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 울산 · 경남의 과학중점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김해분성고등학교 | 동원고등학교 | 마산용마고등학교 | 만덕고등학교 | 물금고등학교 | |
방어진고등학교 | 부산고등학교 | 부산센텀여자고등학교 | 부산장안고등학교 | 브니엘고등학교 | |
삼성여자고등학교 | 용인고등학교 | 울산강남고등학교 | 울산중앙고등학교 | 진주제일여자고등학교 | |
창원남산고등학교 | 창원여자고등학교 | 혜화여자고등학교 | }}}}}}}}} | ||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충청 | 전라 | 경북 | 경남 | 제주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경남전자고등학교 | 마산가포고등학교 | 마산고등학교 | 마산삼진고등학교 | ||
마산여자고등학교 | 마산용마고등학교 | 마산제일여자고등학교 | 마산중앙고등학교 | ||
성지여자고등학교 | ◈ 태봉고등학교 | 합포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010080><colcolor=white> 마산용마고등학교 馬山龍馬高等學校 Masan Yongma High School | |
<nopad> | |
개교 | 1922년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성별 | 남학교 |
형태 | 공립 |
교장 | 문정식 |
교감 | 심판갑 |
교훈 | 성실 · 근면 |
교화 | 개나리 |
교목 | 느티나무 |
학생 수 | 500명[기준] |
교직원 수 | 51명[기준] |
관할 교육청 | 경상남도교육청 |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허당로 51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며 2001년 개명 전 학교 이름은 마산상업고등학교이다.2. 학교 연혁
옛 마산 지역에서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학교이다. 1922년 마산공립상업학교로 설립되었으며, 마산부를 포함한 중부 경남지역에서는 한동안 유일한 공립 중등교육기관 역할을 담당했다. 마산공립상업학교 설립 이전에는 사설 교육기관이었던 창신학교, 호신학교(현재 폐교), 성지강습회, 일본인들이 다니던 마산심상소학교 중등과 등이 있었고 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기관으로는 마산고등여학교가 있긴 했지만, 당시 마산고녀는 정식 고등여학교로 인가받지 못했다. 따라서 마산공립상업학교의 설립은 지역에 공립 중등교육의 초석을 놓는 것과 같은 역할이었다.그러나 마산공립상업학교 또한 고등'보통'학교 학력, 즉 교과과정은 중등교육이지만 졸업학력은 현재의 초등학교(...)에 준하는 수준으로 취급해 주고 있었다. 최소한 중고등학교 학력 인정은 해 주어야 하는데, 일제 당국은 고등보통학교라는 괴상한 학제로 이를 제도적으로 막고 있었던 것. 이 때문에 마산지역의 중등학생들은 조선인뿐만 아니라 일본인조차도 구제고등학교와 제국대학, 심지어 일본 내 사립대학으로 진학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사정 때문에 식민지 조선에서는 자체적으로 대학을 설립하고자 하는 민립대학 설립 운동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더불어 마산 지역에서는 대학은 몰라도 중학교 학력 정도는 일본과 동일하게 인정받을 수 있게 하려는 구제중학교 설립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하여 이 운동의 결과로 설립된 학교가 5년제 마산중학이다. 자세한 마산 지역의 일제강점기 중등교육 역사 및 그 당시 교육체제에 관하여는 마산고등학교 문서와 제국대학, 대학예과 문서를 같이 참조하기 바라며, 이후 마산지역의 남자고등학교 학맥은 마산상고와 마산고의 2대 공립+기타 사립으로 나뉘어졌다.
해방 후 마산공립상업학교는 전국적 학제개편을 통해 마산동중학교와 마산상업고등학교로 분리되었고, 특히 마산상고는 마산지역의 상업 번영과 맞물려 '똑똑한 고학생들이 생업을 위해 많이 진학한다'는 이미지가 있었다. 아래 항목에도 있듯 김주열 열사 또한 전라북도 남원에서 마산까지 유학온 학생이었다. 마산지역 내에는 마산상고를 나온 은행 지점 간부급 직원이나 지역 중견기업 임원 등을 90년대까지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경제성장과 1988 서울 올림픽 등을 치르며 실업계 고등학교 기피현상[3]이 생기면서, 마산상고 동문회는 상고의 인문계 전환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또한 이 때를 같이하여 가뜩이나 부족했던 마산지역 인문계 고등학교 정원 확충을 위한 지역여론이 규합되었고, 마산상고는 교명을 "마산용마고등학교"로 바꾸며 인문계로 전환하게 되었다.
