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밍엄 시티 FC 2024-25 시즌 스쿼드 |
2 레어드 · 3 뷰캐넌 · 4 클라러 · 6 비엘리크 [[주장| C ]] · 7 한손 · 9 메이 · 10 유트켸비치11 라이트 · 12 레너드 · 13 백승호 · 14 앤더슨 · 15 창 · 16 이명재 · 17 다이크스 18 윌룸슨 · 19 가드너힉먼 · 20 코크레인 · 21 올솝 · 23 삼프스테드 · 24 이와타 25 데이비스ㆍ26 해리스 · 27 켈라 · 28 스탠스필드 · 31 핸리 · 45 피콕패럴 · 48 메이요 |
크리스 데이비스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이명재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개인 수상 | ||||
| 2024 |
<colbgcolor=#11437e><colcolor=#ffffff> 버밍엄 시티 FC No. 16 | ||||
이명재 李明載 | Lee Myung-jae | ||||
출생 | 1993년 11월 4일 ([age(1993-11-04)]세) | |||
서울특별시 성동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1] | 181cm, 75kg, 270mm, O형 | |||
포지션 | 레프트백, 센터백[2], 윙백 | |||
주발 | 왼발 | |||
소속 | <colbgcolor=#11437e><colcolor=#ffffff> 선수 | 울산 HD FC (2014~2024) → 알비렉스 니가타 (2014 / 임대) → 상주-김천 상무 FC (2020~2021 / 군 복무) 버밍엄 시티 FC (2025~ ) | ||
국가대표 | 7경기 (대한민국 / 2024~ )[3] | |||
링크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1437e><colcolor=#ffffff> 학력 | 서울광희초등학교 (졸업) 한양중학교 (졸업) 중경고등학교 (졸업) 홍익대학교 (중퇴) | ||
등번호 | 울산 현대 - 26번[4], 24번[5], 27번[6], 13번[7] 알비렉스 니가타 - 29번 상주 상무 FC - 3번 김천 상무 FC - 11번 대한민국 대표팀 - 2번, 16번, 3번 [8]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적의 버밍엄 시티 FC 소속 축구 선수.포지션은 레프트백.
2014년 울산 현대 입단 이후, 2024시즌 까지 울산의 원클럽맨에 준하는 선수로서 팬들에게 울산의 근본이라 일컬어질 만큼 사랑받고 있다.
2. 클럽 경력
자세한 내용은 이명재(축구선수)/클럽 경력 문서 참고하십시오.3. 국가대표 경력
3.1. 황선홍호
2024년 3월 11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 처음 발탁되며 2026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에 참가했다. 울산 동료 주민규가 극적인 스토리 끝에 33세의 나이로 국대 첫 발탁이 돼서 다소 묻힌 감이 없잖아 있지만, 이명재 또한 30세의 늦은 나이에 첫 국대 발탁이 되는 경사를 누렸다.1:1로 비기던 후반 중반 골이 필요한 상황에서 김진수와 교체되어 출전하며 국대 데뷔전을 가졌다. 이는 역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선수 중 일곱 번째로 많은 나이(30세 138일)로 A매치에 데뷔 기록이다. 하지만 태국이 이미 텐백으로 단단히 걸어 잠근 상태에서 열심히 크로스로 공격의 루트를 뚫어보려 했지만 크로스를 올리자마자 틀어막히거나 올라가도 상대 수비가 걷어내는 등 전혀 효과를 보지 못했고 결국 한국은 태국에 1:1로 비겼다.
3.2. 김도훈호
2024년 5월 27일, 김도훈(1970) 임시 감독 체제에서 치르는 6월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2연전을 앞두고 K리그 라운드 베스트 11에 계속 이름을 올리면서 지난 A매치에 이어 2연속 발탁되었다. 번호는 주민규가 썼던 16번으로 옮겼다.[9]리그 내 폼은 이명재가 훨씬 좋았기 때문에 이번에 선발 출전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정작 선발로는 기존 멤버인 김진수가 풀타임 출전하면서 기회가 없었다.
3.3. 홍명보호 2기
3.3.1. 2024년
2024년 8월 26일,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2연전을 앞두고 홍명보호 2기 첫 명단에 발탁되면서 홍명보 감독과 대표팀에서 재회하게 되었다.김진수가 떠난 이후 주전 레프트백으로 나선고 있다. 등번호도 김진수가 달던 3번으로 바꾸었다.
홈에서 펼쳐진 팔레스타인전에서 설영우 부상으로 투입되었다. 원정이었던 오만전에서 선발 출전해 풀타임으로 뛰어,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이후, 10월의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2연전의 명단에서도 발탁되었다.
