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13:44:10

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우왁굳|우왁굳]]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64532,#164532><rowbgcolor=#164532,#164532><tablecolor=#fff><width=53%>
파일:우왁굳 서명.png
||우왁굳
관련 문서
||

{{{#!folding [ 콘텐츠 ]
{{{#!folding [ 밈 ]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왁타버스 로고 컬러.png왁타버스 관련
논란 및 사건 사고
}}}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우왁굳 서명.svg
우왁굳(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
파일:이세계아이돌 프로필 로고 (화이트).svg
이세계아이돌(아이네 · 주르르 · 고세구 · 비챤) · 이파리
파일:Gomem.png
하쿠0089(ODDS&ENDS 모션 무단 사용 논란) · 미스 발렌타인 남성혐오 및 래디컬 페미니즘 활동 논란
왁타버스 뮤직 유튜브 정책 어뷰징 사건 }}}}}}}}}


1. 개요2. One Hour One Life 그리핑 플레이 논란3. 유튜브 광고 미표시 논란4. 저작권 침해 논란
4.1. 왁타버스 고멤들의 모델링 무단 도용, 수정 논란4.2. RE : WIND 저작자 배제 및 저작권 독점 논란
5. 악성 팬덤 책임 회피(노노제팬) 및 팬카페 관리 소홀6. 우왁굳 숭배 문화 논란

1. 개요

우왁굳의 사건 사고를 정리한 문서.

2. One Hour One Life 그리핑 플레이 논란

문제가 된 영상

2018년 12월 29일에 플레이한 게임 One Hour One Life의 영상에서 그리핑 플레이 때문에 문제가 제기됐다. 해당 게임은 1분에 1살씩 나이를 먹어가며 마을과 문명을 업그레이드하는 게임으로써, 플레이어들의 협동심이 콘텐츠의 주가 되는 게임이다. 태어난 아이들은 3살까지 게임 내에서 어떠한 상호작용도 불가하며 자력으로 생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우왁굳은 "외국서버에서 뉴비들 납치하기 ㅋㅋㅋ" 라는 제목으로 동영상을 업로드했는데, 4살이 되지 않은 아이들은 안아 들어올려지면 저항이 불가능한 것을 이용하여 외딴곳에 버려두는 플레이를 진행했다. 처음에는 게임을 잘 알지 못해 벌어진 실수에 불과했지만, 이후 재미가 들리며 의도적으로 마을에 태어난 아이를 험지에 데려가 죽이기를 반복했다.

영상 댓글란에 해당 플레이가 그리핑이라며 지적이 이어졌다. 영상의 조회수가 100만을 넘으면서 생긴 파급력으로 이러한 행위를 모방하는 소위 "그리퍼"들이 늘어났다는 의견도 있었다. 제작진은 게임속의 머더러, 그리퍼를 너프시키는 업데이트를 하면서 밸런스 조정을 시도하기도 했다. #

이후 100만 구독자 기념 마인크래프트 건축 콘테스트 '왁튜브 명장면' 편 1화 영상에 One Hour One Life가 등장해, 우왁굳 본인이 해당 사건에 대한 짧은 생각을 밝히기도 했다. 자신은 그 당시에 그런 행동을 막아두지 않은 것을 보면 어느 정도 제작진의 의도가 들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3. 유튜브 광고 미표시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0년 유튜버 뒷광고 사건/영향 및 반응/추가로 광고 표기 문제가 밝혀진 채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0년 유튜버 뒷광고 사건/영향 및 반응/추가로 광고 표기 문제가 밝혀진 채널#s-18|18]]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0년 유튜버 뒷광고 사건/영향 및 반응/추가로 광고 표기 문제가 밝혀진 채널#|]][[2020년 유튜버 뒷광고 사건/영향 및 반응/추가로 광고 표기 문제가 밝혀진 채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저작권 침해 논란

4.1. 왁타버스 고멤들의 모델링 무단 도용, 수정 논란

왁타버스 고정 멤버들 중 상당수가 실존 인물의 얼굴이나 상업적 캐릭터들의 모델링을 무단 도용 및 수정한 아바타를 사용하면서 불거졌었던 논란.#@
위의 경우처럼 실존 인물의 초상권이나 인기 캐릭터 모델링 무단 도용, 파쿠리 등 저작권과 관해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는 모든 아바타가 변경되었다.