일자 | 내용 |
1921.12.26. | 마산공립상업학교 인가(3년제 3학급) |
1922.04.25. | 개교 |
1923.05.23. | 상남동 신교사 이전 |
1931.03.31. | 5년제 10학급으로 변경 |
1941.01.18. | 현 교사로 이전 |
1949.09.09. | 6년제 36학급으로 학제변경, 교명을 마산상업중학교로 개칭 |
1951.09.01. | 학제변경, 마산상업중학교에서 마산상업고등학교와 마산동중학교로 분리 |
1964.07.25. | 종합 운동장 완공 |
1975.12.06. | 도서관 홍덕관 준공 |
1990.09.08. | 상업과 4학급, 정보사무과 3학급, 정보처리과 5학급으로 학제변경 |
1992.02.27. | 본관 준공 |
1998.09.23. | 경영정보과4학급, 정보사무과3학급, 정보처리과 5학급으로 학과명 변경 |
1999.02.04. | 후관, 서관 준공 |
2001.03.01. | 교명을 마산용마고등학교로 개칭(일반계 고교) |
2002.03.13. | 급식소 및 특별실 준공 |
2004.06.25. | 생활관 3층 건물 완공 |
2005.01.31. | 신축 강당 건립 |
2010.06.30. | 선진형 교과교실제 실시, 홈베이스 및 후관 교실 증축 완공 |
2012.04.13. | 야구부, 씨름부 실내연습장 준공 |
2012.12.30. | 전국 교과교실제 운영 우수학교, 경남교육청 학교평가 우수학교 표창 |
2013.09.12. | 김성률배 전국장사씨름대회 우승 |
2013.11.04. | 휴대폰 안 가져오는 학교 선언 |
2014.05.21.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준우승 |
2014.12.11. |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선정 |
2015.10.22. | 제96회 전국체육대회 야구 우승 |
2016.01.27. | 2015 교과교실제 선진형 운영 우수학교(전국 TOP10) |
2016.02.05. | 제90회 졸업식(졸업생수 291명, 총 졸업생수 31,318명) |
2016.05.02. | 2017학년도 과학중점학교 신규 학교 선정 |
2016.09.01. | 제32대 곽종근 교장 취임 |
3. 교훈 및 상징
교목 | 교화 | 교기 |
느티나무 (느릅나무과) | 개나리 (물푸레나무과) | 전체 모양: 원과 삼각형 (안정감) 상단 네모: 마의 "ㅁ" 하단 시옷: 산의 "ㅅ" 바깥의 원: 용마의 "o"[4] 1922: 개교 연도, 마산고보의 연혁을 승계한다. |
4. 학교 특징
운동장이 어마어마하게 넓다. 물론 타 지역까지 합하면 아닐 수도 있지만, 일단 옛 마산시 권역 고등학교 중에서는 독보적인 부지 넓이를 자랑한다.교기(스포츠)가 강력한 학교로도 지역 내에서 유명하다. 대표적으로 이만기와 강호동을 배출한 씨름부, 그리고 일제강점기 당시부터 굴곡 없이 지역 강호였던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가 있다.
5.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 강호동(1986)[5]
- 공정식
- 공필성
- 권오병
- 김경회
- 김민우
- 김상석
- 김석현
- 김영진
- 김우석
- 김윤식
- 김이근(정치인)
- 김인득
- 김주열
- 김진백
- 김형돈
- 나균안
- 박용순(1954)
- 반대식
- 배덕광
- 배한성
- 배재성
- 백찬기
- 박한석
- 우병규
- 이만기(1979)
- 이방호(1943)
- 이상갑
- 이상익
- 이시맥
- 이영욱(1932)
- 이원수
- 이채호
- 장원삼(1999)
- 정홍일(1992)
- 정훈
- 조정제
- 조정훈
- 주선회
- 진두생
- 진종삼
- 최정태(1952)
- 최진석
- 허민
- 황낙주
6. 기타
- 3.15 부정선거 시위에 참여하여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인물인 김주열 학생, 열사의 출신학교이다. 1960년 3월 15일 당일 이승만의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시위에 참여했다가 행방불명되었다. 그리고 27일 후인 4월 11일에 마산 중앙부두 앞바다에서 눈에 최루탄이 박혀 사망한 그의 유해가 발견되어 전국적인 충격을 안겼으며, 곧 1주일 후에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서 국민들이 나서는 4.19 혁명으로 이어진다. 1995년 4월 11일 마산상업고등학교에서는 김주열에게 명예 졸업장을 추서했고, 그 졸업장은 김주열 열사 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링크 실제로, 김주열 열사는 입시를 치른 뒤 마산상고에 장학생으로 합격하여 입학이 예정되어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