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08:55:44

이덕춘(신과함께)/영화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덕춘(신과함께)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신과함께
저승 삼차사(三差使)
웹툰.Ver 강림도령 해원맥 이덕춘
영화.Ver 강림도령 해원맥 이덕춘

파일:죄와벌이덕춘.jpg <nopad> 파일:인과연이덕춘.jpg
<nopad> 이덕춘 (김향기 扮)

1. 개요2. 작중 행적3. 원작과의 차이점4. 여담5. 관련 문서

1. 개요

삼차사 중, 자홍의 부변호를 맡은 막내 차사다.

생전의 기억이 없으며 원작과는 다르게 강림과 함께 귀인의 변호를 맡는 보조 변호사다. 작중에서는 오랜만에 귀인의 변호를 맡았다고 하며 망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환생을 꿈꾸는 낭만꾼이기도 하다. 소녀 차사인 만큼 성격은 항상 한없이 온화하고 청순하며 천진난만 한데다 상당히 명랑하다. 언제나 귀인을 극진히 정성스레 모시며 환생을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하는 따뜻한 마음씨를 가졌다. 말과 행동 또한 은근히 귀엽다.

저승사자로서 능력은 '재판이 열릴 지옥에서의 망자의 기소내용을 미리 훑어보는 능력'인데 이때 김자홍은 덕춘이 자는 줄 알고 계속 깨우려고 한다. 또한 '강림과 생각이 연결되어 있다'는 설정이 추가 되었다. 그 외 원작에서 보여준 혼령의 색적 능력은 아직 확인할수 없다.

2. 작중 행적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1. 죄와 벌

"저희의 마흔 여덟 번째 귀인이 되어주세요."

작중 화재 현장에서 사망한 김자홍의 이름을 부르며 해원맥과 함께 등장한다. 그 후 초군문에게 귀인이라고 목청높게 불렀다. 차사 중 막내라서 그런지 강림이 그녀를 부를 때마다 관등성명으로 대답한다. 원작과 달리 김자홍의 죄목을 미리 알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그에 맞설 대책을 먼저 세울 줄 안다는 점이 재판의 승소율을 높일 수 있는 큰 메리트가 된다.

작중에선 김자홍에게 저승에 대해 설명해주는 역할이다. 또한 전생에 기억이 없는지라 상당한 낭만을 가지고 있다. 작중에 김자홍이 생전에 케이블카와 관한 에피소드를 이야기하자 부럽다고 이야기를 했다. 정작 본인의 변호 능력만으로 변호에 도움이 된 적은 한 번도 없다. 김자홍이 다음 지옥으로 이동 중 위험에 처하거나, 거짓지옥이나 폭력지옥에서 재판에서 김자홍이 불리한 쪽으로 몰려갈 때도 아무 말도 못하고 쩔쩔매는 역할을 맡는다.

부변호인이라는 칭호에 무색하게, 위기를 해결한다는 게 결국 이승에서 원귀를 쫓아다니던 강림에게 SOS를 요청한 뒤(해원맥이 강림을 부름) 강림과 생각을 연결해 '받아읽기'를 시전하는 식이다.

하지만 해원맥과 달리 망자를 진심으로 이해하려고 했다. 마지막 천륜지옥의 재판에서 패륜이 드러나자 변호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어머니가 무의식 상태였다는 것과 15년간 가족들을 부양한 김자홍의 효심을 호소하며 염라대왕에게 맞선다. 특히 마지막에 염라대왕이 판결문을 읽는데 이를 무시하고 큰 소리로 필사적으로 변론을 해 대노한 염라대왕이 "네 이놈 이덕추우운!!"이라고 일갈하기까지 했다.

어머니가 의식이 있었다는 증거가 나오면서 김자홍의 패륜 행각을 더 변호할 수 없게 되어버렸지만, 형이 완전히 집행되기 전까지 현몽을 통해 어머니의 진정한 용서를 받을 시간은 벌어주었다. 그 후 환생에 성공한 김자홍에게 유일하게 마지막 인사를 했으며 이승에서 돌아온 강림도령과 해원맥과 함께 김수홍의 재판을 위해 염라대왕이 있는 천륜지옥으로 갔다. 여담으로 환생 씬에서 둘이서 따봉을 날리는데 아련하게 인상적이라는 평이다.

