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만화나 애니메이션쪽은 게임과는 미묘하게 사정이 달라[1] '비슷하지만 독립적 작품성이 인정되는' 경우가 적다. 같은 제작자, 혹은 후속작이라면 모를까. 그래서 게임쪽과 비교하면 패러디라거나 오마주라는 말이 많이 쓰이고, 특정 작품에 영향을 받은 파생작의 계보가 뚜렷한 편이다.하지만 표절 문서에도 나와있듯, 잘 만들어야 한다. 재해석과 재구축에 실패한 것이라면 그것이 패러디의 의도를 지녔든, 오마주의 의도를 지녔든 그저 표절일 뿐이다.
2. 작품 목록
2.1. 유사성의 중심에 있는 작품
2.1.1. 죠죠의 기묘한 모험
능력자 배틀물의 중심에 있는 작품. 헌터×헌터나 원피스 등 많은 작품들이 영향을 받았다.본작은 게임에도 적잖은 영향력을 미쳤다.
- 스파 2의 가일은 본작2부의 루돌 폰 슈트로하임의 영향을 받았다.
- KOF의 니카이도 베니마루는 본작 3부의 장 피에르 폴나레프의 영향을 받았다.
2.2. 전체적으로 베꼈다고 취급되는 작품
2.2.1. 공인된 경우
특히 만화같은 경우, 개인 레벨에서 찍어낼 수 있고 작품은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법적으로 걸고 넘어지면 넘어트릴 수 있으나 그렇게 되지 않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정말로 법적 판결이 난 작품이라면 각각 따로 표기.* 이로마의 한국 만화 악바리는 으랏차차 짠돌이네의 표절로 드러났고, 이후 이로마는 책임을 지고 만화쪽에서 완전히 물러났었다.
* 배금택의 한국 만화 Y세대 제갈공두는 크레용 신짱의 표절. 제갈공두 해당 문서를 보면, 결말이 꽤 자아비판적이다(...).
2.2.2. 의혹만 받고 있는 경우
- 위치 헌터 - 전체적이라기보단 다른 작품들 부분부분이지만, 그게 워낙 많아서(...)
- 아웃복서 - 더 파이팅을 그냥 그대로 트레이싱한 장면들이 난무하는 작품. 특이하게 더 파이팅을 좌우반전 된 형태로 트레이싱 해 넣었는데(즉, 더 파이팅의 그림을 좌우반전하면 아웃복서와 일치) 이는 좌우반전된 형태로 출간된 해적판을 트레이싱했기 때문이다(...). 애초에 장태관이라는 만화가 자체가 저작권 등에 별 관심이 없는, 소위 말하는 대본소 작가인지라..
- 썅년의 미학 - 저스툰에서 연재하고 있는 웹툰으로 아라사짱 시리즈 그림체와 4컷만화라는 구성을 베끼다시피했다. 하지만 저스툰이 상대적으로 주목도가 낮고 무엇보다도 의혹과는 별개로 단행본이 대박을 나서 웹툰 플랫폼과 출판사 모두 쉬쉬하고 있는 상태.[2] 덤으로 일본 진출 예정에 단행본 후속작 제목은 썅년의 미학 플러스라고 해서 대놓고 아라사짱 시리즈를 의식했다.[3]
2.3. 일부 요소가 유사한 작품
- 고독한 참수자 - 이노센트 : 두 작품 모두 참수형을 주로 집행했던 실존 사형집행인의 일생을 다룬 작품이다. 소재도 유사하거니와 연출 방식에도 유사한 점이 많다.
- 꾸러기 수비대 - 12영웅전사
- 괴도 세인트테일 - 신풍괴도 잔느
- 기동전사 건담의 빔 사벨, 우주형사 갸반의 레이저 블레이드는 스타워즈의 라이트세이버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 낙제 기사의 영웅담과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는 도입부의 진행이 거의 똑같다(...).
수렴진화 - 디즈니의 라이온 킹이 데즈카 오사무의 밀림의 왕자 레오를 모방했다는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 밝혀진 바로는 표절이라 주장하는 측에서 라이온 킹이 모티브로 삼은 밤비나 햄릿의 요소를 레오의 요소라고 주장하거나 우연히 비슷한 캐릭터가 만들어진 것이 제작과정상에 드러남에도 표절한 것이라 주장했다. 또한 두 작품을 비교할 때 유사성을 더욱 인위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해 이미지를 짜깁기하거나 영상을 편집한 것이 문제를 키웠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온 킹/표절 누명#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온 킹/표절 누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일상물, 코미디 만화라는 점과 등장인물들이 SD로 이루어져 있는 점이 비슷하다. 안녕 자두야가 전체적인 현실적인 내용이 많다면 파파독은 주인공의 아버지가 개가 되었다는 비현실적 요소가 가미되었지만 내용은 연애 플래그가 얼마 없으며 반지 시리즈는 연애 플래그가 가득하고 알록달록한 색으로 칠해져 나온다.
뒤집어지는 내용의 삼국지 파생작이라는 점, 2000년대 초반에 만들어졌다는 점과 삼국지덕후들에게도 크게 알려지지 않은 애니메이션이라는 점이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