결정적인 원인으로는 '고정멤버'라는 콘텐츠가 VR챗을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시청자들이 VR챗 내에서 전시중인 아바타로 하나의 컨셉을 만들어서 오디션을 보게된다는 것이다.

VR챗에 전시된 무료 아바타들 중 대부분의 아바타가 실존인물이나 게임, 애니메이션에서 따오는 등 저작권을 지키지 않은 아바타들이 많기 때문에, 본인이 직접 구매 후 개변한 아바타가 아닌 이상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는 기풍이 있다. 이런 정보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유저들은 해당 아바타들을 어떠한 문제가 있는 줄 모르고 사용하고 있으며 고정멤버들 또한 이러한 아바타들을 출처도 모른 채로 쓴 것이 시발점이 되었다.

또한 처음에는 수익성을 노리고 기획한 콘텐츠가 아닌 단순 시참을 위해 재미로 기획한 것이었고 왁타버스 콘텐츠가 우왁굳 방송 내부에서만 사용되었을 때 대부분은 해당 아바타가 어떤 인물인지, 어느 게임에서 나온 지 조차 인지가 안됐을 정도로 무지하였다. 그러나 고멤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된 이세계아이돌이 대외적으로 성공을 거둔 것을 시작으로 고멤 가요제나 커버곡 등 왁타버스 콘텐츠가 점점 커지면서 원래부터 패러디의 영역으로 원작 아바타가 인지되어 있었던 프리터 이외의 다른 고멤 아바타들도 논란이 생겼었다.[1]

하쿠0089는 아바타 문제 외에도 하쿠 커버곡을 제작한 작업자가 불법 추출하여 만든 댄스 모션과 연출 파일을 사용하여 ODDS&ENDS 모션 무단 사용 논란을 일으키며 문제가 되었다.[2]

4.2. RE : WIND 저작자 배제 및 저작권 독점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악성 팬덤 책임 회피(노노제팬) 및 팬카페 관리 소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관련}}}에 대한 내용은 [[노노재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노노재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노노재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관련: }}}[[노노재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노노재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노노재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이파리/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에펨코리아, 아카라이브, 치지직, 더쿠[아카이브]

우왁굳은 과거 왁물원 이외의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팬들에 대해 "저희 팬이 아니다"라고 발언한 적이 있다. 이 발언은 2019년 한국에서 유행했던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인 노노재팬을 패러디하여, '노노제팬(No No My Fan)'이라는 용어로 확산되었다.

해당 발언이 문제로 지적되는 이유는, 우왁굳이 "174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이자 "66만 회원의 팬카페"를 운영하는 영향력이 큰 방송인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악성 팬들이 일으키는 상황에 대해 "팬이 아니다" 라고 선을 그으며,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피해 사례
1. 왁타버스 소속의 스트리머 그룹 이세계아이돌 멤버들과 PUBG 합동 방송을 진행하던 방송인 김블루가, 방송 중 이세계아이돌 아이네의 캐릭터를 죽인 것을 이유로 악성 팬들로부터 다수의 DM(Direct Message)을 받은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우왁굳은 팬카페 탐방 중 해당 사건을 접했으나 "저희 팬이 아니다"라며 책임을 회피하고 급하게 영상을 종료했다.#@ 물론 당시 DM을 보낸 '메일단'과 'DM단'이 이세돌 팬인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으나, 상황에 대한 설명이나 책임 있는 입장 없이 곧바로 "팬이 아니다"라며 선을 그은 태도는, 팬덤 내 문제의 본질에 대한 책임 회피로 해석되며 논란이 일었다.
1. 하쿠0089하츠네 미쿠저작권을 침해했다는 논란이 발생한 당시, 우왁굳은 이를 사과하거나 해명하려 하지 않았다. 오히려 논란을 제기한 사람들을 분탕으로 취급하는 분위기를 방치했고, 팬덤 전체 차원의 책임이나 반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로 인해 보컬로이드 팬측이 피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논란을 무마하려는 양상이 오히려 보컬로이드 팬들의 더 큰 반발을 불러왔다.# @
1. 우왁굳 및 이세계아이돌의 '팬카페'이며 이에 따라 타 방송인에 대한 비방 금지를 공지하고 있으나, 아프리카TV의 타 방송인 관련 논란 뉴스 또는 비방 글/댓글들이 게시되고, 이에 대한 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논란이 발생했다. 자세한 내용은 왁물원 내 아프리카TV의 타 방송인들에 대한 비방 참조.


