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 | 1959년 ([age(1959-01-01)]세) |
학력 | 서강대학교 사학과 학사 서강대학교 사학과 석사 서강대학교 사학과 박사 |
[clearfix]
1. 개요
일상적 파시즘의 문제 제기는 지금까지 한국의 비판 세력이 겨냥해 왔던 정치적 파시즘 혹은 제도적 파시즘의 극복 그 자체만으로는 분명한 한계를 갖고 있다는 반성에서 출발한다.
임지현. 《우리 안의 파시즘》
임지현. 《우리 안의 파시즘》
독재는 민주주의의 반의어인가. 국민의 다수가 ‘독재’의 지배방식을 지지한다면, 그 독재 체제는 독재인가? 민주주의인가? 다수에 반하여 소수가 민주주의를 지지한다면, 그 민주주의는 민주주의인가 독재인가? 밑으로부터 ‘국민’ 다수의 동의 아래 소수를 타자화하고 억압하는 다수파 민주주의는 민주주의인가? 독재인가?
(중략)
다수파 민주주의의 문제를 직시하고 18세기 자코뱅주의의 국민주권론을 넘어서서 소수자와 타자를 포용하는 소수자 민주주의의 새로운 이상을 21세기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만들 것인가.
임지현. 트럼프주의, 대중독재 시대의 새로운 도래
한국의 역사학자로 서강대학교 사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역사학도들 사이에서는 꽤 유명한 포스트모던 역사학자로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연구활동하다 2015년 1학기부터 모교인 서강대학교로 돌아와 강의를 하고 있다. 폴란드사를 전공했고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에 매우 능해서 학계의 초빙을 받아 폴란드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현재는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 연구소장을 맡고 있다.#(중략)
다수파 민주주의의 문제를 직시하고 18세기 자코뱅주의의 국민주권론을 넘어서서 소수자와 타자를 포용하는 소수자 민주주의의 새로운 이상을 21세기의 민주주의는 어떻게 만들 것인가.
임지현. 트럼프주의, 대중독재 시대의 새로운 도래
2. 성향과 주장
포스트모더니즘 계열 역사학자답게, 국사와 민족의 개념을 모더니즘 역사학이 만들어냈다고 규정하며 이를 비판하고 해체하는데 힘을 쏟는다. 이를 비롯하여 기타 여러 근대적인 역사 담론에 대한 재구성을 꾀하고 있는데, 쉽게 말해 내셔널리즘, 민족주의, 국사, 국가 담론 등을 전면적으로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탈근대, 탈민족, 탈국가 담론을 밀면서도 마르크스주의적인 면이 별로 없는 점 때문에 아나키스트가 아닌가 오해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아나키스트로는 전혀 볼 수 없으며, 아나키즘보다는 훨씬 보수적인 포지션에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성향의 제도권 역사학자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저서에서 다룬, 각종 전쟁과 학살 책임에 대한 평화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에서도 '원리적 평화주의'라는 표현 아래 급진적, 안티 내셔널리즘적 평화주의의와 물타기적, 위선적 평화주의를 구분하지 않고 비판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즉 전자는 평화운동이나 아나키즘, 그리고 국가보다 민중 혹은 개인들을 중요시하는 담론(민중주의와 일부 자유지상주의)과 연관되고, 후자는 독일과 일본의 정부나 대중, 그리고 우익 세력(일부 중도, 중도좌파, 시민세력이 결합할 수도 있다.)들이 자신들의 과거 가해자성을 희석하기 위한 수사법과 연관된다. 전자의 핵심은 모든 국가폭력 을 비판하는 것이고, 후자의 핵심은 자신들이 피해자 국가가 되어 가해자 국가를 비판하는 것이기 때문에 크게 다르다. 임지현은 이 부분을 상당히 혼동하고 있거나 애매하게 서술하고 있다.
