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4:29:28

윗반송역

윗반송역
파일:Busan4.svg
역명 표기
4호선 윗반송
Witbansong
윗盤松 / 上盘松 / ウィッパンソン
주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로 917 (반송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안평관리역 소속 / 경전철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4호선 부산교통공사
개업일
4호선 2011년 3월 30일
역사 구조
지상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사건 사고8. 둘러보기
파일:동부산대학역2.jpg
윗반송역사[1]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4호선 412번,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로 917 (반송동) 소재.

과거 동부산대학역 시절에 비치된 휴메트로 스탬프는 인근에 위치했던 동부산대학교 캠퍼스[2]를 배경으로 새겨 넣었다.

출입구가 4개, 게이트가 1개이다. 역명은 반송2동의 관습적 명칭 '윗반송'에서 유래한다.

2. 역 정보

파일:윗반송역 4호선.jpg
대합실
공사 당시 역명은 상반송역이었으나, 동부산대학역으로 최종 확정되었으며 부역명이 윗반송으로 정해졌었다. 이 노선의 모든 역명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지역명을 우선해야 한다는 주민과 대학명을 내세워야 한다는 주민들 간의 이견이 있었으나, 2010년 2월 24일2시간 동안 마라톤 회의를 거친 결과 동부산대학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1 #2 이 역에서 동부산대학까지는 약 800m 정도로 꽤 멀다. 애초에 반송이란 지명대신 대학이 주 역명이 된 것도 '반송'[3]이라는 지명이 부정적 이미지가 상당했기 때문이었다는 듯.

그러다 동부산대학교가 결국 2020년 8월 31일부로 강제폐교[4]돼 역 이름의 근거 자체가 사라져 부산교통공사 측에서는 역명 변경을 추진했다. 바뀔 역명으로 예상되는 이름으로 인근의 지명인 '운봉(윗반송)' 또는 '운봉산(윗반송)'이 거론됐으나[5] 역명개정 설문조사에서 모든 의견 제시 기관이 '윗반송역'을 밀고 찬반여부만 물어서 사실상 윗반송역이 될 가능성이 확실시됐다.[6] 도시철도가 들어오면서 신규 주민들의 유입이 늘어나는 등 과거보다는 부정적 이미지가 상당히 희석되었다고 판단한 듯 보인다. 결국 역명이 윗반송역으로 확정됐다. 역명 변경일자는 2021년 1월 1일.[7] 역명 변경이 이루어져서 한국 최초로 대학이 폐교되어 역명이 변경된[8] 사례로 기록이 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지금은 폐교한 동부산대학교가 이 인근에 있었으며 운송중학교와 통합된 반송중학교, 그 외에 주변에 윗반송 주택단지가 있다. 근처로 반송여자중학교도 위치해 있어 나름 통학 수요도 어느 정도 있는 역이다. 이외 반송큰시장이 있다.

2번 출구 인근에 있는 주택가쪽에 두산위브 아파트가 건립되는 재개발 계획이 잡혀있다. 제2센텀시티등 근처에 여러 개발 계획이 잡혀있어 이에 따른 반사 이익을 누리려는듯 보인다.

4. 일평균 이용객

윗반송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연도 파일:Busan4.svg 비고
2011년 5,942명 [9]
2012년 6,071명
2013년 6,202명
2014년 6,337명
2015년 6,219명
2016년 6,253명
2017년 6,135명
2018년 5,772명
2019년 5,795명
2020년 4,336명
2021년 4,320명
2022년 4,518명
2023년 4,696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윗반송 전체를 역세권으로 삼는 역으로서, 하루 평균 5,700여 명이 이용하여 4호선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수요를 보이고 있다. 개통 후 2년 간은 아랫반송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영산대역과 함께 상승세였으나, 충렬사역, 수안역, 명장역에게 차례대로 역전당해 지금은 다소 순위가 내려가 부산 도시철도 4호선 2020년 기준 5위로 밀렸다.

