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5 11:58:06

바이킹 소드

울프베르트에서 넘어옴
바이킹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 #33414A 20%, #33414A 80%, #000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40E0D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역사 <colbgcolor=#FFF,#1F2023>바이킹 시대 · 이교도 대군세 · 데인로 · 빈란드 · 북해 제국 ·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
사회 야를 · 의회 · 바이킹
문화 롱하우스 · 룬 문자 · 사가 · 에다 · 스칼드 · 냘의 사가 · 볼숭 일족의 사가 · 빈란드 사가 · 피의 독수리 · 벌꿀술 · 밀월
종교 북유럽 신화 · 애시르 신족 · 바니르 신족 · 발키리 · 발할라 · 라그나로크 · 세이드 · 신이교주의
언어 고대 노르드어
군사 데인액스 · 바이킹 소드 · 베르세르크 · 후스카를 · 욤스비킹 · 바랑인 친위대
민족 노르드인 · 데인인 · 노르만족 · 루스인
인물 군힐드 콩스머 · 라게르사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 레이프 에이릭손 · 비요른 · 시구르드 · 시구르드 링 · 시그문드 · 아슬라우그 · 에릭 블러드액스 · 오사 여왕 · 올라프 2세 · 이바르 · 토르핀 카를세프니 · 토르켈 · 류리크 · 롤로 · 베른하르트 · 하랄 1세 블로탄 · 하프단 · 스벤 1세 · 크누트 대왕 · 하랄 3세 하르드라다 · 해스테인
}}}}}}}}}}}}}}}

파일:vikingsword.jpg

1. 개요2. 역사3. 유명한 도검

1. 개요

고대 말~중세 유럽에서 북유럽을 중심으로 노르드인, 곧 바이킹족이 널리 사용하던, 길이는 약 60-80 cm 남짓에 무게 1.2-1.5 kg 정도인 한 손용 도검이다. 찌르기보다는 베기를 주로 사용하도록 검신의 폭을 넓게 만들고, 무게를 가볍게 하고자 칼날에 풀러(혈조)를 팠다. 칼 끝 부분을 제외하면 테이퍼 경사가 거의 없어 양 날은 거의 평행에 가깝다.

2. 역사

바이킹 소드는 고대 로마 후기 민족이동시기(4-8세기) 또는 게르만 철기시대의 게르만 도검류에서 제련, 제작 기법이나 형태적으로 얼마간 영향을 받긴 했으나,[1] 더 직접적으로는 로마의 도검 스파타의 직계후손이라 보기도 한다.

이 검들은 제작할 무렵에는 철강의 탄소를 세세하게 조절하기 힘든 점을 보완하고자 고탄소강과 저탄소강, 두 종류 쇠봉을 마치 꽈배기 감듯 달궈 꼬아서는 이를 두들겨 단조하고 담금질하기를 여러 번 반복하는 접쇠 기법으로 구조강도를 높였다. 이런 식으로 주조한 도검은 외관 상 검신에 물결 무늬가 드러나고, 각 철강의 장단점이 서로 보완되므로 강도가 월등하다. 이런 접쇠 기법은 바이킹 소드의 기술적, 형태적 조상이라 할 수 있는 로마의 글라디우스를 만들 때부터 사용되었다.[2] 그 덕에 검 표면에 있는 모양이 마치 뱀의 몸이 뒤틀린 듯한 문양이 나타나는데, 뵐숭 사가와 같은 초기 게르만 전설을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 검을 뱀이 똬리를 튼 듯한 무늬가 있다고 묘사한다. 이 방식은 중세로 이어져 패턴 웰디드 공법(pattern welded; pattern welding)이 되었다.

바이킹 소드는 거친 바이킹이 만든 조잡한 도검이라는 인식이 있으나, 실제 발견된 유물 중에는 탄성과 강도가 뛰어난 것도 있다. 이는 (1) 당시 바이킹의 주요 교역로 중 하나였던 볼가강을 통해 중앙아시아와 이란 등 지역에서 순도 높은 철광석을 수입했고 (2) 삼림지대에 거주한 바이킹들이 불을 자주 다루면서 온도에 따른 금속제련효과를 체득한 덕분이다.