또한 가해자 국가와 피해자 국가의 이분법이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곤 하지만, 그 역시 저서에서 피해자와 가해자 구도의 고정관념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면이 있다. 이를테면 2차 세계대전 당시의 연합국과 추축국 간의 전쟁범죄,[1] 코소보 폭격 같은 민감한 문제를 다룰 때도 단지 그것에 대해 반대하는 것을 '잘못된 평화주의'로만 여기는 등 논란의 여지가 많은 서술을 하는 경우가 많다. 혹은 그저 '이 나라도 저 나라도 모두 피해자 행세만 하려고 한다'는 논점을 찾기 힘든 서술을 펼친다.[2]
요코 이야기에 관련된 논란에서, 한국 내의 강한 반발은 "절대적인 피해자의 위치"가 흔들릴 수 있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낳은 일이라고 해석하였다. 또한 언론계 출신의 외교관을 주축으로 진보 보수를 불문하고 국내의 주요 언론들이 일제히 요코 이야기를 비판한 것, 각종 민간 단체들이 미국에 여론전을 펼친 것에 대해 민족주의의 발로이자 왜곡된 피해자 의식이라며 비판적인 의견을 표했다.
한때 뉴라이트의 근대주의 담론과는 거리가 멀며, 오히려 뉴라이트식 탈민족주의 담론도 '근대주의(모더니즘)'에 기반해 있다고 비판했다. 포스트모더니즘 자체가 모더니즘, 즉 근대주의와 이성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 사조로써 등장한 것이라 근대의 산물인 내셔널리즘을 해체해야 한다고 하며 탈민족주의를 주장하는 것인데, 한국 뉴라이트들은 탈민족주의를 주장하면서 전근대인 조선을 부정하고 식민지 근대화론으로 대표되는 근대주의, 남한 중심의 국가주의를 강하게 내세우기 때문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그러나 정작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부터는 대표적인 보수 우익 언론인 조선일보에 고정 칼럼을 꾸준히 연재하면서 윤석열 정부의 뉴라이트 기조 논란에 대한 비판을 일절 하지 않았고, 윤석열 정부와 조선일보가 진행하고 있는 뉴라이트 중심의 극우적 역사관에 대해서는 조용히 눈을 감았다.# 일례로 문재인 정부를 두고 과도한 민족주의를 주창한 권력으로 규정하며, "윤석열 정권의 장점은 오히려 역사에 대한 관심이 별로 없어 보인다는 점이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 것보다는 굿을 안 하는 게 낫다."고 표현하면서 윤석열 정부의 뉴라이트 역사관 기조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결국 한국의 뉴라이트 계열의 친일적 역사관과 포스트모더니즘 역사학계의 안티내셔널리즘 성향이 서로 일맥상통했기 때문인데, 다시 말해 '민족 지우기' 프로젝트를 공통 분모로 포스트모더니즘 '탈근대론'과 뉴라이트 '근대주의'가 손을 잡은 셈이다. 이런 과정에서 임지현은 윤석열 정부의 뉴라이트 정치 세력화 옹호를 위한 조선일보의 의제 설정 작업에 스피커로서 동원되었고, 임지현 본인도 그 동원에 순순히 응했던 것이다.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등의 보수 정부에 부정적인 시각을 취했기는 하지만, 노무현 정부, 문재인 정부 등의 민주 정부, 또는 진보 정치 세력에도 부정적인 시각을 취하는 것도 마찬가지였다. 또한 임지현이 주장한 대중독재 개념, 또는 "자유 민주주의는 가장 세련된 형태의 전체주의" 같은 발언을 보면 알수 있듯이 다수결에 기반한 현대 민주주의 시스템에 굉장히 부정적인 입장이다.#[3]
대를 위해 소를 희생한다는 전체주의적 사고, 또는 국가 중심 담론에 대해 굉장히 부정적이다. 그런 것들을 종종 "일상적 파시즘"이라고 칭하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시급한 건 '경제성장'이나 '정치개혁'이 아닌 사회문화적 파시즘을 극복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연장선 상에서 '소수자 민주주의'를 주장하기도 한다.