10월 10일 요르단전, 선발 출전하여 풀타임으로 뛰었다. 좋은 탈압박 능력과 많은 활동량, 크로스 등으로 무난한 모습을 보였고, 2:0 팀 승리에 일조하였다.
이어진, 10월 15일 홈에서 펼쳐진 이라크전에서도 선발로 출장하여 설영우와 함께 측면 수비를 책임졌고, 답답한 장면이 몇 차례 나왔음에도 큰 실수는 없었고 경기 막판 이재성의 헤딩 추가 골을 어시스트하는 크로스를 보여주었다. 결과는 대한민국의 3–2 승리.
예선전에서 보인 모습은 확실히 전성기 시절의 김진수보다는 아쉬웠지만, 전체적으로 무난무난한 활약을 펼쳤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최고 수준의 활약을 펼쳤어도 월드컵 본선에서 본인 포지션이 아니기도 했지만 극도로 부진했던 김민우의 사례가 있었듯이, 세계 무대에서도 실력을 보일 수 있는 측면 수비수의 발굴은 필요 과제로 보인다.
이후 11월 14일 쿠웨이트전에서도 선발로 출장하였다. 그러나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인 전반전과는 달리, 후반 15분 볼 처리 실패로 실점의 빌미를 제공했다. 결국 4분 만에 이태석이 투입되며 교체되었다.
현재 대표팀의 최대 약점인 레프트백 포지션에서 오랜 시간 동안 자리를 지켰었던 김진수, 홍철 다음으로 자리를 잡았다고 볼 수 있다.김진수, 홍철과 나이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는 점이 걸리지만, 활약을 떠나서 다른 포지션에 비해 워낙 선수가 적고 올해 하반기 같이 소집되었던 레프트백인 최우진, 박민규, 이기혁, 이태석 중 이태석만 1경기 교체로 출전하고 나머지는 모두 이명재가 주전으로 나온 만큼, 2025년에도 주전 레프트백 자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4. 플레이 스타일
주로 왼쪽 풀백으로 뛰며 상황에 따라 센터백을 보기도 한다.[10]왼발 킥력이 준수하여 크로스를 통한 찬스 메이킹 능력을 가지고 있고, 간간히 왼발 중거리슛도 시도한다. 발재간과 스피드도 뛰어나 클래식하면서도 공격적인 풀백으로 평가받는다.
데뷔 초에는 오버래핑과 공격가담에 비해 커버링과 수비능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2019년부터는 공수 모두 준수한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 리그 정상급 왼쪽 풀백이라고 할 수 있겠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울산 현대-울산 HD FC (2014~2024)
5.2. 개인 수상
- K리그1 베스트 11: 2024
6. 논란 및 사건 사고
자세한 내용은 울산 현대 선수 및 매니저의 사살락 인종 차별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같은 팀 멤버인 이규성, 박용우가 이명재의 인스타그램 내에서 인종 차별성 발언을 한 모습이 포착되었다. 다만 확실하게 인종 차별 발언을 한 이규성, 박용우와는 다르게 이명재가 인종 차별 발언을 했다고 보기에는 애매한 부분이 많다.[11] 문제의 그 게시물은 현재 내려간 상태다.
차후 1경기 출장 정지 및 1500만 원의 제재금을 받았다.#
7. 응원가
이명재 | Lee Myung-Jae {{{#003F98 울산 현대 No.13}}} | ||
이명재 선수콜 | ||
울산 울산 이명재 왼쪽은 너의 무대 울산 울산 이명재 왼쪽은 너의 무대 (박수치며) 울산 울산 이명재 왼쪽은 너의 무대 울산 울산 이명재 왼쪽은 너의 무대 | |
8. 여담
- 쌍둥이 형제(이홍재)가 있다. 베리나히쑤 영상을 통해 이명재 본인이 형임이 밝혀졌다.
- 2024년 기준 울산에 남아 있는 유일한 국내 무대 한정 원클럽맨이었다. 울산이 본격적으로 우승권에 도전하기 시작한 2019년 이후로 매년 스쿼드가 물갈이되는 현상이 매우 심해졌던 것을 생각하면 스쿼드에 계속 남아있던 이명재는 울산 팬들에게 큰 존재가 되었다.
- 상술한 이유로 울산 유스 출신이 아닌데도 울산 팬들 사이에서는 리빙 레전드 대우를 받고 있다. 울산이 선수단 변동이 잦은 편인데도 군 복무를 제외하고[12] 근 10년 간 울산에서만 활약했고 더구나 동일 포지션에 이기제-박주호-홍철-설영우-정동호 등 국대급 경쟁자를 두고서도 이적 없이 1군에 머물렀다는 것이 상징적.