위 사례는 타 집단에게 실질적인 피해를 초래한 주요 사건이다. 위 사건 외에도 우왁굳 및 이세계아이돌의 팬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에 의해 많은 사건 사고가 발생했으며, 여러 커뮤니티에서는 우왁굳의 팬덤 관리 소홀에 대한 비판 여론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노노제팬'이라는 표현이 널리 확산되었다.[4] 이른바 노노제팬의 더 큰 문제점은 팬덤 내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침팬치', '이파리'들에게 책임 회피의 명분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당사자는 "나는 우왁굳의 팬이 아니다"라고 주장하고, 기존 팬덤은 "저 사람은 분탕이다"라며 해당 인물과 팬덤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일명 '꼬리 자르기'가 반복되고 있다. 이로 인해 팬덤 전체의 책임성이 희석되고, 사안의 본질이 흐려지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작 우왁굳 본인이 팬으로 인정한 플랫폼인 '왁물원' 내에서도 자정 작용과 팬덤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확인되어 비판의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있다. 왁물원의 기본 운영 방침은 '건의 및 토론 금지'인데, 이로 인해 팬덤 운영과 관련된 문제 제기조차 내부적으로 허용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러한 운영 방침에도 불구하고 일부 팬들이 문제 해결을 위한 건의 의견을 게시하면, 활동 정지 등의 제재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팬덤 내부의 분탕 제재를 명목으로 운영되는 '스탭 게시판' 역시, 실제로 문제성 이용자들을 모아두는 기능보다는 오히려 소신 발언을 한 이용자들의 게시물이 모여있으며, 해당 게시글의 작성자를 조롱하거나 폄하하는 기조로 댓글이 작성되고 있다.#@

또한 왁물원 내부에서는 외부 타인들에 대한 공개적인 비방과 조롱[5]뿐만 아니라, 우왁굳 콘텐츠에 참여한 공모전 참가자조차 욕설 및 혐오 표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적 게시물들에 대해 카페 스탭들이 별다른 제재를 하지 않거나, 때로는 방조 혹은 동조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자정 기능의 부재와 운영 책임에 대한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6]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소신 발언이 위축되고,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지 못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으며, 모든 상황을 본인 집단의 입장에서 해석하고 결부시키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왁물원에서의 왜곡된 해석 기제
최근 발생한 이세돌의 실물 관련 루머 확산 및 사이버 불링 피해에 대해, 왁물원에서는 이를 '고척돔 소식의 주목도를 낮추기 위한 시도'으로 해석한 게시글[7]이 인기 글로 등재되었다. 그러나 해당 해석은 사실에 기반하기보다는 특정 시각에서의 편향된 해석으로 보일 여지가 있다.
  1. 이세돌 관련 루머 및 허위 정보가 확산된 직접적인 계기는 고척돔 발표와의 인과관계보다, 관련 영상이 각종 커뮤니티에서 확산되면서 다수의 인기 글[8]로 노출된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 조직적인 공격의 근거로 제시되었던 'YES24 실시간 검색어에 이세돌 굴이 올랐던 사건'도, YES24 측의 확인에 따라 '이세돌 구리 격전보’라는 도서명에서 발생한 오타로 인해 발생한 것[9]으로 밝혀졌다. 이는 해당 검색어 노출이 이세돌을 겨냥한 의도적 행위가 아니었음을 시사한다.
  3. 또한 피해자인 이세돌 멤버들의 채팅창에서 '' 관련 채팅을 차단한 사실을 기반으로, 외부 커뮤니티에서 그 원인을 추론하는 과정을 '레이튼의 퀴즈를 푸는 것'에 빗대어 조롱하는 유머글[10]이 인기글에 등재된 것도 루머 확산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왁물원 측은 해당 글의 내용을 사실로 받아들이며, '고척돔에 대한 열등감'에 기인해 이세계아이돌이 조직적으로 공격 받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물론 그러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나, 루머가 포함된 게시글이 왁물원 내에서 별다른 검증 없이 유포되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 사안과 관련하여, 왁물원에서는 문제를 일으키는 팬들의 수가 너무 많아 '관리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내세우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물론 대규모 팬덤에서 발생하는 비위 행위를 일일이 통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나, 스트리머들이 지속적으로 팬덤의 분위기를 환기하는 이유는 '완전무결한 팬덤'을 만들기 위함이 아닌, 팬들이 스스로 자신을 되돌아보고 내부에서 자정 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측면이 크다. 이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일부 스트리머들은 팬덤 관리가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디시인사이드 측에 자신과 관련 갤러리를 삭제해 달라고 요청하거나 관련 갤러리가 개설되지 못하도록 조치하기도 한다.[11]

