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국가경찰위원회 | ||||
경찰청 소속기관 | |||||
국가수사본부 (경찰수사관) | |||||
경찰대학 | 경찰인재개발원 | 중앙경찰학교 | 국립경찰병원 | 경찰수사연수원 | |
소관단체 및 산하기관 | |||||
한국도로교통공단 | 경찰공제회 | 총포화약안전기술협회 | 제주자치경찰단 | 재향경우회 | |
시·도자치경찰위원회 | |||||
시·도경찰청 | |||||
서울특별시경찰청 | 부산광역시경찰청 | 대구광역시경찰청 | 인천광역시경찰청 | 광주광역시경찰청 | |
대전광역시경찰청 | 울산광역시경찰청 | 세종특별자치시경찰청 | 경기도남부경찰청 | 경기도북부경찰청 | |
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 | 충청북도경찰청 | 충청남도경찰청 | 전북특별자치도경찰청 | 전라남도경찰청 | |
경상북도경찰청 | 경상남도경찰청 | 제주특별자치도경찰청 | |||
세부 조직 | |||||
사이버수사대 | 경찰기동대 | 경찰특공대 | 안보수사대 | 과학수사대 | |
교통경찰 (고속도로 순찰대) (교통정보센터) |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 · 금융범죄수사대) | 형사기동대 | 마약범죄수사대 | ||
국제범죄수사대 | 독도경비대 | 정보경찰 (치안정보국) | 항공경찰대 | 공항경찰대 | |
항만경찰대 | 경호경찰 | 지하철경찰대 | 경찰 해외 주재관 | ||
둘러보기 | |||||
해양경찰청 · 군 사법기관 · 소방조직 |
| |
제주특별자치도경찰청 |
<colbgcolor=#2350a9>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제주특별자치도경찰청 濟州特別自治道警察廳 Jeju Provincial Police | }}} | |
약칭 | 제주경찰청/제주청/제주도경/제주특별자치도경 | |||
설립일 | 1945년 10월 21일 | |||
청장 | 치안감 김수영 | |||
관할구역 | 제주특별자치도 | |||
상급기관 | 대한민국 경찰청(국가)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위원회(자치)[1][2] 국가수사본부(수사) | |||
전신 | 제8관구경찰청 제22구경찰서[3] 감찰청[4] 제주경찰감찰청 제주도경찰국[5] 제주도지방경찰청[6] 제주특별자치도지방경찰청[7] | |||
소재지 |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수목원 서길 37(노형동 550) | ||||
홈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경찰청 공식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의 시·도경찰청.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교통경찰과 관광경찰 등의 일부 경찰 업무를 제주자치경찰단이 담당하고, 그 외 대부분의 경찰 업무는 본토처럼 국가경찰이 담당한다.
2. 역대 청장
제주특별자치도경찰청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제1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임우상 | 예계해 | 안병욱 | 장근식 | 박양배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이경덕 | 최기호 | 김윤근 | 양영규 | 서성근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전판용 | 현성일 | 남국현 | 류봉안 | 염국현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류환춘 | 배무종 | 한휴택 | 김인옥 | 류정선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박종환 | 임재식 | 김상렬 | 최광화 | 박천화 |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신용선 | 정철수 | 이중구 | 장전배 | 김성근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
김덕섭 | 이승철 | 이재열 | 이상정 | 이상철 | |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김병구 | 김원준 | 강황수 | 고기철 | 이상률 | |
제41대 | 제42대 | ||||
이충호 | 김수영 |
일반적인 다른 시·도경찰청장들처럼 치안감이다.
