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8 17:16:10

제슈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돌노실롱스키에 주기.svg 파일:쿠야프스코포모르스키에 주기.png 파일:루벨스키에 주기.svg 파일:루부스키에 주기.svg
돌노실롱스키에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
]]
쿠야프스코포모르스키에
[[비드고슈치|
비드고슈치
]]
루벨스키에
[[루블린|
루블린
]]
루부스키에
[[고주프비엘코폴스키|
고주프비엘코폴스키
]]
파일:우치키에 주기.svg 파일:POL_województwo_małopolskie_flag.svg.png 파일:1280px-POL_województwo_mazowieckie_flag.svg.png 파일:오폴스키에 주기.svg
우치키에
[[우치(폴란드)|
우치
]]
마워폴스키에
[[크라쿠프|
크라쿠프
]]
마조비에츠키에
[[바르샤바|
바르샤바
]]
오폴스키에
[[오폴레|
오폴레
]]
파일:800px-POL_województwo_podkarpackie_flag.svg.png 파일:1024px-POL_województwo_podlaskie_flag.svg.png 파일:POL_województwo_pomorskie_flag.svg.png 파일:1280px-POL_województwo_śląskie_flag.svg.png
포트카르파츠키에
[[제슈프|
제슈프
]]
포들라스키에
[[비아위스토크|
비아위스토크
]]
포모르스키에
[[그단스크|
그단스크
]]
실롱스키에
[[카토비체|
카토비체
]]
파일:시비엥톡시스키에 주기.svg 파일:바르민스코마주르스키에 주기.png 파일:1280px-POL_województwo_wielkopolskie_flag.svg.png 파일:1280px-POL_województwo_zachodniopomorskie_flag.svg.png
시비엥토크시스키에
[[키엘체|
키엘체
]]
바르민스코마주르스키에
[[올슈틴|
올슈틴
]]
비엘코폴스키에
[[포즈난|
포즈난
]]
자호드니오포모르스키에
[[서포모제|
슈체친
]]
각 주의 행정구역
돌노실롱스키에 | 쿠야프스코포모르스키에 | 루벨스키에 | 루부스키에 | 우치키에 | 마워폴스키에 | 마조비에츠키에 | 오폴스키에 | 포트카르파츠키에 | 포들라스키에 | 포모르스키에 | 실롱스키에 | 시비엥토크시스키에 | 바르민스코마주르스키에 | 비엘코폴스키에 | 자호드니오포모르스키에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48a5f8>
파일:09.포트카르파츠키에.png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fffff 20%, #ffffff 80%, #ffffff);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파일:제슈프(pl).png
제슈프
파일:크로스노.png
크로스노
파일:프셰미실.png
프셰미실
파일:타르노브제크(pl).png
타르노브제크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rowcolor=#000>
파일:스트시주프군.png
스트시주프군
파일:사노크군.png
사노크군
파일:프셰보르스크군.png
프셰보르스크군
파일:로프치체셍지슈프군.png
로프치체셍지슈프군
파일:제슈프군.png
제슈프군
파일:스탈로바볼라군.png
스탈로바볼라군
파일:타르노브제크군.png
타르노브제크군
파일:비에슈차디군.png
비에슈차디군
파일:브조주프군.png
브조주프군
파일:뎅비차군.png
뎅비차군
파일:야로스와프군.png
야로스와프군
파일:야스워군.png
야스워군
파일:콜부쇼바군.png
콜부쇼바군
파일:크로스노군(pl).png
크로스노군
파일:완추트군.png
완추트군
파일:니스코군.png
니스코군
파일:미엘레츠군.png
미엘레츠군
파일:루바추프군.png
루바추프군
파일:레자이스크군.png
레자이스크군
파일:프셰미실군.png
프셰미실군

레스코군
}}}}}}}}}
제슈프
폴란드어: Rzeszów
독일어: Resche
파일:POL_Rzeszów_flag.svg.png
깃발
<colbgcolor=#DC143C>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폴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폴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행정구역 포트카르파츠키에
면적 126.57km²
인구 198,609명[1]
역사 1354년 도시 설립
시간대 UTC+01:00 (GMT)[서머타임]
링크 https://erzeszow.pl/

1. 개요2. 역사3. 경제4. 자매도시

1. 개요

폴란드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포트카르파츠키에주 주도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 난민의 유입으로 도시 인구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2. 역사

제슈프는 슬라브족들이 살던 땅으로 폴란드 왕국의 일부였다. 하지만 11세기 경 루테니아인들에게 정복당 했지만 1264년 다시 탈환하였다. 하지만 다시 루테니아인들에게 제슈프를 빼앗겼지만 1340년 폴란드의 국왕인 카지미에시 3세가 제슈프를 탈환하고 도시로 인정을 받았다. 제슈프는 도시와 마을에 대한 자치권을 승인하는 마그데부르크법을 적용받았으며 이로 인해 상공업이 발전하였다. 폴란드의 수도인 크라쿠프루블린, 르부프, 슬로바키아 사이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으로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15세기 경 유대인들이 제슈프에 정착하면서 도시는 활기를 띄었다. 제슈프는 연간 여러 시장을 조직할 수 있는 특권을 포함하여 여러 왕실의 권리를 부여받았으며 1658년에 대학이 개교하기도 했다. 18세기 중반 폴란드인과 유대인들은 각각 50.1%와 49.8%와 구성되었다.

1772년 제 1차 폴란드 분할 이후 제슈프는 146년 동안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제슈프는 갈리치아의 중심 지역으로서, 갈리치아 최초로 철도, 전화선, 가스 가로등, 발전소와 수도 시스템이 개통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제슈프 근처에서 여러 전투가 발어졌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군대의 주둔지였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의 패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자 제슈프에 살고 있단 폴란드인들은 신생 폴란드 공화국에 충성을 맹세하였다. 제슈프는 방위 산업의 주요 중심지로서 폴란드의 무기 생산을 담당하였지만 제2차 세계대전이 발생해 독일이 폴란드 전역을 점령함으로서 역동적인 성장은 중단이 되었다.

나치는 1,100명 이상의 폴란드인들을 감금하였으며, 1939년 11월 2일에는 사제들과 수도사들을 체포 및 처형하였다. 또한 이 곳에 살던 유대인들은 열악한 환경의 게토에서 살거나 베우제츠 절멸수용소로 끌려갔으며, 제슈프에 살던 유대인 14,000여명 중 전쟁 후 살아남은 사람은 100명에 불과했다. 독일이 패망했음에도 불구하고 제슈프의 유대인들의 고난은 끝이 나지 않았다. 1945년 6월 11일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이 거주하는 연립 주택 지하에서 9살의 폴란드 소년 브로니스와바 멘도의 시신이 발견되자, 공산주의 민병대와 폴란드 경찰은 제슈프의 유대인들을 체포하거나 이들의 집을 약탈하였다. 그러자 남은 유대인들도 전부 제슈프를 떠났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제슈프는 스웨덴, 튀르키예, 독일, 미국, 체코 등 서방 동맹국에서 우크라이나로 군사 물자를 환적하는 '주요 동맥'이자 우크라이나 난민들이 거주하는 주요 도시이다.

3. 경제

제슈프는 항공, 가전제품, 기계, 제약 산업의 중심지로 폴란드의 수많은 IT회사의 본사가 이 곳에 위치해있다.

4. 자매도시


[1] 2022년 4월 26일 기준.[서머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