포스트식민주의 계열에서는 민족주의 및 민족주의 사학 비판에 있어 비슷한 입장이나, 학문적인 맥락이나 근본적 견해가 다르다고 한다. 이쪽의 경우 탈근대적인 포스트구조주의의 맥락 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점 등에서 그러한 듯.
90년대-2000년대까지는 "조중동이나 한경오나 그게 그 거"란 투의 주장을 해서 그 당시 기준 강준만, 진중권을 비롯한 소위 '진보 논객'들에겐 좋은 평을 듣지 못했고, 물론 보수 우파 진영에서도 좋은 얘기는 듣지 못했다. 그러나 2010년대 중후반부터 그와 논쟁했던 강준만, 진중권 등이 대거 보수 우파 논객으로 전향했고, 결국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는 임지현 본인까지도 조선일보의 고정 칼럼니스트로 정착했다. 돌아 돌아 같은 곳에서 만난 셈.
90년대 당시에는 우후죽순처럼 등장하여 대거 유행한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의 지식인 중에 하나로 받아들여졌는데, 그래도 그때는 소위 운동권 내부의 전체주의에 대한 비판이 유행이었고, 페미니즘적 입장에서도 운동권 마초 문화 비판이 유행이었기 때문에 꽤 인용된 편이었다.[4]
서양사 전공자이다보니 민족주의니 뭐니 이전에, 한국사에 연관된 그의 주장들은 대부분 근거가 부족하다. 예를 들어 임지현 교수는 민족이라는 개념이 근대에 들어와 만들어졌다고 주장하며, 한국사에서 '주체가 같은 동류'로서의 의식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근거가 매우 부족한 주장이다. 보통은 탈민족주의 학자들조차 전근대 한국에 근대적이고 정치적인 의미의 'Nation'은 없었을지라도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는 'Ethnos'의 개념은 있었다고 생각한다.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자민족과 여진족이나 왜인들을 구별하기 위해 족류(族類)라는 단어를 썼다.#
또한 고구려사가 요동사라고 해서 별도의 범주라고 주장했다. 그런데 정작 고구려 자체는 발원지가 요동과는 무관한 세종대왕 시대 4군 바로 위 지역이었고, 주민 구성 자체도 전국시대 연나라에게 패배해서 밀려나기 전 고조선과 강력한 연계성이 입증되었다. 대부분은 고구려를 부여의 아종 정도로 생각하는데, 지배층이 소수 부여인들이었을 뿐 고구려 건국 당시 기층 민중 대부분은 고조선인들이었다. 때문에 고구려는 요동사로는 아예 분류가 불가능하다. 다른 급진적 탈(반)민족주의 학자들도 분류 무용론[5]을 주장하는 쪽이지 고구려사를 요동사로 분류하지는 않는 편이다. 왜냐하면 요동사로 분류할 경우 결국 동북공정 같은 주장을 부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3. 저서
- 민족문제와 마르크스주의자들(한겨레, 1986)
- 대보름 날 해방촌(도서출판 심상사, 1987)
- 마르크스, 엥겔스와 민족문제(탐구당, 1990)
- 오늘날의 역사학:쟁점과전망(역사비평사, 1992)
- 오늘날의 역사학(역사비평사, 1993)
- 바르샤바에서 보낸 편지(도서출판 강, 1998)
- 민족주의는 반역이다(도서출판 소나무, 1999)
- 노동의 세기(삼인, 2000)
- 우리 안의 파시즘(도서출판 삼인, 2000)
- 그대들의 자유 & 우리들의 자유(아카넷, 2000)
- 이념의 속살(도서출판 삼인, 2001)
- 서양의 지적 운동 1, 2(지식산업사, 2002)
- 대중독재 1, 2, 3(책세상, 2004)
- 근대의 국경 역사의 변경(휴머니스트, 2004)
- 적대적 공범자들(도서출판 소나무, 2005)
- 근대의 경계에서 독재를 읽다(도서출판 그린비라이프, 2006)
- 여성주의 학교 '간다'(지성사, 2008)
- 새로운 세대를 위한 새로운 세대를 위한 세계사 편지(휴머니스트, 2010)
- 역사를 어떻게 할 것인가(소나무, 2016)
- 기억전쟁(휴머니스트, 2019)
- 희생자의식 민족주의(휴머니스트, 2021)
- 우리안의 파시즘 2.0(휴머니스트, 2022)
- 역사에서 기억으로 - 침묵당한 목소리를 불러내다(진실의 힘, 2022)
- 근대 국민국가와 민족문제(지식산업사, 1995)
- 서양에서의 민족과 민족주의(까치, 1999)
- 오만과 편견(휴머니스트, 2003) - 서카이나오키 공저
-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휴머니스트, 2004) - 이성시 공저
- 반일과 동아시아(소명출판, 2005) - 우카이 사토시 공저
- 대중독재의 영웅 만들기(휴머니스트, 2005) - 권형진 공저
- 제자, 스승에게 길을 묻다(민음in, 2006)
