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킹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 #33414A 20%, #33414A 80%, #000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40E0D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역사 | <colbgcolor=#FFF,#1F2023>바이킹 시대 · 이교도 대군세 · 데인로 · 빈란드 · 북해 제국 · 스탬퍼드 브리지 전투 · 아이슬란드 자유국 |
사회 | 야를 · 의회 · 바이킹 | |
문화 | 롱하우스 · 룬 문자 · 사가 · 에다 · 스칼드 · 냘의 사가 · 볼숭 일족의 사가 · 빈란드 사가 · 피의 독수리 · 벌꿀술 · 밀월 | |
종교 | 북유럽 신화 · 애시르 신족 · 바니르 신족 · 발키리 · 발할라 · 라그나로크 · 세이드 · 아사트루 | |
언어 | 고대 노르드어 | |
군사 | 데인액스 · 바이킹 소드 · 베르세르크 · 후스카를 · 욤스비킹 · 바랑인 친위대 | |
민족 | 노르드인 · 데인인 · | |
인물 | 군힐드 콩스머 · 라게르사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 레이프 에이릭손 · 비요른 · 시구르드 · 시구르드 링 · 시그문드 · 아슬라우그 · 알윌다 · 에길 스칼라그림손 · 에릭 블러드액스 · 오사 여왕 · 올라프 2세 · 이바르 · 토르핀 카를세프니 · 토르켈 · 류리크 · 롤로 · 베른하르트 · 하랄 1세 블로탄 · 하프단 · 스벤 1세 · 크누트 대왕 · 하랄 3세 하르드라다 · 해스테인 | |
}}}}}}}}}}}}}}} |
1. 개요
Egill Skallagrímsson(904[1] ~ 995)고대 노르드어 | 에길 스칼라그림손 |
현대 아이슬란드어 | 에이틀 스카틀라그림손 |
한국어 | 대머리 그림의 아들 에길 |
아이슬란드의 바이킹이자 스칼드. 그의 아버지는 노르웨이 출신의 바이킹이자 시인인 스칼라그림(Skalla-Grímr, 대머리 그림)[2]으로, 당대 노르웨이의 국왕이었던 하랄 1세 하르파그리의 통치에 반발해서[3] 아이슬란드로 온 이주민이었다.
아이슬란드 문학 중 하나인 <에길의 사가>(Egils saga)의 주인공[4]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의 행적 역시 대부분 이 사가를 출처로 한다. 에길 자체는 실존인물로 추정되지만, 사가의 주인공들이 대부분 그렇듯 후술할 행적들은 과장 또는 허구가 섞여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2. 사가에서
작중에서는 바이킹 치고도 충동적이고 잔인하며 무자비한 모습으로 그려지며, 이런 성격 탓에 에이리크 1세 블로됙스와 그의 아내 군느힐드 코눙가모디르의 원한을 사서 이들 부부와 수 십 년 동안 기나긴 악연을 이어가게 된다. 하지만 동시에 인간적이고 정이 많은 듯 한 모습도 보여주며, 이런 복합적인 성격을 바탕으로 안티히어로로 분류되기도 한다.전설상으로는 룬 마법에 능통한 마법사이기도 해서 마법으로 독이 든 음료를 판별해내고, 적들을 저주해서 불운에 쫓기게 만들고, 돌팔이가 치료랍시고 걸어준 엉터리 마법에 고통 받던 소녀를 제대로 된 룬 마법을 써서 구해주기도 한다. 영웅답게 나름대로 이름있는 무기들의 주인이기도 했는데, 젊은 시절에 쿠를란드(Courland)[5]로 원정을 떠났다가 나드(Naðr)[6]라는 명검을 손에 넣었으며, 이후에 친우로부터 영웅 "송어 케틸"(Ketill hængr)이 라플란드의 왕 구시르(Gusir)를 토벌하고 얻었다는 드라그벤딜(Dragvendill)이라는 전설적인 검까지 받게 된다.
싸우다가 요절할 것 같은 인상이지만 의외로 매우 장수해서 91살 까지 살았고, 그의 시신은 가족이 소유한 영지에 묻혔다고 한다. 그가 죽고 약 백 년이 지난 뒤, 영지 내에 교회를 세우기 위해 공사를 하던 에길의 후손이 땅을 파다가 에길의 뼈를 발견했는데, 그 뼈는 골격 자체가 크기도 했지만 특히 두개골이 매우 두껍고 뭉툭했으며, 신기하게 도끼로 찍어도 맞은 부분이 하얗게 변할 뿐 깨지거나 흠집이 나지 않았다고 한다. 사가에서는 에길의 뼈를 두고 웬만한 상처로는 쓰러트릴 수 없는 강건한 전사의 상징이라는 식으로 설명해놨고, 현실에서도 한동안은 전설 특유의 초자연적인 묘사로 치부돼왔었다. 그러나 현대에는 이러한 뼈의 특징과, 에길의 험악한 외모와, 그가 종종 앓던 두통과 신체적 고통을 근거로 에길이 실제로는 골 파제트 병(Paget's disease of bone)을 앓던 환자였을 것이라는 이론을 도출해내기도 한다.#
[1] 910년이라는 말도 있다.[2] 본명은 그냥 그림(Grímr)이지만, 탈모 증상이 심했는지 고작 25살에 머리가 전부 벗겨져서 그때부터 사람들에게 대머리 그림이라고 불리기 시작했다고 한다.[3] 사가에서는 하랄 1세가 모함에 넘어가서 스칼라그림의 형 소롤프(Þórólfr)를 죽이고 그의 재산을 몰수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4] 다만 그의 배경과 가문 대대로 내려오는 노르웨이 왕조와의 악연을 설명하기 위해 할아버지, 아버지, 삼촌 및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하는데 분량을 많이 할애했으며, 에길은 전체 분량의 약 3분의 1이 지나고서야 탄생힌다.[5] 현 라트비아 서부이며 발트족의 일파인 쿠로니아인(Curonian)들에게서 유래한 지역명이다.[6] 고대 노르드어로 살무사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