이 역의 특징은 개통 첫해와 지금의 이용객 숫자가 거의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대체적으로 개통 첫해에는 1년 365일이 온전히 반영되지 못하고, 인지도 및 익숙함의 문제로 열차 이용 비중이 낮기 때문에 안정화된 이후와 상당한 수요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이 역이 위치한 반송동은 부산의 오지라 불릴 만큼 그간 교통이 불편한 곳이었기에, 개통 전부터 4호선 개통에 유별나게 관심을 보였던 곳이다. 그래서 열차 개통을 오랫동안 기다린 사람들이 곧바로 전철 이용객으로 유입되었던 것이 주효한 이유로 꼽힌다. 반송동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뚜렷한 재개발 계획도 없는 데다 대학교를 제외하면 외지인을 끌어올 요소도 없기 때문에 1년 차부터 정체를 보였고, 앞으로도 이 정도 규모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또 하나의 특징은 역이 위치한 반송2동의 인구가 1동보다 약 1만 명가량 더 많은 데도 불구하고 영산대역에게 승하차 인원이 밀린다는 점이다. 이것은 역의 이름이 된 동부산대학의 위치 때문이다. 반송동에 있는 두 대학교 중 영산대학교는 이름처럼 영산대역 역세권에 속하는데, 동부산대학은 두 역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4호선 이용객의 절대 다수는 미남역, 동래역 방향에서 오기 때문에 영산대역이 더 가깝다. 그래서 정작 역 이름을 대학에서 땄다 한들 그 대학교를 다니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영산대역을 더 선호하기에 더 불리할 수밖에 없다.

물론 이것만 이유인 것은 아니고, 이 역이 위치한 반송2동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파트 단지(택지지구)와의 거리가 멀어서 이쪽의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원인도 포함된다. 끄트머리 아파트 단지까지 1km가 되지않는 거린데 문제는 중간에 오르막길을 올라가야 한다. 그리고 이들 아파트 단지로 버스노선이 무려 2개나 들어오고 있어 정말 도로가 막히지 않는한 도시철도를 이용할 메리트가 크게 없다.

그리고 다음 역인 고촌역이 역 주소는 기장군 철마면이지만, 반송2동 일부 시가지에서는 윗반송역보다 고촌역이 더 가깝기 때문에 이 쪽으로도 약간이나마 분산되는 것도 있다.

더군다나 舊동부산대학교가 폐교되면서 통학 수요가 모두 분산되어 일평균 이용객은 점차 감소될 전망이다. 허나 소규모 전문대였던지라 이용객 감소폭은 그리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5. 승강장

파일:412윗반송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승강장
파일:412윗반송 역명판.jpg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역명판
파일:1412.gif
역 안내도
영산대
고촌
파일:Busan4.svg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반여농산물시장·동래·미남 방면
고촌·안평 방면

6. 연계 교통

7. 사건 사고

2011년 4월 7일영산대역에서 오는 열차가 이 역 200m 지점에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하여 20분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8. 둘러보기

파일:Busan4.svg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동부산대학역 시절 모습.[2] 현재는 폐교된 학교다.[3] 과거 인터넷에 한참 떠돌던 일명 '반송드립'으로 유명했던 장소가 바로 이 일대이다. 이 때문에 고창권 전 해운대구의원이 정식으로 반송드립에 대한 자료 삭제까지 요청했을 정도.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로[4] 교육부에서 자진폐교를 반려하고 강제폐교함.[5] 4호선 개통 당시 아랫반송과 윗반송에서의 반송 지명으로 갈등을 겪은 사례가 있었던만큼 '반송'이라는 명칭은 주역명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였다는 것. 물론 역 개업 당시 반송드립의 영향으로 역명으로 안 쓴 것도 유효했을 듯. 당시 주민들은 舊동부산대학이나 영산대가 안 좋은건 잘 모르지만 반송의 이미지가 안 좋은건 전국에서 다 안다면서 셀프 디스를 할 지경이었다.[6] 동네 이미지를 온라인상에서 거의 나락으로 떨어뜨린 일명 반송드립은 이미 유행한지 10여년이 지나 인터넷 유행어로서의 생명력을 잃어버린 지 오래되었다. 거기에 과거 구의원의 강력한 요청, 지역드립에 대한 자정노력 등으로 2021년 이후 기준으로는 아카이브나 디시같은 정말 오래된 커뮤니티 사이트 등지에서 억지로 찾아봐야 겨우 나올 정도가 되었다. 정보가 범람하는 인터넷 세상에서 이 정도면 사실상 자료가 삭제되었다고 봐도 큰 무리가 없다.[7] 열차 내 안내방송은 2020년에 변경되었다.[8] 대학교 캠퍼스가 문을 닫아서 역명이 변경된 사례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호남대입구역이 있다.[9] 개통일인 3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2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심야] 심야포함[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