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제21대 대통령 선거의 세대별 상황 문서.본 문서는 21대 대선이 예정된 날짜인 2027년 3월에 시행됨을 전제한 내용으로 작성한 것으로, 세대구별은 2027년 3월에 치른다고 가정하고 작성하길 바란다.
2. 20대(18~19세 포함)[1]
아래에 언급된 30대와 마찬가지로 성별격차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지만, 청년 남성들의 윤석열 정부에 대한 비토로 인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때 18세, 19세, 20대 남성(당시 기준 1995년생 ~ 2006년생)에서도 엄대엄이 나올 정도로 보수세가 많이 약해졌기에 예단하긴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3. 30대[2]
제20대 대통령 선거 때와 달리 성별 무관하게 민주당에 대한 지지 성향이 강한 1980년대 초반년생이 전부 40대로 올라가기에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제20대 대통령 선거 때의 20대와 맞먹을 정도로 성별간의 격차가 클 가능성이 높다.4. 40대[3]
5. 50대[4]
민주당계 정당 지지 성향이 강한 1974~1981년생이 유입되기에 이전보다도 민주당계 정당의 지지세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6. 60대[5]
제20대 대통령 선거 때 86세대의 영향력은 제한적이였으나[6], 2027년에 선거를 치른다면 이 세대의 자그마치 70% 정도가 86세대이기에 이들이 캐스팅보트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7. 70대 이상[7]
흔히 말하는 산업화 세대로 이들은 보수정당 콘크리트 지지층이기도 한다. 무난하게 보수정당이 우위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도 무방하다.[1] 1997년생 ~ 2008년생[2] 1987년생 ~ 1996년생[3] 1977년생 ~ 1986년생[4] 1967년생 ~ 1976년생[5] 1957년생 ~ 1966년생[6] 2022년 기준 86세대는 53~62세였기 때문이다.[7] ~ 1956년생