- 팬들 사이에서는 망고명재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정치인 이재명과 이름이 비슷하다 보니 이재명의 별명인 재매이햄의 순서를 바꿔 매재이햄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9. 둘러보기
버밍엄 시티 FC 1군 선수단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24-25 버밍엄 시티 FC 1군 선수단 | |||||
번호 | 포지션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비고 | |
2 | DF | 이선 레어드 | Ethan Laird | |||
3 | DF | 리 뷰캐넌 | Lee Buchanan | |||
4 | DF | 크리스토프 클라러 | Christoph Klarer | |||
6 | MF | 크리스티안 비엘리크 | Krystian Bielik | 주장 | ||
7 | MF | 에밀 한손 | Emil Hansson | |||
9 | FW | 알피 메이 | Alfie May | |||
10 | FW | 우카시 유트켸비치 | Łukasz Jutkiewicz | |||
11 | FW | 스콧 라이트 | Scott Wright | |||
12 | MF | 마크 레너드 | Marc Leonard | |||
13 | MF | 백승호 | Paik Seung-Ho | |||
14 | MF | 케시 엔더슨 | Keshi Anderson | |||
16 | DF | 이명재 | Lee Myung-Jae | |||
15 | MF | 알피 창 | Alfie Chang | |||
17 | FW | 린든 다이크스 | Lyndon Dykes | |||
18 | MF | 윌룸 소르 윌룸슨 | Willum Þór Willumsson | |||
19 | MF | 테일러 가드너힉먼 | Taylor Gardner-Hickman | [A] | ||
20 | DF | 알렉스 코크레인 | Alex Cochrane | |||
21 | GK | 라이언 올솝 | Ryan Allsop | |||
23 | DF | 알본스 삼프스테드 | Alfons Sampsted | [B] | ||
24 | MF | 이와타 토모키 | Tomoki Iwata | |||
25 | DF | 벤 데이비스 | Ben Davies | [C] | ||
26 | MF | 루크 해리스 | Luke Harris | [D] | ||
27 | MF | 브랜던 켈라 | Brandon Khela | |||
28 | MF | 제이 스탠스필드 | Jay Stansfield | |||
33 | FW | 요코야마 아유무 | Ayumu Yokoyama | |||
45 | GK | 베일리 피콕패럴 | Bailey Peacock-Farreall | |||
48 | GK | 브래드 메이요 | Brad Mayo | |||
- | DF | 그랜트 핸리 | Grant Hanley | |||
<colbgcolor=#11437e> 구단 정보 | ||||||
구단주: 톰 와그너 / 감독: 크리스 데이비스 / 홈구장: 세인트 앤드루스 | ||||||
출처: 트랜스퍼마크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2월 4일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002d>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rowcolor=#ffffff>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소속 구단 |
<colbgcolor=#0b090c> GK | 1 | 김경민 (Kim Kyeong-Min) | 1991년 11월 1일 ([age(1991-11-01)]세) | 0 | 0 | [[대한민국|]] 광주 FC | |
12 | 이창근 (Lee Chang-Geun) | 1993년 8월 30일 ([age(1993-08-30)]세) | 1 | 0 | [[대한민국|]] 대전 하나 시티즌 | ||
21 | 조현우 (Jo Hyeon-Woo) | 1991년 9월 25일 ([age(1991-09-25)]세) | 39 | 0 | [[대한민국|]] 울산 HD FC | ||
DF | 2 | 김문환 (Kim Moon-Hwan) | 1995년 8월 1일 ([age(1995-08-01)]세) | 28 | 0 | [[대한민국|]] 대전 하나 시티즌 | |
3 | 이명재 (Lee Myung-Jae) | 1993년 11월 4일 ([age(1993-11-04)]세) | 7 | 0 | [[대한민국|]] 버밍엄 시티 FC | ||
4 | 김민재 (Kim Min-Jae) | 1996년 11월 15일 ([age(1996-11-15)]세) | 69 | 4 | [[독일|]] FC 바이에른 뮌헨 | ||
13 | 이기혁 (Lee Gi-Hyuk) | 2000년 7월 7일 ([age(2000-07-07)]세) | 1 | 0 | [[대한민국|]] 강원 FC | ||
14 | 조유민 (Cho Yu-Min) | 1996년 11월 17일 ([age(1996-11-17)]세) | 11 | 0 |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FC | ||