반면, 악성 팬덤의 주요 활동 기반으로 지목되는 우왁굳 및 왁타버스 관련 디시인사이드 갤러리는 최소 5개 이상 존재하며,[12] 이는 디시인사이드 내 인터넷 방송 관련 갤러리 중에서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이 관련 논란과 문제를 가속화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초기 팬덤 내에서 발생한 문제적 행태들을 묵인하거나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결과 수년 간 팬덤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문화가 누적되게 되었고, 공식 카페인 왁물원과 기타 커뮤니티들은 여전히 자정을 바라는 유저의 색출만에 급급한 채 나아질 여지를 내보이지 않는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

요약하자면, 우왁굳은 악성 팬덤에 대해서 적극적인 대처보다 별다른 언급이나 조치 없이 묵인하는 소위 병먹금 기조로 대응해왔고, 이로 인해 팬덤 내 부정적인 문화가 조금씩 쌓여가다가 현재까지 다다르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13] 우왁굳 본인 또한 병먹금 운운하며 사실상 악성 팬덤들에 대한 관리를 내팽개쳤고, 이들이 일으키는 여러 문제에 관한 책임을 회피하려고 드는 무책임한 태도를 보인 점에서 대형 인플루언서답지 않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다.

6. 우왁굳 숭배 문화 논란

디시1, 디시2, 루리웹1, 루리웹2 펨코1펨코2펨코3숭배금지 공지[14]

우왁굳의 팬덤의 형태가 마치 종교와 유사한 형태를 갖추고 있고 구성 인원들이 우왁굳에 대한 과도한 찬양과 숭배를 하는 행위로 인해 일어난 논란이다.
우왁굳은 방송경력이 10년이 넘어가는 174만 구독자, 66만 카페의 보유자이다. 그 규모가 크기 때문에 인터넷방송, 커뮤니티, 유튜브 등 활동하는 플랫폼에서 모두 탄탄한 팬층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우왁굳은 공모전, 고정멤버, 이세돌을 통한 콘텐츠 생산이 매우 뛰어나 우왁굳 밑에서 멤버로 활동하더라도 해당 팬덤에 대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이다.#

우왁굳도 이를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멤버의 경우 방송금지라는 조항을 걸어놨지만,[15] 방송을 하지 않더라도 공모전이나 카페를 이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악용의 여지가 매우 높다. 제일 인기가 많았던 고멤 띵킹의 경우 이런 영향력을 제일 잘 이용하는 사람으로 왁타버스 내부에서 큰 논란이 있었다.[16]