2.2. 인과 연

"듣고 싶습니다. 성주신님..."
어흥!!! 떡 하나 주면 안잡아먹지!!!
우연히 들린 보육원에서 어쩌다가 그곳 아이들에게 옛날이야기를 해주는 장면이 잠시 나온다. 그런데 분명히 저승차사는 이승에 개입하지 말라고 설정되어 있을 텐데..
"자기 부모를 살해한 사람을... 은인 이라고 불러요?"
(해원맥: 천 년 전 일이라고!)
"그 여진족 이덕춘에게 용서를 구하지 않으셨잖아요! 저승형법 1조 3항, 용서받지 못한 죄인.."성주신: 야, 그만, 그만! 일로 와봐!
그녀의 과거가 드러나는 동시에 해원맥과 함께 이승으로 내려간다. 허춘삼을 데려오라는 염라의 미션에 따라 해원맥과 함께 그 동네를 찾아가지만, 성주신이 벽화를 그리는 모습에 감탄하고 현동이와 놀아주는 모습에 마음이 약해진다. 이때문에 다짜고짜 성주신을 습격하려는 해원맥을 말려리고, 그날 밤 성주단지를 찾아서 허춘삼을 데려가려고 하나, 성주신에게 멱살을 잡히고 해원맥마저 제압당한 뒤에는 무릎 꿇고 싹싹 비는 신세가 된다. 이후 성주신과의 거래로 현동이의 미래가 보장될 때까지 이승에 체류하게 된다. 그리고 성주신에 의해 천년전 과거가 드러난다.

생전에는 여진족 소녀였다. 그러나 별무반을 앞세운 고려군의 여진족 정벌로 인해 부모를 비롯한 삶의 터전을 잃고 같은 처지의 다른 고아 여진족 아이들을 데리고 깊은 산속에 숨어 살았다. 성주신의 말로는 18세에 죽기 전까지 3년여동안 아이들을 돌보며 엄마 노릇을 했다고 한다.

어느날 산속에서 식량을 구하러 다니다 호랑이에게 습격당하나 해원맥과 북방수비대가 구해준다. 처음에는 구해준 것에 감사하게 생각했지만, 이들이 고려군이란 것을 알고 두려워한다. 그렇게 입에 재갈이 물린채 포박당해 산채로 끌려왔고 자신과 아이들 모두 몰살당할 위기에 처했지만 자비심 많은 해원맥과 그 부하들 덕분에 목숨을 건진다. 그리고 해원맥에게 자신의 부모님을 죽인 것은 고려의 장수 하얀 삵이라고 밝힌다. 이에 해원맥 본인이 하얀 삵이었던 고로 굉장한 혼란을 겪고 진실을 숨긴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현재의 덕춘은 크게 충격을 받아 처음엔 해원맥과 말도 안 섞으려고 한다. 그 후에도 고려 북방수비대에게 계속해서 지원을 받으며 살고 있었지만 이것이 엄연한 군량미 횡령이었으므로 처벌을 하러 온 밀언(해원맥을 북방으로 보낸 상관)에게 은신처가 발각되고 죽을 위기에 처하지만 온힘을 써서 늑대들에게서 도망쳐온 해원맥에게 소식을 듣고 다른 아이들을 피신시킨다.

이때 해원맥에게 그의 상징이었던 하얀 삵의 털가죽을 건네받고 비로소 해원맥의 정체와 그동안의 그의 갈등을 깨닫고 오열한다. 그리고 용서의 표시로 그를 안아준다. 그렇게 도망친줄 알았으나 다시 돌아와 눈물을 흘리며 해원맥을 죽인 밀언의 옆구리에 칼을 꽂고 결국 본인 역시 밀언에 의해 사망하고 만다. 참고로 그 밀언의 정체는 바로 천년전 해원맥인 의붓형이었던 강림차사 였다. 그렇게 서로의 만남과 함께 마지막에 서로 같이 살고 함께 죽고 죽인 전생의 인연과 악연으로 셋은 천년동안 저승차사로 함께 붙어있었던 것이었다. 특히 해원맥과는 거의 함께 다닌다.

과거를 모두 알게 된 다음에 해원맥과 함께 강림이 재판을 진행하는 과정을 지켜보고, 강림이 천년의 세월 동안 깊이 반성했다는 것을 알고 원동연의 변호를 맡으러 가자고 한다. 전편처럼 덕춘이 망자와 함께 다닌 게 아닌지라 기소 내용을 미리 읊는 능력은 사용하지 않았다.

3. 원작과의 차이점

4. 여담

5. 관련 문서



[1] 참고 자료: 국립국어원(2011), "표준 언어 예절"[2] 여담이지만 배우 김향기는 녹화 당시 10대의 소녀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6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6 (이전 역사)
문서의 r175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