15 | 정승현 (Jung Seung-Hyun) | 1994년 4월 3일 ([age(1994-04-03)]세) | 26 | 1 | [[아랍에미리트|]] 알 와슬 FC | ||
20 | 권경원 (Kwon Kyung-Won) | 1992년 1월 31일 ([age(1992-01-31)]세) | 32 | 2 | [[아랍에미리트|]] 코르 파칸 클럽 | ||
22 | 설영우 (Seol Young-Woo) | 1998년 12월 5일 ([age(1998-12-05)]세) | 22 | 0 | [[세르비아|]]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
이태석 (Lee Tae-Seok) | 2002년 7월 28일 ([age(2002-07-28)]세) | 1 | 0 | [[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 |||
MF | 5 | 백승호 (Paik Seung-Ho) | 1997년 3월 17일 ([age(1997-03-17)]세) | 20 | 3 | [[잉글랜드|]] 버밍엄 시티 FC | |
6 | 황인범 (Hwang In-Beom) | 1996년 9월 20일 ([age(1996-09-20)]세) | 66 | 6 | [[네덜란드|]]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
7 | 손흥민 (Son Heung-Min) | 1992년 7월 8일 ([age(1992-07-08)]세) | 131 | 51 | [[잉글랜드|]] 토트넘 홋스퍼 FC | ||
8 | 박용우 (Park Yong-Woo) | 1993년 9월 10일 ([age(1993-09-10)]세) | 20 | 0 | [[아랍에미리트|]] 알 아인 FC | ||
10 | 이재성 (Lee Jae-Sung) | 1992년 8월 10일 ([age(1992-08-10)]세) | 94 | 13 | [[독일|]] 1. FSV 마인츠 05 | ||
11 | 정우영 (Jeong Woo-Yeong) | 1999년 9월 20일 ([age(1999-09-20)]세) | 22 | 4 | [[독일|]] 1. FC 우니온 베를린 | ||
16 | 홍현석 (Hong Hyun-Seok) | 1999년 6월 16일 ([age(1999-06-16)]세) | 14 | 0 | [[독일|]] 1. FSV 마인츠 05 | ||
17 | 배준호 (Bae Jun-Ho) | 2003년 8월 21일 ([age(2003-08-21)]세) | 6 | 2 | [[잉글랜드|]] 스토크 시티 FC | ||
18 | 이강인 (Lee Kang-In) | 2001년 2월 19일 ([age(2001-02-19)]세) | 35 | 10 | [[프랑스|]] 파리 생제르맹 FC | ||
김봉수 (Kim Bong-Soo) | 1999년 12월 26일 ([age(1999-12-26)]세) | 0 | 0 | [[대한민국|]] 김천 상무 FC | |||
이현주 (Lee Hyun-Ju) | 2003년 2월 7일 ([age(2003-02-07)]세) | 1 | 0 | [[독일|]] 하노버 96 | |||
FW | 9 | 주민규 (Joo Min-Kyu) | 1990년 4월 13일 ([age(1990-04-13)]세) | 8 | 2 | [[대한민국|]] 울산 HD FC | |
19 | 오세훈 (Oh Se-Hun) | 1999년 1월 15일 ([age(1999-01-15)]세) | 6 | 2 | [[일본|]] FC 마치다 젤비아 | ||
23 | 오현규 (Oh Hyeon-Gyu) | 2001년 4월 12일 ([age(2001-04-12)]세) | 15 | 2 | [[벨기에|]] KRC 헹크 | ||
일정 |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 2024년 11월 14일(목) | 원정 | [[쿠웨이트|]] 쿠웨이트 | |||
2024년 11월 19일(화) | 원정 |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 |||||
출처: 대한축구협회 2024년 11월 20일 기준 |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002d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부 리그 |
2부 리그 |
No. 19 No. |
No. 10 | |
No. 10 No. 17 |
No. 28 |
3부 리그 |
No. 7 백성헌 | |
No. 13 박세호 No. 18 신대환 |
No. 17 황도진 |
4부 리그 |
[1] 본인 언급[2] 포백의 센터백과 쓰리백의 좌측 스토퍼 모두 가능하다.[3] 2024년 11월 19일 기준[4] 2014[5] 2015[6] 2021[7] 2016~2019, 2022~[8] 3월 a매치 때는 2번을 배정 받았을나 이후 16번으로 바꾸었다가 3번으로 3연속 등번호을 바꾸었다.[9] 2번은 새로 발탁된 황재원이 받았다.[10] 3백에서의 좌토퍼, 4백의 센터백 모두 소화 가능하다.[11] 정승현의 댓글에 너때문이야 아시안쿼터라고 답변을 달아두긴 하였으나 정승현에게 아시안쿼터같이 생겼다라고 너 때문에 이런 놀림을 당한다라고 해석하는 쪽이 좀 더 자연스럽다.[12] 징병제인 한국 특성과 예술체육요원 특례를 아무나 못 받는다는 걸 감안했을 때 군경 구단 입대나 대체 복무 출신은 원클럽맨으로 인정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