다. 그 점이 매우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한편, 일본 드라마는 문화적 배경이 많이 다르긴 하지만, 그 당시에는 극히 일부 사람들만 등장하는 것에 점차 의문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때의 느낌으로는, 외국 드라마는 사회적 문제를 다루지 않는 드라마라 하더라도, 가족 문제나 종교 문제를 당연하게 다루고 있었던 것 같아요. 그런 점이 매력적이었고, 큰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사회적 문제를 진지하게 다루는 것만이 정답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저 엔터테인먼트 안에서 그 문제들을 그려내는 것이 제게 잘 맞는다고 생각해요. 더 나아가 말하자면, 진지한 것이 위이고, 로맨틱 코미디는 아래에 있다는 계층 구조에도 도전하고 싶습니다."
- 우타다 히카루의 노래 〈誰かの願いが叶うころ〉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인터뷰에서 "이 노래에 '누군가 소원을 이룰 때면 우는 아이도 있다'는 가사가 있습니다. 100명이 있으면 100명 모두가 행복해지는 법은 없다. 그곳에는 불행해지는 사람이 열 명은 있다는 '진리'를 깨닫게 됐습니다. 100명 중 10명의 개인에 대해 '나는 당신을 투명한 존재로 만들지 않을 것이며 당신이 행복하기를 바란다'고 항상 마음을 담아 쓰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 인터뷰에서 각본 집필의 원동력에 대해 "저는 뉴스를 보면 대체로 화가 나 있는데, 이 분노를 놓치지 않고 문제의식을 갖는 것이 작품을 향한 원동력입니다. 드라마나 영화 등 엔터테인먼트를 보는 것도 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 '만화를 영상화할 때 각본가로서 유의하고 있는 방침은 무엇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가장 중요한 것은 원작의 메시지가 손상되어 버리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각본을 담당한 〈봇치 더 록!〉이라면, 애니메이션 제8화의 라스트로 그려지는, 고토 히토리와 이지치 니지카의 씬이 잘 보여주는 예일 수 있습니다. 만화 특유의 표현을 영상 표현으로 '번역'하는 느낌이군요. 만화의 경우는, 연재나 프레임 분할 등의 포맷 때문에의 표현이 있으므로, 그것을 영상으로 옮겨놓을 때에는 구성도 재고합니다"라고 대답했다.
- '각본을 집필하면서 정하고 있는 것, 지키고 있는 것을 가르쳐달라'는 기자의 질문에 "큰 일을 할 때는 초고부터 마지막 화를 마칠 때까지 머리를 자르지 않습니다. 일종의 소원 빌기죠. 그리고 당연하지만 각본상으로는 타협하지 않습니다. 각본은 현장에 맡기면 더 이상 자기 것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본 단계에서는 자신의 의지를 120% 담아두고 싶습니다. 마지막은, '여러 일을 병행해 한다'입니다. 하나의 일에만 집중하면, 어려운 상황에 부딪혔을 때 너무 낙담하게 돼요. 영화 대본 같은 경우, 써도 세상에 나오지 않는 경우가 드물지 않아요. 그런 때 여러 일을 동시에 하고 있으면 '아직 이 일이 있다'라고 생각하며 멘탈을 유지할 수 있어요"라고 대답했다.
- 만화를 자주 읽는다. 〈나의 지구를 지켜줘〉를 자신의 사상을 형성한 작품으로 꼽았다. 또 출산 전은 압도적으로 종이파였지만, 출산 이후에는 전자책으로 만화를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