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01:27:52
應峰 | Eungbong 한국에 흔히 있는 지명 중 하나다. 보통은 매 가 있는 산이라 하여 매 응(鷹 ) 자를 붙인 것이 지명의 유래이며, 이것에서 따와 행정구역명으로 쓰는 사례가 있다.매봉산 과는 어원 자체는 같은 것으로서, 매봉이라는 이름과 혼용되기도 한다. 같은 산을 두고도 응봉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고, 매봉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북악산 에서 뻗어 나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 와룡동 , 훈정동 과 성북구 성북동 에 걸쳐 있는 산줄기로, 숙정문 그 이남에 해당되며, 현재는 거의 사라진 지명이다. 이 산줄기는 종묘 까지 뻗어 나와 거의 종로 코앞에서 산세가 끝이 난다. 따라서 조선 시대 에는 한양도성 을 동서로 나누는 지리적 역할을 했다. 고려 시대 에는 이 산이 남경 의 동쪽 끝이었다고 하며, 조선 시대 에 들어서는 산의 서편에 창덕궁 , 동편에 창경궁 이 들어섰고, 현대에는 동쪽 산기슭에 와룡공원 을 조성하였다.일제강점기 때 이 산을 깎아 율곡로 가 생겨 원서동 에서 원남동 쪽으로 바로 갈 수 있게 됐다. 현대에는 삼청동 과 성북동 사이를 잇는 삼청터널 이 숙정문 근방을 통과한다. 작은 산이지만 응봉산이라고 하면 보통 서울의 응봉산을 말한다. 북쪽에 있는 대현산 은 큰매봉, 응봉산은 작은매봉으로 불리기도 한다. 응봉산 중에서는 가장 유명한 응봉산이라고 하겠다. 자세한 내용은 응봉산(서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응봉산(부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응봉산(대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자유공원 을 이루고 있는 작은 산이다. 자세한 내용은 자유공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응봉산(충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응봉산(삼척/울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응봉산(홍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응봉산(영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응봉산(인제군 기린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응봉산(인제군 남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1.1의 응봉산 을 끼고 있는 법정동 으로, 본래는 신촌리(新村里)였으나, 1936년 경성부 편입 당시 서쪽에 있는 신촌리 와 지명이 겹친다 하여 응봉산에서 지명을 따 와 응봉정(應峰町)이 되었다. 이것이 해방 이후 그대로 응봉동이 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응봉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응봉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응봉로(예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응봉로(화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