이런 영향력 때문인지 고정멤버, 이세돌을 구분하지 않고 우왁굳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에 한해서는 이 사람이 우왁굳을 진심으로 좋아해서 콘텐츠에 참여하는 것인지에 대한 검증이 이뤄지고 있다.[17] 이는 우왁굳의 콘텐츠로서도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이세돌의 경우도 뽑히고 나서 모든 멤버에게 '우왁굳은 언제부터 알았는지'에 대한 질문이 팬덤에서 궁금해하는 질문으로 사용될 정도이다.[18][19] 이중에서 제일 우왁굳의 방송을 많이 보지 않았던 고세구의 경우는 지속된 비하와 조리돌림을 당하고 있기도 하다. 우왁굳 콘텐츠에 참여하는 스트리머들마저 숭배력이라는 평가 아래 티어표가 작성되기도 한다.[20]@ 이러한 양상은 팬덤 내부에서 끝도 없이 커져서 오디션을 하차해서 왁타버스하고 더 이상 상관이 없더라도 끝까지 쫓아가 사이버불링을 행하는 양상까지 발전하였다.

물론 우왁굳을 너무 좋아해서 관련 활동을 하는 인원도 매우 많으나, 팬들의 과격함 때문에 우왁굳을 진심으로 좋아하는지 아닌지는 활동 멤버들에게 매우 민감한 주제이다. 자신의 팬심을 검증하는 과정 중 제일 쉬운 방법이 조공, 찬양, 숭배이기 때문에 왁타버스의 수많은 작업물은 조공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왁미제라블 가사에 나오는 '부아내비'이다.[21] 왁타버스 멤버들이 참여한 커버곡 왁타버스에서는 아예 '형의 노예가 되고 싶어' 등 찬양하는 가사가 대놓고 나오기도 한다.[22]

우왁굳도 이를 인지하고 매우 과열된 양상을 띠기 때문에 '숭배 금지'라는 공지를 해서 막고 있는 현실이다.숭배금지 공지@
[1] 이후 왁타버스가 확장되면서 고멤들이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해 순차적으로 아바타를 변경하였고 고멤 하드코어 오디션부터 확실하게 저작권 문제가 없는 아바타만 신청을 받으며 현재는 고멤과 관련된 아바타들은 저작권 문제가 모두 해결되었다. 다만 저작권 관련 논란이 다시금 대두되자, 팬덤과 우왁굳 본인의 저작권에 관한 인식이 빈약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 또한 있다.[2] 이후 해당 논란이 불거지자 활동 정지 이후 저작권 분쟁의 소지가 있는 아바타를 교체하는 한편, 문제가 된 해당 영상은 현재 내려갔다.[아카이브] 에펨코리아 아카라이브 치지직 더쿠[4] # @[5] # @[6] # @,팬카페인 왁물원에서 디시인사이드의 사이버불링 내용을 공유하고 동참하는 모습@[7] # @[8] # @[9] # @[10] # @[11] # @[12] # @[13] 결과적으로 이로 인해 이세돌 팬덤인 이파리들은 그동안 저질러온 만행들이 재조명되어 아예 짱깨라는 멸칭이 붙었으며, 이전에 있어왔던 왁타버스 관련된 자질구레한 논란들 또한 같이 재조명되는 등 적지 않은 이미지 실추를 겪었다.[14] @1 @2 @3 @4 @5 @6 @7 @8[15] 고멤공지@고멤 캐릭터로 방송 불가, 정체가 드러나서도 안된다. 아예 주의사항에 '유명 스트리머가 되는 길이 아니다'라고 명시하고 있다.[16] 띵킹 만행 총정리@[17] 고정멤버 지원자 에밀리 짭치 이슈1@이슈2 @ 유튜브 컨텐츠 고멤오디션 떨어진 이유가 있어 - 탈락계들 모아서 짭치 테스트 하기[18] 아이네 인터뷰 영상-질문 : 우악굳 언제부터 알았는지?[19] 이세돌 짭치 명칭 이슈[20] 버천 숭배력 티어표[21] 넘버8 가사 중 '부려먹는게 아니라 내가 비빈거다'의 줄임말[22] 전반적으로 우왁굳을 찬양하는 가사이다. '형은 내 별 이자 나의 우주니까', '형은 언제까지나 지금처럼 밝게만 빛나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