- 더 작은 민주주의를 상상한다(웅진지식하우스, 2007)
-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한울아카데미, 2009)
- 대중독재와 여성(휴머니스트, 2010)
- 찰스 다윈 한국의 학자를 만나다(휴머니스트, 2010)
-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책과함께, 2011)
- 지그문트 바우만을 읽는 시간(북바이북, 2017)
- 촛불 너머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아시아, 2018)
- 植民地近代の視座―朝鮮と日本(岩波書店, 2004)
- 東アジア歴史対話 国境と世代を越えて(東京大学出版会, 2007)
- 犠牲者意識ナショナリズム―国境を超える「記憶」の戦争(東洋経済新報社, 2022)
- Auf der Suche nach der verlorenen Nation: Geschichtsschreibung in Westdeutschland und Japan, 1945-1960(Vandenhoeck & Ruprecht, 1999)
- Nationalism, Labour and Ethnicity 1870-1939(Manchester: Manchester Univ. Press, 1999)
- Narrating the Nation: Representations in History, Media and the Arts(New York: Berghahn Books, 2008)
- Memory in a Global Age: Discourses, Practices and Trajectories(London: Palgrave Macmillan, 2010)
- Gender Politics and Mass Dictatorship: Global Perspectives(London: Palgrave Macmillan, 2011)
- A Companion to World History(Chicester: Wiley-Blackwell, 2012)
- Encyclopedia of Global Studies(LA: Sage Publications, 2012)
- Mass Dictatorship and Modernity(London: Palgrave Macmillan, 2013)
- Imagining Mass Dictatorships(London: Palgrave Macmillan, 2013)
- Mass Dictatorship as Ever-Present Past(London: Palgrave Macmillan, 2014)
- Everyday Life in Mass Dictatorship: Collusion and Evasion(London: Palgrave Macmillan, 2015)
- The Wiley-Blackwell Encyclopedia of Race, Ethnicity and Nationalism(Blackwell, 2015)
- Handbook of Mass Dictatorship(London: Palgrave Macmillan, 2016)
- Mnemonic Solidarity: Global Interventions(London: Palgrave Macmillan, 2021)
- Global Easts: Remembering-Imagining-Mobilizing(Columbia Univ. Press, 2022)
- Opfernationalismus. Erinnerung und Herrschaft in der postkolonialen Welt (Berlin: Klaus Wagenbach, 14. März 2024)
3.1. 예정
- Victimhood Nationalism: A Global History (New York: Columbia Univ. Press, Mar 11, 2025)
- 일상의 욕망과 미망
- 대중독재와 근대성
- 기억의 정치
- 대중독재와 사라지지 않는 과거
4. 여담
- 입시때 사학과를 지망하자 어머니가 땅을 치고 말렸다는 일화가 있다. 그 시대에도 "인문학, 예술 하면 배곯는다"라는 인식은 지금과 별로 다를 것이 없었다. 일제 시대 시인 이상도 원래 화가를 지망했으나 "세태가 변해도 기술자는 배를 곯지 않는다"는 그의 큰아버지(양아버지)의 반대로 결국 경성고등공고 건축과(현 서울대 건축공학과)에 입학했고, 소설가 조정래도 그가 국문과를 택했을(1962년) 당시에 이미 국문과=굶을과라는 인식이 있어서 그의 어머니가 "국문과 가면 밥 못 먹는다."며 상대(商大)를 가라고 권했다는 일화가 있다. 딱히 그 때문은 아니었겠지만 대학 재학 중 학생운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굉장히 방황한 이력을 갖고 있다. 그래서인지 술을 아주 좋아한다는 이야기도.