이후 바이킹 소드는 주 사용자였던 노르드인 중 일부가 북프랑스 노르망디에 정착하면서 그들과 동화되어 노르만족으로 변화하고 유럽 각지에 정착 및 동화하는 과정에서 다시 변화하였다. 일명 노르만 소드(norman sword)라고 불리는 이들 유물은 세월이 흐를수록 폼멜이 원반 형태로 바뀌고, 크로스 가드는 방어용으로 길어지며, 칼 끝을 제외하면 평행을 이루던 칼날도 풀러가 짧아지고 테이퍼가 길어지며 칼끝이 뾰족하게 바뀌었다. 이러한 경향이 지속되면서 11세기에 들어서는 흔히 '중세 검' 하면 떠오르는 아밍 소드가 되었다. 그래서 중세 초중기 도검에서 바이킹 소드의 흔적을 조금씩 확인할 수 있다.

노르드인이 오늘날의 러시아 등 동유럽 지역에 정착하며 세운 노브고로드 공국, 키예프 공국 등 루스 공국 영역에서도 유물로서 바이킹 소드와 유사한 도검이 발굴되었다. 차이점이라면 아밍 소드의 형태로 바뀐 서유럽의 바이킹 소드들과는 달리 루스 공국 지역의 검들은 대략 중세 말인 12-13세기까지도 형태를 유지했다는 점이다.

3. 유명한 도검

실존 유물 중 일명 'Ulfberht'[3]라 불리는 바이킹 소드들은 서기 9-11세기에 제작되었는데도 현대의 고탄소강에 필적할 만큼 탄소 함유량과 철의 순도가 높아서 당시로서는 오버 테크놀로지에 가까웠다. [4]탄성이 높으면서도 충격을 받아도 날이 부러지거나 휘는 일이 적었고, 테이퍼가 파인 디자인 덕분에 가벼우면서 충격에도 강력했다. 'Ulfberht'에 사용된 순도 높은 철은 노에서 1700도 이상으로 철을 가열하여 불순물을 없애야 하는데, 유럽에서는 산업 혁명 시기인 18세기 중반 이후에 들어서야 보편적으로 생산되었다. Ulfberht는 칼날에 VLFBERHT라는 문구가 각인되었는데, 유물에서는 각인이 +VLFBERHT+ / +VLFBERH+T 2종류로 나온다. +VLFBERH+라고 새긴 쪽이 탄소 함량이 높은 철로 만든 진품, 나머지는 복제품으로 여긴다. 유튜브에서 "Secrets of the Viking Sword"라고 검색하면 'Ulfberht'를 자세하게 다룬 다큐멘터리를 볼 수 있다.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발견된 nydam ship에서 출토한 유물은 바이킹소드 도검사에서 유명하다. 외형상 전형적인 패턴 웰디드 양식 특유의 물결무늬라기보다는 격자 무늬에 가깝기는 해도, 이 유물에 단접 방식을 사용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1] 북유럽 스칸디나비아나 독일 북부, 네덜란드 지역에서는 철기시대를 구분할 때 로마 이전 철기시대와 로마의 영향을 받은 이후의 철기시대로 구분하는데, 로마 이후의 철기시대 도검부터 로마의 스파타와 형태가 비슷해지기 시작했다. 덴마크의 Nydam 늪 유물이 이 시기 변화상을 잘 보여준다.[2] 물론 오늘날 접쇠는 미학적인 면 외에는 현대적인 제강법으로 제작된 도검용 강재들을 능가하는 점이 없다.[3] 국내에서는 보통 '울프베르트' 혹은 '볼프베르히트'라고 부른다.[4] 생산지는 현대의 라인란트 지역으로 추정되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