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16:08:02

잠수함 패치

1. 개요2. 대상3. 원인4. 게임별 사례5. 게임 이외 분야

1. 개요

나는 패치 노트에서 언급되는 적이 별로 없다. 닌자라면 변화 또한 은밀해야 하는 법이지.
겐지의 반복 대사 中
대한민국온라인 게임 용어. 아무 말 없이 몰래 패치를 했다는 점이 마치 탐지하기 어려운 잠수함 같다 하여 붙은 명칭이다. 영어권에선 스텔스 패치(Stealth Patch)나 닌자 패치(Ninja Patch)라고 한다. 이 역시 스텔스기나 닌자처럼 유저에게 드러내지 않고 패치를 한 것에서 착안된 명칭이다.

패치노트 등 업데이트 내용 공지엔 게시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매우 뭉뚱그려서 적어놓은[1] 패치를 말한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게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자잘한 수정 정도는 잠수함 패치라고 부르는 경우는 잘 없고[2] 밸런스에 큰 영향을 끼치는 매커니즘 수정이나 보상 너프 등 유저들이 알아야 될 중요한 내용인데도 패치 노트에 없는 경우를 보통 잠수함 패치라 부른다.

원인 문단에서 보듯 모든 잠수함 패치가 의도적인 것은 아니다. 사소한 경우에는 개발자의 실수나 공개하기 애매한 내용이라 생각하고 넘어갈 수 있으나, 심한 경우에는 게임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기에 나름 주의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2. 대상

평시에 갑자기 이루어지는 패치는 버그픽스나 핫픽스인 경우가 많고[3], 정기 업데이트의 경우에는 업데이트 되면서 고쳐지는 내용 중 어디까지 알려줘야 하는가에 대한 조율이 필요해지기 마련이다. 여기서 정해지는 범위에 따라 공개되지 않는 부분은 잠수함패치가 되어 버리는 것이고, 설령 범위에 들어간다 해도 실수로 빼먹는 경우에도 잠수함 패치 취급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잠수함 패치는 수치로 드러나지 않는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행해진다. 이 경우 잠수함 패치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유저들이 직접 실험해야 하며, 게임 플레이보다 실험을 중시하는 유저들도 생겨난다.

3. 원인

크게 A. 논란 회피를 위해서, B. 공개 가치를 못 느껴서, C. 개발 프로세스가 정립되지 않아서, 이 세 부류 정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4. 게임별 사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잠수함 패치/사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잠수함 패치/사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잠수함 패치/사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패키지 게임에서는 소프트맥스, 온라인 게임에서는 데브캣, 소프트맥스, 그라비티, 네오플, 피망, 넥스토릭, 위젯 스튜디오 등이 잠수함 패치로 악명이 높다. 최근에는 펄 어비스가 여기에 추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물론 이건 한국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블리자드스타크래프트스타크래프트 2에서도 고지되지 않은 변경점들이 시도 때도 없이 나타나며[8], 일본 웹게임인 언라이트에서도 잠수함 패치가 있었던 적이 있다.[9]

5. 게임 이외 분야



[1] 단적으로 '기타 버그 수정'[2] 그래도 딱히 대체할 말이 없기 때문에 잠수함 패치라고 하기도 하고, 가끔 마이너 업데이트(패치)라고 하기도 한다.[3] 과거에는 개발프로세스가 잡히지 않아서 이런 식으로 패치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개발이 되는대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획 정리도 제대로 안 되어서 업데이트 내용 정리가 힘들어진다.[4] 기본적으로 기획 목적에 부합하게 가는게 최우선이고, 유저 피드백을 반영해서 조율하는게 그 다음이다. 개발은 산에서 사과를 따고 싶어하는데, 유저가 바다로 가란다고 갈 수는 없는 것이니까.[5] 유저들이 알아봐야 의미 없는 시스템 내적인 변경 사항 같은 것들[6] 업데이트 전에 공지를 해준다면 심각한 잠수한 패치는 없을 가능성이 높다.[7] 메이플스토리의 빅뱅 패치가 여기에 해당한다. 워낙 대규모라 패치 내용이 제대로 정리되지가 않아서 유저가 입은 피해량이 만만치 않았다.[8] 패치에 기록되지 않은 유닛들의 스펙 변경이 자주 나왔다. 스타크래프트에서는 캐리어의 아머와 피격 범위가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한 예가 있다. 스타크래프트 2에 와서는 파수기가 설치하는 역장의 크기를 말없이 축소시키기도 했고, 공허의 유산 캠페인 및 협동전 아르타니스의 아이어 광전사의 공격력을 8에서 16으로 상향하기도 했다. 아마도 공격력이 8이였던 것은 블리자드의 실수였던 듯 하다. 이외에 비판점이었던 너무 빠른 템포를 줄이기 위해 게임 속도를 약간 느리게 조정하기도 했다.[9] 파르모는 공식적으로 하향통보를 알렸으나 볼랜드랑 c.c.는 잠수패치로 하향시켰다(...)[10] 보통은 고객에게 말해줄 수 없는 부분만 업데이트 되었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11] 프로는 업데이트를 연기하는 기능은 있지만 업데이트를 완전히 피할 수는 없다.[12] 사실 마이크로소프트도 개발자 문서 등 전문가들을 위해서 모든 버그수정과 보안 업데이트 사항을 아주 상세히, 심지어는 DLL 파일 교체 관련 안내와 같은 내용이 적혀있다. 다만, 이를 일반 사용자가 보기에는 힘들고 이전 선택적 업데이트 내용까지도 참조해야 하는 등 살펴봐야 하는 점이 많이 있지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