3. 본청
- 제주경찰청장
- 홍보담당관
- 홍보계
- 제주경찰차장
- 청문감사인권담당관
- 감사계
- 감찰계
- 민원봉사실
- 112치안종합상황실
- 112치안종합상황팀
- 경무기획정보화장비과
- 경무계
- 기획예산계
- 인사계
- 교육계
- 경리계
- 시설계
- 경찰교육센터
- 장비관리기획계
- 정보화운영계
- 치안정보과
- 정보상황계
- 정보분석계
- 광역정보팀
- 수사과
- 수사1계
- 수사2계
-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 사이버범죄수사대
- 디지털포랜식계
- 수사심의계
- 피해자보호계
- 형사과
- 강력계
- 마약범죄수사계
- 과학수사계
- 강력범죄수사대
- 안보수사과
- 안보수사관리계
- 안보사이버수사대
- 안보수사1대
- 안보수사2대
- 범죄예방대응과
- 범죄예방계
- 범죄예방질서계
- 지역경찰계
- 기동순찰대
- 112치안종합상황팀
- 여성청소년과
- 여성보호계
- 청소년보호계
- 여성청소년범죄수사계
- 해바라기센터
- 경비교통과
- 경비경호계
- 대테러계
- 교통계
- 교통조사계
- 항공대
3.1. 직할대
- 제주해안경비단
- 단본부
- 1경비대
- 2경비대
- 공항경찰대
- 제1기동대
- 경찰특공대
3.2. 휘하 경찰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54a6><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54a6>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주동부경찰서 | 제주서부경찰서 | 서귀포경찰서 | }}}}}}}}} |
4. 사건사고
4.1. 제주 4.3 사건
4.1.1. 제주 삼일절 발포 사건
4.2. 제주도 연동 민간인 대상 불법감금/협박 논란
4.3.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태
2021년 5월 13일 기준, 제주청 소속 경찰공무원 2명과 의무경찰 대원 5명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감염되는 사태가 발생했으며, 이 중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을 1차 접종한 경찰공무원도 있다고 알려졌다.# 이로인해 2021년 5월 23일까지 특별 방역 관리 기간으로 정하고 제주청 소속 의경대원은 2021년 5월 24일까지 외박, 휴가까지 제한하기로 했다.#[8][9]4.4. 병가 중 해외여행
2024년 7월, 경찰청이 전국 지방경찰청에 하달한 지시에 따라 제주경찰청은 2년간 병가 중 해외여행을 떠났었던 인원을 점검하였다. 이중 4명이 적발되었지만 두명은 징계에 포함되지 않는 주의를 받았을뿐 단 한명도 정식적인 징계를 받지 않았다. 관련 규정[10]을 찾아보면 해외여행은 여행 전에 기관장에게 보고가 이루어져야 한다.MBC뉴스(유튜브)4.5. 기타 사건사고
2014년 8월 10일 서귀포경찰서 안덕파출소 소속 경찰관들이 갈비뼈가 여러 개 부러지고 몸 곳곳에 심한 상처가 난 40대 여성을 파출소로 끌고 왔었다. 그 여성은 지역 주민 3명으로부터 골프채와 돌 등으로 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했는데 조사가 끝나고 119구급차가 도착했다. 경찰관들은 이씨를 구급차에 태우려 했지만, 피해자인 자신만 조사를 받았고 가해자들은 그대로 집에 돌려보낸 것 때문에 거부했다. 이외에도 변소에 가고 싶은데 경찰관들이 그대로 튈 까봐 거짓말하는거라 생각해서 변소를 안보내서 옷을 입은 채로 똥을 지리며 현기증이 나 넘어지면서 똥범벅이 된 사건이 있었다. 가해자들이 막강한 실세로 서귀포경찰서 지휘라인들을 구워삶았기 때문이다.관련기사관련기사25. 출신 인물
- 문형순 - 미군정·이승만 정부 시절의 경찰관으로 1947년 5월에 경위로 임용되어 1953년 9월에 경감으로 퇴직할 때까지 경상남도로 전출한 시기를 제외하면 쭉 제주경찰청의 전신이었던 제주경찰감찰청·제주도 경찰국 소속이었다.
6. 매체에서의 등장
6.1. 영화
- 필사의 추격 - 조수광, 이수진, 이택중. 제주경찰청 형사2팀 소속.
6.2. 드라마
- 하이클래스 - 구용희. 제주경찰서 강력2팀 소속.
- 보이스 4 - 제주도가 비모특별자치도 (비모도)라는 이름 등장.[11]
- 강권주, 박은수, 한우주, 천상필, 고원기. 비모지방경찰청 112신고센터 골든타임팀 콜팀 소속.
- 박중기, 구광수, 심대식. 비모지방경찰청 112신고센터 골든타임팀 출동팀 소속.
- 양복만. 형사과 소속.
- 7인의 탈출 - 남철우. 제주경찰청 소속.
6.3. 다큐멘터리
- EBS 다큐프라임 : 바람의 집 - 드라마 파트의 계엄령 선포를 알려주는 장면과 서북청년단 출신 경관이 진급하는 장면에서 제주경찰청의 전신인 제주경찰감찰청의 내부 상황이 비춰진다.
[1] 2021년 7월 1일[2] 경찰청만 지휘하는 타 시·도의 위원회와는 달리 제주자치경찰단도 지휘·감독의 대상이다.[3] 당시 제주도는 전라남도 소속이라, 전라남도를 관할하던 제8관구경찰청 산하 22구경찰서가 제주를 관할[4] 미군정 경무국 소속으로, 제3관구경찰청(충남), 제6관구경찰청(전북), 제8관구경찰청(전남)과 감찰청(제주)을 관할하는 제2경무총감부 산하기관.[5] 도 소속[6] 중앙정부 소속[7] 중앙정부 소속[8] 외출, 면회는 애초에 2020년 12월 초부터 제한된 상태다.[9] 경찰청 의무경찰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휴가까지 제한된 사례는 신천지 대구교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당시 대구청, 경북청 소속 의경대원의 휴가를 제한한 것이 처음이며, 이번 사례가 제주청 2번째 사례며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외박은 중단된적은 있어도 휴가까지 중단된 적은 없다.[10] 경찰공무원 복무규정 제13조(여행의 제한)[11] 다만 촬영은 음성경찰서에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