- 문재인 정부의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에 대해 비판하는 글을 썼다.# 당시 유사한 스텐스를 보였던 강준만, 진중권 등이 이후 친 윤석열 정부 성향의 보수 우파 논객으로 정착한 것과 비슷하게, 결국 임지현 본인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조선일보 고정 칼럼니스트로 정착했다.
- 남북수교 지지자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 아니라 평화가 중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5. 같이 보기
[1] 연합국의 전쟁범죄에 대한 지적이 추축국의 전쟁범죄를 물타기하는데 쓰이는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모두 그런가 그런 의도로 지적하는 것도 아니며, 실제 그런 사건이 없던 것도 전혀 아닌데 그 부분은 축소하고 피해자화의 사례로만 다루는 것도, 오히려 이분법적인 전통적 구도의 답습이라고 비판할 수 있다.[2] 임지현은 서양사를 전공한 학자인데, 현재 와서는 구체적인 시대사보다는 역사학의 패러다임에 관심을 주로 가지고 있다는 것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면이 있다. 그 패러다임을 가지고 한국 전근대사를 포함하여 세계 근현대사의 온갖 사건에 대해 논평하다보니 사실관계에 대해 조사가 모자라거나 억지로 이론에 끼워맞추는 부분들이 많이 발생하는 것이다. 저서에서 짤막 짤막하게 언급된 부분들이 그 나라 사람들이 듣기에는 역사왜곡으로 느껴지는 발언이 되기도 한다. 이런 문제는 한국사에 대한 주장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3] 결과적으로 임지현이 선호하는 정치적 구조는 최장집과 그의 제자 박상훈이 주장하는 '엘리트성이 있는 정당 중심 민주주의'에 가깝다. 이 때문에 대중적 유권자 참여 중심의 참여민주주의는 강하게 배격한다. 이 역시 최장집, 박상훈의 주장과 일치한다.[4] 물론 운동권 내부에서 전체주의나 마초이즘적 문화를 비판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기에 인용되었던 것이지, 운동권 내부가 당시 대한민국 사회 일반이나 회사, 정부 등 다른 조직보다도 더 폐해가 심한 곳이었다고는 당연히 볼 수 없다. 그래서 그런 비판 서적의 유행에 대해서도 '마케팅' 정도로 여긴 사람들도 많았다고 한다.[5] 세계사적으로 볼 때, 고대에 특정 지역 사람들이 구성한 국가를 현대의 특정 국가가 자신들의 역사로 소유하려고 하는 것은 여러 모로 무리가 있으며 ㅇㅇㅇ사라고 분류하는 것은 무쓸모하거나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혹은 이렇게도 분류할 수 있고 저렇게도 분류할 수 있으며, 조금 더 학술적으로 그럴듯하고 효율적인 분류법이 있을 뿐이지 절대적인 진리인 분류법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고대사는 고대인들의 것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